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유무에 따른 콜롬비아 커피와 루왁커피의 항산화 활성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among Non-fermented and Fermented Columbian Coffee, and Luwak Coffee Bean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6, 2014년, pp.757 - 766  

김송숙 (구미대학교 식품영양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non-fermented (CAC) and Monascus pilosus-fermented Columbia arabica coffee (FCAC), as well as Luwak coffee (LC) bea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polyphenols content (mg/g of dry basis) was highest in CAC (70.69), follow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계산식에 해당되는 SOD-like activity(%) = 100 − [(OD of sample/OD of control) × 100]에 의하여 활성을 산출하였다.
  • pilosus 활용 식품발효방법(Kim MJ 등 2012, Lee SI 등 2013) 등의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생두는 전처리 작업의 일환으로 가정용 분쇄기를 이용하여 대략 1/10 등분하여 분쇄한 후, 분쇄한 생두 100 g에 대해 10 mL 물의 비율로, 1시간 간격으로 5회 분무하는 수침과정을 거침으로써 수분함량을 33%로 조정하여 발효용 재료로 사용하였다. 불린 생두의 발효는 생두 100 g에 대해 M.
  • 본 연구에서는 콜럼비아산 아라비카 생두를 이용하여 일반 커피, M. pilosus로 발효시킨 커피와 루왁커피에 대해 항산화능 및 토끼의 간 조직으로부터 부분·정제한 xanthine oxidase (XO)와 aldehyde oxidase (AO) 저해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pilosus와 같이 생리적 기능성이 검증된 미생물을 이용한 인위적 커피 발효방법이 모색된다면 고부가성의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지표들에 대한 활성 정도를 기준으로, 일반커피와 루왁커피 및 M. pilosus로 발효시킨 커피에 대해 기능 변화현상을 비교하였다.
  • 5 mm로 조정하였다. 분쇄커피 추출방법은 커피 1 kg에 대해 4℃의 냉수 5.67 L를 가하여 12시간동안 워터드립식으로 여과추출하여 15% 커피추출액으로 조제하였다. 커피추출액은 30 mL씩 포장하여 4℃에서 보관하였으며, 5% 커피추출액을 분석실험용 원액으로 사용하였다.
  • 일반 커피와(CAC), 루왁커피(LC) 및 M. pilosus에 의한 발효커피(FCAC)에 대해 토끼의 간 조직으로부터 부분 정제한 XO와 AO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여 Fig. 4에 제시하였다. XO에 대한 저해활성을 보면 CAC는 3.
  • 일반커피(CAC), 루왁커피(LC) 및 M. pilosus를 이용한 발효커피(FCAC)에 대해 FICA와 SOD 유사활성을 조사하여 Fig. 3에 제시하였다. FICA (%)는 CAC가 9.
  • 콜롬비아산 아라비카 커피(Columbia arabica coffee; CAC), 루왁커피(Luwak coffee; LC) 및 M. pilosus로 발효시킨 콜롬비아산 아라비카 커피(Fermented Columbia arabica coffee; FCAC)에 대해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TP) 과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TF)의 함량(mg/g of dry basis)을 측정하여 Fig. 1에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TP 함량은 CAC는 70.
  • 플라보노이드 함량(total flavonoid; TF)은 Meda A 등(2005)의 방법에 따라, 시료 희석액 1 mL에 2% aluminum chloride 1 mL와 50% 에탄올 1 mL 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 quercetin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의 표준검량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에 사용한 커피는 1년 이내 수확된 콜롬비아산 아라비카 생두(로작, 경북, 한국)와 루왁 생두(정글아트루왁, 상주, 한국)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발효용 균주는 한국종균협회에서 분양받은 Monascus pilosus (M. pilosus) IFO 4480을 사용하였다.
  • 실험종균은 보존 중인 M. pilous균주를 Tryptic Soybroth (DF2118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parks, MD, USA)에 이식하여 30°C에서 10일간 배양하여 균 수가 108 cells/mL 이상이 되게 한 것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ba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상기 연구에 대한 분석은 3회 반복 실험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샘플들간 유의성 여부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검증하였다(p<0.05).

