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수학 수업 자료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 Using Storytell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7 no.3, 2014년, pp.205 - 230  

이수민 (경북포항장원초등학교) ,  김진호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성주의를 반영한 대표적인 교수 학습 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이 이상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구성주의 관점에 따른 교육과 관련된 유무형의 제 요소들(지식관, 학습자관, 교사의 역할, 평가, 수업 형식, 학습, 수업 자료 등)이 융합되어야 한다. 그 중 수업 자료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있음을 전제로 개발되어야 하고, 지식의 통합성, 다양성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개방형 속성을 지닌 자료이어야 한다. 이외에도 객관적 인식론을 적용할 때 갖던 특징과는 다른 특징들을 지녀야 하므로, 수업 자료가 그러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1-2 학년군 수학(3) 교과서의 스토리텔링이 처음 도입된 단원 중 수와 연산 영역에 해당되는 <1. 세 자리수>와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성주의 수학교실 2학년의 <3. 자릿값의 이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w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on various aspects about class is needed to implement education which reflects constructivism, ideally. For an ideal learner-centered mathematics class,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related to education(view of knowledge, view of leaner, teacher's role, evaluati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성주의를 교육과정의 인식론으로 채택하였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구성주의를 교육과정의 인식론으로 채택하였다는 것은 곧 구성주의에서 바라보는 인간의 지적 능력에 대한 관점과 지식을 보는 관점을 반영한 교육을 실천에 옮긴다는 것을 의미한다(인간의 지적 능력에 대한 구성주의 관점에 대해서는 김진호, 김상미(2013) 참조). 그런데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및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학습자가 학습할 대상으로서의 수학을 명시하고 있는 내용체계표에 목록화되어 있는 수학 지식들이 구성주의라는 교육과정의 인식론에서 보는 지식관을 반영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지 않을수 없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의 기본 인식론은 무엇을 채택하였는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의 기본 인식론을 구성주의로 채택한 후로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은 패러다임적 전회(轉回)를 경험하면서 교육관련 종사자들은 전에 없는 혼돈의 시간을 가졌다. 이 혼돈의 시간을 2007 개정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08)은 “~ 학교 현장에 적용·운용되는 과정에서 문제점을 드러내었고, 이에 대한 개선 요구가 줄곧 제기되었다(p.
구성주의를 교육과정의 인식론으로 채택하였다는말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성주의를 교육과정의 인식론으로 채택하였다는말이 교육 분야에서의 패러다임적 전환을 의미한다(황 윤한, 2003)는 진술은 천동설이 일반적 진리로 여겨지던 사회에 지동설을 주장하였던 것처럼 기본적인 대상 들은 그대로 있되 이것들을 그리고 그들 간의 관계를 보는 관점이 바뀐 것처럼, 교육 분야의 기본적인 대상들(학습자, 교사, 지식(수학), 수업·평가, 학습공동체)은 그대로 인정하되 이들을 보는 관점이 바뀌었음을 의미한다(김진호, 김상미, 2013; 홍진곤, 2013; Kim, Colen, & Colen, 2013). 즉, 객관적 인식론을 토대로 하는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지식, 학습자, 교사, 학습공동체에 대한 관점과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이들 기본 요소들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태휘 (2012). 수학교과서의 문제해결 및 놀이마당 차시의 지도 및 재구성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ang, T. H. (2012). A study on teacher's instruction & reconstruction of "Problem Solving" & "Play Section" in math textbook. Unpublished Master Thesi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General guidelines of elementary Curriculum (IV). Seoul: Author. 

  3. 교육과학기술부 (2013a). 1-2학년군 수학(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a). Mathematics textbook (1). Seoul: ChunJae. 

  4. 교육과학기술부 (2013b). 1-2학년군 수학(3). 서울: 천재.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b). Mathematics textbook (3). Seoul: ChunJae. 

  5. 교육과학기술부 (2013c).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1). 서울: 천재.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c). Mathematics textbook (1): Teachers' manual. Seoul: ChunJae. 

  6. 교육과학기술부 (2013d).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3). 서울: 천재.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d). Mathematics textbook (3): Teachers' manual. Seoul: ChunJae. 

  7. 교육인적지원부 (199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999). General guidelines of elementary Curriculum (IV). Seoul: Author. 

