$\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성인에서 불안정 지지면의 수정된 월-스쿼트 운동이 보행변수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stable Modified Wall Squat Exercises on the Gait Variables of Healthy Adults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2 no.1, 2016년, pp.9 - 15  

공원태 (나사렛대학교) ,  이재남 (대한적십자사 경인의료재활의료센터병원) ,  박재명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stable modified wall squat exercises accompanied by abdominal drawing-in on the gait variables of healthy adults. Method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0, and 15 were randomly placed in the training group (TG) and 15 in th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복부 드로잉-인을 동반한 수정된 월 스쿼트 운동이 보행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불안정한 바닥면에서 복부 드로잉-인 방법을 동반한 수정된 월 스쿼트 운동을 주3회 하루 30분간 총 6주간 하였다.
  • 이러하듯 균형 잡힌 보행을 위해 골반과 허리의 정상적인 위치와 안정성이 중요한데 기존의 연구에서 3차원 보행분석기를 이용하여 편마비환자(Defrin 등, 2005) 또는 뇌성마비환자(Bonnyaud 등, 2013)에게 다양한 중재 후 보행분석 연구나, 골반교정 후 보행분석(Cho와 Jun, 2014), 제자리 달리기 후 보행분석 한 연구(Cho, 2015)는 있었으나, 정상성인에게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수정된 월 스쿼트 운동 후 보행분석을 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성인에게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수정된 월 스쿼트를 6주간 적용한 후 보행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간안정화에 중점을 둔 복부 드로잉-인(drawing-in) 기법을 동반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수정된 월 스쿼트를 적용하여 보행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좌, 우측 하지의 보행변수에 차이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보행변수의 좌, 우측 차이를 줄여 보행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복부 드로잉-인을 동반한 수정된 월 스쿼트 운동을 추천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근육은? 척추 안정화란 사람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척추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데(Magee, 1999),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움직임이 수행되는 척추 안정화 운동은 불안정한 자세를 조절하여 요추-골반자세 조절 운동으로 진행된다. 이때에 척추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근육으로는 뭇갈래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등의 근육이 있으며, 대조적으로 척추세움근, 배곧은근이 함께 작용하여 운동을 발생시켜 추체분절 간에 안정성을 제공한다(Bergmark, 1989). 보행에 있어서 척추안정화는 중요한 요소이며, 요부안정화는 자세변화와 부하상태에서 척추를 바르게 유지함으로 사지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행 요소이다(Willson 등, 2005).
척추 안정화란? 척추 안정화란 사람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척추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데(Magee, 1999),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움직임이 수행되는 척추 안정화 운동은 불안정한 자세를 조절하여 요추-골반자세 조절 운동으로 진행된다. 이때에 척추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근육으로는 뭇갈래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등의 근육이 있으며, 대조적으로 척추세움근, 배곧은근이 함께 작용하여 운동을 발생시켜 추체분절 간에 안정성을 제공한다(Bergmark, 1989).
지속적인 좌식생활이 요추부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은? 좌식생활의 증가와 운동부족은 현대인들의 요통을 증가시키며, 지속적인 좌식생활은 복부근력의 저하와 신체 불균형 등을 초래한다(O'Sullivan, 2000). 특히 요추부의 과도한 생역학적 부담은 복부근 위축과 약화, 척추관절의 불안정성 등으로 요추 주변에 통증 유발, 지구력 감소, 유연성 및 관절가동범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Gill 등, 19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gmark A.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in mechanical engineering. Acta Psychiatr Scand. 1989;230(60):5-54. 

  2. Bonnyaud C, Pradon D, Zory R, et al. Effects of a gait training session combined with a mass on the non-paretic lower limb on locomotion of hemiparetic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Gait Posture. 2013;37(4):627-630. 

  3. Brill PA, Probst JC, Greenbouse DL, et al. Clinical feasibility of a free-weight strength-training program or older adults. J Am Board Fam Med. 1998;11(6):445-451. 

  4. Chang JK, Yoon SH. Evaluation of gait stability using medio-lateral inclination angle in male adults. Korean J of Sport Biomech. 2010;20(3):261-266. 