이론/모형

  • XO 활성도는 Stirpe F와 Della Corte E (1972)의 방법에 따라 기질 xanthine을 uric acid로 전환하는 정도를%로 나타내었다. AO 활성도는 Rajagopalan KV 등(1962) 의 방법에 따라 기질 NMN (N1-methyl nicotinamide)으로 부터 산화된 pyridone을 300 nm에서 측정한 다음 시료 대신에 증류수를 첨가한 대조군에 대한 %로 나타내었다.
  • FICA는 Dinis TCP 등(1994)의 방법에 따라 시액 1.0 mL에 3.7 mL의 증류수를 가한 후 2 mM의 ferrous chloride 100 μL와 5 mM의 ferrozine 200 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562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Marklund S와 Marklund G (1974)의 방법에 따라 시액 200 μL에 pH 8.5로 조정한 tris-HCl buffer 용액 3 mL와 7.2 mM pyrogallol 200 μL을 가하여 25°C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 N HCl 1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효소원은 Rajagopalan KV 등(1962) 및 Maia L과 Mira L (2002) 방법에 따라 milk로부터 XO를, 토끼 간 조직으로부터는 AO를 각각 추출한 후 ammonium sulfate 분획, 투석 및 원심분리를 행하여 부분 정제한 후 -70℃에서 보관하였다. XO 활성도는 Stirpe F와 Della Corte E (1972)의 방법에 따라 기질 xanthine을 uric acid로 전환하는 정도를%로 나타내었다. AO 활성도는 Rajagopalan KV 등(1962) 의 방법에 따라 기질 NMN (N1-methyl nicotinamide)으로 부터 산화된 pyridone을 300 nm에서 측정한 다음 시료 대신에 증류수를 첨가한 대조군에 대한 %로 나타내었다.
  • 발효생두의 볶음 방법은 Ludwig IA 등(2013)에 따라 자동로스터기(Roaster THCR-01, Taehwan, Seoul, Korea) 에서 중간 볶음도(에그트론 65)를 유지하며, 250℃에서 11분간 볶기를 하여 원두를 생산하였다. 원두 분쇄는 커피분쇄기(Anfim Sas, Anfim Co.
  • 시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total polyphenol; TP)은 Minussi RC 등(2003)의 방법에 따라 시액 100 μL에 2% sodium carbonate 2 mL와 50% Folin-Ciocalteu reagent 100 μL를 가하여 7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gallic acid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의 표준검량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은 Blois MS (1958)의 방법에 따라 시액 200 μL에 0.4 mM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 800 μL를 가하여 10분간 방치한 다음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인 전자공여능 (%) = [1 − (시료흡광도/대조군 흡광도)] ×100에 의하여 활성을 산출하였다.
  • 철 환원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은 Benzie IF와 Strain JJ (1996)의 방법에 따라 커피추출 희석액 50 μL에 증류수 50 μL을 가하여 혼합한 후 0.3 M sodium acetate buffer (pH 3.60)와 10 mM 2,4,6-tris (2-pyridyl)-Striazine을 함유하는 40 mM HCl 용액 및 20 mM FeCl3용액(10:1:1, v/v)의 혼합용액 1.90 mL를 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콜롬비아 생두의 전처리 및 배양 등의 발효과정은 M. pilosus 활용 식품발효방법(Kim MJ 등 2012, Lee SI 등 2013) 등의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생두는 전처리 작업의 일환으로 가정용 분쇄기를 이용하여 대략 1/10 등분하여 분쇄한 후, 분쇄한 생두 100 g에 대해 10 mL 물의 비율로, 1시간 간격으로 5회 분무하는 수침과정을 거침으로써 수분함량을 33%로 조정하여 발효용 재료로 사용하였다.
  • Louis, MO, USA)의 표준검량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total flavonoid; TF)은 Meda A 등(2005)의 방법에 따라, 시료 희석액 1 mL에 2% aluminum chloride 1 mL와 50% 에탄올 1 mL 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 quercetin (Sigma-Aldrich Co.
  • 효소원은 Rajagopalan KV 등(1962) 및 Maia L과 Mira L (2002) 방법에 따라 milk로부터 XO를, 토끼 간 조직으로부터는 AO를 각각 추출한 후 ammonium sulfate 분획, 투석 및 원심분리를 행하여 부분 정제한 후 -70℃에서 보관하였다. XO 활성도는 Stirpe F와 Della Corte E (1972)의 방법에 따라 기질 xanthine을 uric acid로 전환하는 정도를%로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루왁커피는 어떤 특징을 갖는 커피인가? 상기의 일반 커피와 달리, 루왁커피(Kopi Luwak)는 인도네시아 정글에 서식하는 사향고양이가 먹은 커피열매가 소화기관의 효소와 장내 미생물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친 후 배설된 커피이며, 입 안에 풍부하게 느껴지는 특유 점성과 무게감(full body taste) 및 조화로운 향과 맛이 특징적이어서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Marcone MF 2004). 이와 관련하여 일반 커피에 발효 과정을 도입하여 커피의 품질속성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Woelore MW 1993, Avallone S 등 2002).
커피를 볶는 과정에서 증가된 chlorogenic acid 유도체 성분은 어떤 효과를 갖는가? 커피의 약리효능 측면에서는 니코틴산, 카페산및 카페인 성분이 간 손상과 당뇨병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ka K 2007). 커피를 볶는 과정에서 증가된 chlorogenic acid 유도체 성분은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으며, 이 때 생성된 melanoidin은 커피의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u YF 등 2009).
기호음료에 대한 인식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특히 음료 중 어떤 음료의 기호도가 매우 높아졌는가? 또한 건강 개념이 내포된 식문화의 고급화 추세와 병행하여 기호음료에 대한 인식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음료 중 원두커피 기호도가 매우 높아져 최근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이 338잔이며, 한달 28잔의 커피를 소비하고 있다(Korea Customs Service 2012). 이와 같은 기호음료의 선호 변화에 따라 커피의 건강성, 커피 성분의 생리활성 및 효능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7)

