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성 증진 프로그램이 임상 간호사의 영적 및 심리사회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
Spiritual and Psychosocial Effects of the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 o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6, 2014년, pp.726 - 734  

서임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호스피스연구소) ,  용진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호스피스연구소) ,  박준양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  김주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SPP) for young nurses working in the stressful university hospital environment. Methods: The study included 41 nur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nurses who had worked less than 5 years and comple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의료계의맥락에서간호사들이직업적의미를되살리고,간호사 자신뿐만 아니라 환자 돌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성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다양한 심리, 사회 및 영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그런데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로서 교대근무 자체가 간호사의 신체적 상태에 보다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연구자가 교대근무 형태를 통제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개념적 틀에서 신체 영역을 제외한 심리, 사회, 영적인 상태를 중심으로 중재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자신의 직무가 지니는 의미와 목적을 이해하고 직무에 개인의 영성을 적용할때 직무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자신의 영성을 직무에 통합할 수 있도록 보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직무만족도가 향상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성 증진 프로그램을 5년 미만 경력의 임상 간호사들에게 적용함으로써 중재프로그램 적용 후 간호사들의 영성, 스트레스, 정서반응, 공감, 직무만족 및 리더십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성 증진 프로그램이 5년 미만 간호사의 심리, 사회, 영적인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측정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와 이직을 경험하고 있는 5년 미만의 임상 간호사에게 영성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 사회, 영적인 측면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국내에 처음 체계적으로 도입된 본 영성 증진 프로그램은 중간관리 간호사의 영적 안녕을 향상시켰으며[11], 5년 미만 간호사 영성의 모든 영역을 의미 있게 향상시켰다.
  •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의 영성증진 프로그램은 이러한 맥락에서도 간호사의 공감 역량을 향상시키는 차원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5년 미만의 젊은 간호사들에게 영성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간호사 개인의 영성을 강화하고 스트레스를 감소하며, 긍정적 정서와 공감의 향상, 직무 만족 및 영성적 리더십 계발을 도우며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성이란 무엇인가? 영성이란 인간이 궁극적인 삶의 의미, 목적 및 초월성을 찾는 것을 통해 나타나는 인간의 역동적이며 본질적인 측면으로서, 자기자신, 가족, 다른 사람들, 공동체, 사회, 자연, 그리고 신성한 존재와의 관계를 경험하는 것이다. 영성은 신념, 가치, 전통 및 실천을 통해 표현된다고 정의된다[8].
간호 실무 현장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지속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직무스트레스는 과도한 직무부담과 시간적 압박, 직무자율성 결여, 직업 불안정성,직장내도움및지지부족,조직내비합리적의사소통,보상부적절성과 조직문화등과 관련되어 발생하며, 직무만족도 대부분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사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간호오류 발생 및 간호사의 이직 의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2].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간호사의 이직 증가는 국내 간호사 인력수급에 영향을 미쳐 정책적인 개선 방향도 제시되기에 이른다. 하지만 이는 인력수급의 양적 측면에만 집중되어 있고 간호의 질적 측면과 실제적인 원인분석이 미흡하다.그러므로 간호 실무 현장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지속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3].
영성을 강화하기 위한 중재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영성을 강화하기 위한 중재로는, '거룩한 이름' 암송 명상[5]과 마음 챙김 명상 등[6,7]과 같은 훈련이 있다. 서구에서는 Passage Meditation이 의사, 간호사, 원목자 등 보건의료 전문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고[5], 국내에서는 영성 훈련 프로그램이 병원 중간관리 간호사들의 스트레스와 소진을 완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Analysing work-related stress and influence factors of nurses. Seoul: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1. 

  2. Lee B. Trend analysis of nurses' stress based on the last 10 years of international research.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1):27-36. 

  3. Kim BH, Chung BY, Kim JK, Lee AY, Hwang SY, Cho JA, et al. Current situation and the forecast of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nursing workforc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6):701-711. 

  4. Drury V, Craigie M, Francis K, Aoun S, Hegney DG.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in registered nurses in Australia: Phase 2 resul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4):519-531. 