  8. 권나영 (2013). 수학교사 교육과 구성주의. 김진호. 장경윤.한인기.고호경 (편저), 구성주의와 한국 수학교육 (pp. 169-179). 서울: 경문사. Kwon, N. Y. (2013).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In J. Kim, K. Chang, I. Han, & H. Ko (Eds.), Constructivism and Korea mathematics education (pp. 169-179). Seoul: Kyungmoon Sa. 

  9. 김상룡 (2001). 7차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관한 소고, 과학.수학 교육연구, 24, 71-84. Kim, S. L. (2001). A note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7th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4, 71-84. 

  10. 김성준.김수환.신준식.이대현.이종영.임문규. 정은실.최창우 (2013).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와 지도법. 서울: 동명사. Kim, S. J., Kim, S. H., Shin, J. S., Lee. D. H., Lee., J. Y., Lim, M. G., Jung, E. S., Choi, C. W. (2013). Teaching materials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eoul: Dongmyong Sa. 

  11. 김종문.강인애.권성기.남승인.송언근.이명숙. 이원희.이종원.이종일.조영남.조용기.최신일.최창우.홍기칠 (1998). 구성주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Kim, J. M., Kang, I. A., Kwon, S. G., Nam, S. I., Song, O. G., Lee, M. S., Lee, W. H., Lee, J. W., Lee, J. I., Cho, Y. N., Cho, Y. K., Choi, S. I., Choi, C. W., & Hong, K. C. (1998). Constructivism and education. Seoul: Kyoyyookkoa-hak Sa. 

  12. 김진호 (2006).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란 관점에서 초등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분석, 교육학논총, 27(2), 57-75. Kim, J. (2006). An analysis of activities present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view point of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7(2), 57-75. 

  13. 김진호 (2012).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위한 수업자료의 몇 가지 특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5(3), 189-199. Kim, J. H. (2012). On som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 materials for learner-centered mathemtics instructio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3), 189-199. 

  14. 김진호.김상미 (2013). 구성주의적 입장에서 보는 학습자 중심의 수학 교수.학습. 김진호.장경윤.한인기.고호경 (편저), 구성주의와 한국수학교육 (pp. 45-64). 서울: 경문사. Kim, J. H. & Kim, S. M. (2013).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for learner-centered based on constructivism. In J. Kim, K. Chang, I. Han, & H. Ko (Eds.), Constructivism and Korea mathematics education (pp. 45-64). Seoul: Kyungmoon Sa. 

  15. 김진호.남미선.박소영.유대현 (2012). 엄마표 수학 홈 스쿨: 초등 1, 2학년. 서울: 청어람미디어. Kim, J. H., Nam, M. S., Park, S. Y., & Yoo, D. H. (2012). Mathematics home school implemented by mom for grades 1-2. Seoul. Chungeuram Media. 

  16. 김진호.최창우.백종훈 (2014). 영재수학: 수준2. 서울: 경문사. Kim, J. H., Choi, C. W., & Paek, J. H. (2013). The Gifted Mathemtaics: Grade 2. Seoul: Kyongmoon Sa. 

  17. 김판수.박수자.심성보.유병길.임채성.허승희. 황홍섭 (2000).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서울: 학지사. Kim, P. S., Park, S. J., Shim, S. B., Yoo, B. G., Lim, C. S., Hur, S. H., & Hwang, H. S. (2000). Constructivism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Seoul: Hakji Sa. 

  18. 방정숙.황현미 (2012). 수학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1(3), 247-263. Pang, J. S. & Hwang, H. M. (2012). Research trends of mathemtics textbooks-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1 in domestic journals. The Mathematics Education, 51(3), 247-263. 

  19. 서외숙 (2002). Piaget의 발생적 인식론에서 구성의 의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Seo, W. S. (2002). Meaning of construct in Piaget's genetic epistemology. Unpublished Master Thesis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성태제 (1995).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Sung, T. J. (1995).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 Sa. 

  21. 소경희 (2000). 우리 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18(1), 201-218. So, K. (2000). A study on the conflick between general and subject curriculum in the revision practice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8(1), 201-218. 

  22. 이부다 (2010). 구성주의 지식관이란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Lee, B. D. (2010).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knowledge focused on the number and operation contents in 1st and 2nd grades. Unpublished Master Thesis at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3. 이소민.김진호 (2009). 추론 능력이 열등한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곱셈 지식 구성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1), 47-70. Lee, S. M. & Kim, J. H. (2009). A study on construction of multiplication knowledge with low reason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2(1), 47-70. 