  5. Cho MS. The effects of modified wall squat exercises on average adults’ deep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lumbar stability. J Phys Ther Sci. 2013;25(6):689-692. 

  6. Cho MS, Jun IS. Effects of pelvic adjustment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gait variables. J Phys Ther Sci. 2014;26(5):759-762. 

  7. Cho MS. Effects of running in place accompanied by abdominal drawing-in on gait characteristics of healthy adults. J Phys Ther Sci. 2015;27(1):87-89. 

  8. Defrin R, Ben Benyamin S, Aldubi RD, et al. Conservative correction of leg-length discrepancies of 10 mm or less for the relief of chronic low back pain. Arch Phys Med Rehabil. 2005;86(11):2075-2080. 

  9. Fry AC. Coaching considerations for the barbell squat- Part 1. J Strength Cond Res. 1993;15:556-569. 

  10. Garcia-Vaquero MP, Moreside JM, Brontons-Gil E, et al. Trunk muscle activation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single and double leg support Original Research Article. J Electromyogr Kinesiol 2012;22(3):398-406. 

  11. Gill K. Krag MH. Johnson GB, et al. Repeatability of four clinical methods for assessment of lumbar spinal motion. Spine. 1988;13(1):50-53. 

  12. Goldberg L, Elliot DL, Kuehl KS. A comparison of the cardiovascular effects of running and weight training. J Strength Cond Res. 1994;8(4):219-224. 

  13. Grabiner MD, Koh TJ, Lundin TM, et al. Kinematics of recovery from a stumble. J of Gerontology. 1993; 48(3):97-102. 

  14. Judge JO, Lindsey C, Underwood M, et al. Balance improvement in older women: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Phys Ther. 1993;73(4):254-265. 

  15. Kapandji IA. Physiology of The Joints. Churchill Livingstone. Philadelphia. 6th ed. 2007. 

  16. Lee YM. The influence of unstable modified wall squat exercises on the postur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Phys Ther Sci. 2015;27(8):2477-2480. 

  17. Liebenson C.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The transverse abdominus Original Research Article. J Bodyw Mov Ther. 1998;2(4):218-223. 

  18. Magee DJ. Instability and stabilization. Theory and treatment 2nd. Seminar Workbook. 1999. 

  19. Magee DJ.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5th edition. St. Louis. Missouri; Elsevier Inc. 2008;658-660. 

  20. Murray MP, Drought AB, Kory RC. Walking patterns of normal men. J Bone Joint Surg. 1964;46(2):207-211. 

  21. Nadler SF, Steiner DJ, Erasala GN, et al. Continuous low-level heat wrap therapy provides more efficacy then ibuprofen and acetaminophen for acute low back pain. Spine. 2002;27(10):1012-1017. 

  22. O'Sullivan PB. Master class.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 Ther. 2000;5(1):2-12. 

  23. O'Sullivan PB, Grahamsaw KM, Kendell M,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standing and sitting postures on trunk muscle activity in a pain-free population. Spine. 2002;27(11): 1238-1244. 

  24. Panjabi MM.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71-379. 

  25. Ryerson S, Byl NN, Brown, et al.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 Neurol Phys Ther. 2008;32(1):14-20. 

  26. Stuart Mj, Meglan DA, Lutz GE, et al. Comparison of intersegmental tibiofemoral joint forces and muscle activity during various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Am J Sport Med. 1996;24(6):792-799. 

  27. Topp R, Mikesky A, Wiggleswrth J, et al. The effect of a 12-week dynamic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gait velocity and balance of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1993;33(4):501-506. 

  28. Vlaeyen JW, Linton SJ. Fear-avoidance and its consequences in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 state of the art. Pain. 2000;85(3):317-332. 

  29. Vogt L, Pfeifer K, Portscher M, et al. Influences of nonspecific low back pain on three dimensional lumbar spine kinematics in locomotion. Spine. 2001;26(17):1910-1919. 

  30. Willson JD, Dougherty CP, Ireland ML, et al. Core stability and its relationship to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injury. J Am Acad Orthop Surg. 2005;13(5):316-3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