  1. Atoui AK, Mansouri A, Boskou G, Kefalas P. 2005. Tea and herbal infusion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profile. Food Chem 89(1):27-36 

  2. Avallone S, Brillouet JM, Guyot G, Olguin E, Guiraud JP. 2002. Involvement of pectolytic micro-organisms in coffee fermentation. Inter J Food Sci Technol 37(2):191-198 

  3. Belitz HD, Grosch W. 1986. Food Chemistry. pp 688-696. Springer-Verlag Berlin. Heiderberg 

  4. Bekedam EK, Schols HA, Cammerer B, Kroh LW, van Boekel MA, Smit G. 2008.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tudies on the formation of roasting-induced antioxidative structures in coffee brews at different degree of roast. J Agric Food Chem 56(12):4597-4604 

  5.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1):70-76 

  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7. Bravo J, Arbillaga L, de Pena MP, Cid C. 2013. Antioxidant and genoprotective effects of spent coffee extracts in human cells. Food Chem Toxicol 60:397-403 

  8. Brown JP. 1988. Role of the gut flora intoxicity and cancer. ed. Rowland IR.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p 109-144 

  9. Choi CH, Song ES, Kim SJ, Kang MH.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6):1216-1220 

  10. Choi MJ, Yu T. 2004. Effects of red-yeast-rice supplement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overiectomized rats. J Nutr Health 37(6):2288-3886 

  11. Chu YF, Brown PH, Lyle BJ, Chen Y, Black RM, Williams CE, Lin YC, Hsu CW, Cheng IH. 2009. Roasted coffees high in lipophilc antioxidants and chlorogenic acid lactones are more neuroprotective than green coffees. J Agric Food Chem 57(20):9801-9808 

  12. Croft KD. 1998. The chemistry and biological effect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Ann NY Acad Sci 854(1):435-442 

  13. Devasagayam TP, Kamat JP, Mohan H, Kesavan PC. 1996. Caffein as an antioxidant: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Biochim Biophys Acta 1282(1):63-70 

  14. Dinis TCP, Madeira VMC, Almeida LM. 1994. Action of phenolic derivatives (acetaminophen, salicylate, and 5-amino salicylate) as inhibitors of membrane lipid peroxidation and as peroxyl radical scavengers. Arch Biochem Biophys 315(1): 161-169 

  15. Dixon RA, Dey PM, Lamb CJ. 1983. Phytoalexins: enzymology and molecular biology. Advances in enzymology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USA pp 1-20 

  16. Dorea J, Costa T. 2005. Is coffee a functional food? British J Nutr 93(6):773-782 

  17. Elekofehinti OO, Kamdem JP, Bolingon AA, Athayde ML, Lopes SR, Wazuk EP, Kade IJ, Adanlawo IG, Rocha JBT. 2013. African eggplant (Solanum anguivi Lam.) fruit with bioactive polyphenolic compunds exert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and inhibits $Ca^{2+}$ -induced mitochondrial swelling. Asian Pac J Trop Biomed 3(10):757-766 