  5. Oman D, Hedberg J, Thoresen CE. Passage meditation reduces perceived stress in health professional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06;74(4):714-719. http://dx.doi.org/10.1037/0022-006x.74.4.714 

  6. Jung YH, Kang DH, Jang JH, Park HY, Byun MS, Kwon SJ, et al. The effects of mind-body training on stress reduction, positive affect, and plasma catecholamines. Neuroscience Letters. 2010;479(2):138-142. http://dx.doi.org/10.1016/j.neulet.2010.05.048 

  7. Van Vliet M, Jong MC, Jong M. Effects of a mind-body medicine skills program on perceived stress, empathy and self-reflection among medicine and nursing students: A quantitative study.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14;20(5):A99. http://dx.doi.org/10.1089/acm.2014.5262.abstract 

  8. Puchalski CM, Vitillo R, Hull SK, Reller N. Improving the spiritual dimension of whole person care: Reach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sensu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14;17(6):642-656. http://dx.doi.org/10.1089/jpm.2014.9427 

  9. Dossey BM. Florence nightingale: Mystic, visionary, healer.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9. 

  10. Baldacchino DR. Nursing competencies for spiritual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6;15(7):885-896.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643.x 

  11. Yong J, Kim J, Park J, Seo I, Swinton J. Effects of a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on the spiritual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hospital middle manager nurses in Korea.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11;42(6):280-288. http://dx.doi.org/10.3928/00220124-20101201-04 

  12. Brunero S, Lamont S, Coates M. A review of empathy education in nursing. Nursing Inquiry. 2010;17(1):65-74. http://dx.doi.org/10.1111/j.1440-1800.2009.00482.x 

  13. Clark L, Leedy S, McDonald L, Muller B, Lamb C, Mendez T, et al.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hospice interdisciplinary team member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7;10(6):1321-1328. http://dx.doi.org/10.1089/jpm.2007.0035 

  14. Strack JG, Fottler MD, Kilpatrick AO. The relationship of health-care managers' spirituality to their self-perceived leadership practices. Health Services Management Research. 2008;21(4):236-247. http://dx.doi.org/10.1258/hsmr.2008.008004 

  15. Kouzes JM, Posner BZ. The leadership challenge. 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8. 

  16. Sulmasy DP. The rebirth of the clinic: An introduction to spirituality in health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6. 

  17. Easwaran E. Passage meditation: Bringing the deep wisdom of the heart into daily life. 3rd ed. Tomales, CA: Nilgiri Press; 2008. 

  18. Howden JW.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dissertation]. Denton, TX: Texas Woman's Univeristy; 1992. 

  19. Oh PJ, Chun HS, So WS. Spiritual assessment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1;1(2):168-179. 

  20. Cohen S, Williamson G.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nited States. In: Spacapan S, Oskamp S, editors.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Claremont symposium on applied social psychology. Newbury Park, CA: Sage; 1988. p. 31-67. 

  21. Lee YH.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22. Lee EH. Review of the psychometric evidence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Asian Nursing Research. 2012;6(4):121-127. http://dx.doi.org/10.1016/j.anr.2012.08.004 

  23. Watson D, Clark LA, Tellegen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8;54(6):1063-1070. 

  24. Lee HH, Kim EJ, Lee MK. A validation study of Kore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PANAS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22(4):935-946. 

  25. Spreng RN, McKinnon MC, Mar RA, Levine B.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factor-analytic solution to multiple empathy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2009;91(1):62-71. http://dx.doi.org/10.1080/00223890802484381 

  26. Chamiec-Case RR. Developing a tool to measure social work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extent to which they integrate their spirituality in the workplace [dissertation]. Bronx, NY: Fordham University; 2006. 

  27. Crawford JR, Henry JD.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Construct validity, measurement properties and normative data in a large non-clinical sample. Th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4;43(3):245-265. http://dx.doi.org/10.1348/0144665031752934 

  28. Mercer SW, Reynolds WJ. Empathy and quality of care. Th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2002;52(Suppl):S9-S12. 

  29. La Monica EL, Wolf RM, Madea AR, Oberst MT. Empathy and nursing care outcomes.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1987;1(3):197-213. 

  30. Wagner JI, Gregory DM. Spirit at work (SAW): Fostering a healthy RN workplac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4. Forthcoming. http://dx.doi.org/10.1177/01939459145213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