  24. 이중권 (2013). 지식의 구성과정. 김진호.장경윤.한인기.고호경 (편저), 구성주의와 한국수학교육 (pp. 23-44). 서울: 경문사. Lee, J. G. (2013). Construction process of knowledge. In J. Kim, K. Chang, I. Han, & H. Ko (Eds.), Constructivism and Korea mathematics education (pp. 23-47). Seoul: Kyungmoon Sa. 

  25. 이효녕 (2012). 과학탐구와 창의적 설계 기반의 STEM/STEAM 교육의 이해와 적용. 서울: 북스힐. Lee, H. N. (2012).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TEM/STEAM education based on science exploration and creative design. Seoul: Bookshill. 

  26. 최창우 (2005). 초등 수학교육의 이해. 서울: 경문사. Choi, C. W. (2005). Understanding of elementary mathem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 Sa. 

  27. 홍진곤 (2013). 구성주의 지식관. 김진호.장경윤.한인기.고호경 (편저), 구성주의와 한국수학교육 (pp. 1-21). 서울: 경문사. Hong, J. G. (2013). Perspective of knowledge from constructivism. In J. Kim, K. Chang, I. Han, & H. Ko (Eds.), Constructivism and Korea mathematics education (pp. 1-21). Seoul: Kyungmoon Sa. 

  28. 황윤한 (2003). 교수-학습의 패러다임적 전환: 연구결과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Hwang, Y. H. (2003). Paradigmatic switch of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results and application. Seoul: Kyoyyookkoahak Sa. 

  29. Bachman, V. (2010). 구성주의 수학교실: 1학년 (김진호, 홍은숙, 임상미 공역). 서울: 교우사. (원서는 2003년에 출간됨.) 

  30. Baroody, A. F., & Coslick, R. T. (2006).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권성룡 외 역.). 서울: 경문사. (원서는 1998년에 출간됨.) 

  31. Carpenter, T. P., Fennema, E., Franke, M. L., Levi, L., & Empson, S. B. (2006). 어떻게 수학을 배우지? (김수환, 박영희, 백선수, 이경화, 한대희 공역.). 서울: 경문사. (원서는 1999년에 출간됨.) 

  32. Glasersfeld, E. (1996). Radical constructivism; A way of knowing and learning. London: The Falmer Press. 

  33. Glasersfeld, E. (2008). 구성주의 관점. Fosnot, C. T. (Eds.),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pp. 19-25)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 공역). 경기: 양서원. (원서는 1996년에 출간됨.) 

  34. Kamii, C. (2005). Piaget의 발생론적 인식론을 적용한 수학 수업: 1학년 (강완, 김진호, 신국환 공역). 서울: 경문사. (원서는 2000년에 출간됨.) 

  35. Kamii, C. (2008). Piaget의 발생론적 인식론을 적용한 수학 수업: 3학년 (강완, 김진호, 김연 공역). 서울: 경문사. (원서는 1994년에 출간됨.) 

  36. Kim, J., Colen, Y., and Colen, J. (2013). Reform based instruction. In J. Kim, I. Han, M. Park, J. Lee (Eds.),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Curricular and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pp. 104-129). Singapore: World Scientific Press. 

  37. Latterell, C. (2005). Math wars: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s. 

  38. Litton, N. (2010). 구성주의 수학교실: 2학년 (김진호, 남미선, 안희진 공역). 서울: 교우사. (원서는 2003년에 출간됨.) 

  39. McBride, J. (2004). Everyday Mathematics: Teacher's lesson guide 1-1. Chicago: McGraw-Hill Wright Group. 

  40. NCTM(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er. 

  41.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er. 

  42. Zazkis, R., & Lilijedahl, P. (2013). 스토리텔링으로 수학 가르치기 (박경은, 조호윤 공역). 서울: 경문사. (원서는 2009년에 출간됨.) 

  43. Schoenfeld, A. H. (2006).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P. A. Alexander, & P. H. Winne (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2nd edition) (pp. 479-510). Mahwah, NJ: Erlbaum. 

  44. Schuster, L. (2009). A month-to-month guide. Sausalito, CA: Math Solutions Publications. 

  45. Skemp, R. (2011). 수학학습 심리학 (황우형 역). 서울: 사이언스 북스. (원서는 1987년에 출간됨.)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