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성인 화자와 음성장애 성인 화자의 문단낭독 시 호흡단락에 대한 비교 연구: 예비연구
A Comparison Study of Breath Groups during Reading Paragraph Tasks in Normal Adults and Adult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A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4, 2014년, pp.181 - 187  

표화영 (조선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언어치료학과) ,  김소연 (고려대병원 이비인후과 언어치료실) ,  백승국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reath groups while reading paragraph in normal adults and adult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10 normal females(avr. 20.6 yrs.), 10 young voice disorder females(avr. 33.5 yrs., P1 group), and 10 old voice disorder females(avr. 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기류를 사용하는 생리적 기법을 활용하여 정상 성인 화자와 음성장애 성인 화자의 문단낭독 시 호흡단락 구분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호흡단락 관련 측정치와 문단낭독 시 측정되는 호흡관련 측정치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두 유형의 측정치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연속구어의 기기적 분석을 이용하여 음성장애 화자에 대한 보다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음성장애 성인 화자와 정상 성인 화자의 호흡단락 특성을 분석하고 호흡특성과의 상관성을 파악해보고자 정상성인 화자군, 이와 연령을 맞춘 제 1 환자군, 연령층이 높은 제 2 환자군의 문단낭독 결과를 분석,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환자군의 호흡단락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호흡단락당 지속시간도 더 길었던 반면 호흡단락당 음절수는 더 적었다.
  • 또한 호흡단락 관련 측정치와 문단낭독 시 측정되는 호흡관련 측정치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두 유형의 측정치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연속구어의 기기적 분석을 이용하여 음성장애 화자에 대한 보다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기류를 사용하는 생리적 기법을 활용하여 정상 성인 화자와 음성장애 성인 화자의 문단낭독 시 호흡단락 구분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호흡단락 관련 측정치와 문단낭독 시 측정되는 호흡관련 측정치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두 유형의 측정치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단락을 구분하는 흡기 위치의 각 구분은 어떤 방법인가? 호흡단락을 구분하는 흡기 위치(inspiratory loci)의 구분은 대체로 청지각적, 음향적, 생리적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청지각적 방법은 말소리 샘플을 듣고 청지각적으로 흡기가 이루어진 시점을 판단하며 음향적 방법은 녹음된 말소리를 음향적 분석을 통해 파형(waveform)으로 시각화시킨 후 휴지기를 판단하고, 생리적 방법은 흉벽 운동을 관찰하거나 구강기류를 측정함으로써 흡기 위치를 파악한다(Wang et al., 2010; 2012). Hodge & Rochet(1989)는 안정호흡 및 발화 시의 호흡행동을 측정하는 데 위의 세 가지 방법 중 생리적 방법이 가장 비침습적이고 위험요소가 적은 방법이라고 했다.
호흡단락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호흡단락(breath group)이란 한숨에 산출되는 일련의 음절 혹은 단어를 말하는데(Wang et al., 2012) 이는 운율 구의 끝에서 이루어지는 휴지(쉼, pause)을 통해 구분된다(Huber et al., 2012).
호흡단락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호흡단락(breath group)이란 한숨에 산출되는 일련의 음절 혹은 단어를 말하는데(Wang et al., 2012) 이는 운율 구의 끝에서 이루어지는 휴지(쉼, pause)을 통해 구분된다(Hub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nninger, M. S., Jacobson, B., & Johnson, A. F.(1993). Vocal arts medicine: The care and prevention of professional voice disorders. New York, NY: Thieme Publishing Group. 

  2. Boliek, C. A., Hixon, T. J., Watson, P. J., & Jones, P. B.(2009). Refinement of speech breathing in healthy 4-to-6 year-old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2, 990-1007. 

  3. Ferrand, C. T.(2012). Voice disorders: Scope of theory and practice.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 

  4. Han, J. Y., Lee, O. B., & Shim, L. S.(2008). The study of breath group based on oral airflow in reading by healthy speakers. Speech Sciences, 15(4), 135-146. (한지연, 이옥분, 심이슬(2008). 구강기류 분석에 근거한 정상 성인의 문단읽기 시 호흡그룹의 특징. 음성과학, 15(4), 135-146.) 

  5. Hodge, M. M. & Rochet, A. P.(1989). Characteristics of speech breathing in young wom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2, 466-480. 

  6. Hong, S. M. & Byeon, H. W.(2014). Speech rate and pause characteristics in speakers with flaccid dysarthria.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2930-2936. (홍새미?변해원(2014). 이완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말속도와 쉼 특성.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5), 2930-2936.) 

  7. Huber, J. E., Darling, M., Francis, E. J., & Zhang, D.(2012). Impact of typical aging and Parkinson's disease on the relationship among breath pausing, syntax and punctu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1, 368-379. 

  8. Kim, H. H.(1996). Perceptual, acoustic, and physiologic tools for the ataxic dysarthria patients. Proceedings of 2nd Symposium of the Korean Phonetics Academy, 9-22. 

  9. Kim, Y. H.(2005). Aging voice. Proceedings of 2005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205-207. (김영호(2005). 노인성 음성.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학술지. 서울: 그랜드 힐튼 호텔) 

  10. Kim, Y. H., Ha, E. H., & Shin, S. J.(2003).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5), 601-608. (김영혜, 하은화, 신수진 (2003). 중년여성의 폐경 증상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33(5), 601-608.) 

  11. Lee, E. K., Choi, H. S., & Sim, H. S.(2002). Speech breathing in children with vocal nodul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7(3), 107-120. (이은경, 최홍식, 심현섭 (2002). 성대결절 아동의 호흡양상에 관한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7(3), 107-120.) 

  12. Manifold, J. A. Y. & Murdoch, B. E.(1993). Speech breathing in young adults: Effect of body typ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6, 657-671. 

  13. Songur, N., Aydin, Z. D., Oztuk, O., Sahin, U., Khayri, U., Bircan, A., & Akkaya, A.(2010). Respiratory symptoms, pulomary function, and reproductive history: Hsparta menopause and health study. Journal of Women's Health, 19(6), 1145-1154. 

  14. Wang, Y. T., Green, J. R., Nip, I. S., & Kent, R. D.(2010). Accuracy of perceptually based and acoustically based inspiratory loci in reading. Behavioral Research Methods, 42(3), 791-797. 

  15. Wang, Y. T., Nip, I. S., Green, J. R., Kent, R. D., Kent, R. D., & Ullman, C.(2012). Accuracy of perceptual and acoustic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inspiratory loci in spontaneous speech. Behavioral Research Methods, 44, 1121-1128. 

  16. Winkworth, A. L., Davis, P. J., Ellis, E., & Adams, R. D.(1994). Variability and consistency in speech breathing during reading: Lung volumes, speech intensity, and linguistic facto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7, 535-5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