  18. Fukuzawa K, Seko T, Minami K, Terao J. 1993. Dynamics of iron-ascorbate-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charged and uncharged phospholipid vesicles. Lipids 28(6):497-503 

  19. Germano MP, D'Angelo V, Biasini T, Sanogo R, De Pasquale R, Catania S. 2006.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bioavalilability of free and bound phenoilc acids from Trichilia emetica Vahl.. J Ethnophamacol 105(3):368-373 

  20. Halliwell B. 2006.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J Neurochem 59:1609-1623 

  21. Hamzeh-Mivehroud M, Rahmani S, Feizi MA, Dastmalchi S, Rashidi MR. 2014. In vitro and in silico studies to explore structural features of flavonoids for aldehyde oxidase inhibition. Arch Pharm 347(10):738-747 

  22. Huynh NT, Van Camp J, Smagghe G, Raes K. 2014. Improved release and metabolism of flavonoids by steered fermentation processes: A review. Int J Mol Sci 15(11):19369-19388 

  23. Ikeda H, Kimura Y, Masaki M, Iwahashi H. 2011. Caffeic acid inhibits the formation of 1-hydroxyethyl radical in the reaction mixture of rat liver microsomes with ethanol partly through ots metal chelating activity. J Clin Biochem Nutr 48(3):187-193 

  24. Jeon SM, Bok SH, Jang MK, Lee MK, Nam KT, Park YB, Rhee SJ, Choi MS.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naringin and lovastatin in high cholesterol-fed rabbits. Life Sci 69(24): 855-2866 

  25. Jeong SJ, Lee JH, Song HN.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135-140 

  26. Jumhawan U, Putri SP, Marwani E, Bamba T, Fukusaki E. 2013. Selection of discriminant markers for authentication of Asian palm civet coffee(Kopi Luwak): a metabolomics approach. J Agric Food Chem 61(33):7994-8001 

  27. Kell DB. 2009. Iron behaving badly: inappropriate iron chelation as a major contributor to the aetiology of vascualr and other progressive inflammatory and degenerative diseases. Med Genomic 2(2):1755-8794 

  28. Kelly EH, Anthony RT, Dennis JB. 2002.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ructure-activity relationship. J Nutr Biochem 13(10):572-584 

  29. Kim MH, Kim JG, Choi JH.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Nutr 27(4):684-691 

  30. Kim MJ, Kim SS, Lee S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ploysaccharides in green green tea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Prev Nutr Food Sci 17(4):293-298 

  31. Korea Customs Service(KCS). 2012. The recent coffee market trend. Available from: http://www.customs.go.kr. Accessed from: July 20, 2012 

  32. Kwon HN, Park JR, Jeon JR. 2008.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1389-1394 

  33. Kuo CF, Chyau CC, Wang TS, Li CR, Hu TJ. 2009. Enhanced antioxidant an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monascus pilosus fermented products by addition of turmeric to the medium. Food Chem 116(4):915-922 

  34. Labat-Robert J, Robert L. 2014. Longevity and aging. Role of free radicals and Xanthine oxidase. Pathol Biol 62(2):61-66 

  35. Lee KJ, Jeong HG. 2007. Protective effects of kahweol and cafestol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Toxicol Lett 173(2):80-87 

  36. Lee SI, Kim SD, Lee YK, Kim MJ, Lee IA, Choi JK, Suh JW. 2013. Dietary effects of black bean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on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activities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s in mice fed high fat diets. J Nutr Health 46(1):5-14 

  37. Lee SI, Lee YK, Kimm SD, Kang YH, Suh JW. 2012. Antioxidative activity of Smilax china L. leaf teas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Korean J Food Nutr 25(4):807-819 

  38. Lee SS, Lee JH, Lee IH. 2013. Strain improvement by overexpression of the laeA gene in Monasus pilosus for the production of Monascus-fermented rice. J Microbiol Biotechnol 23(7):959-965 

  39. Lee YK, Lee SI, Kim JS, Yang SH, Lee IA, Kim SD, Suh JW.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fermented with Monascus pilosus. J Appl Biol Chem 55(1):19-25 

  40. Lin YL, Wang TH, Lee MH, Su NW. 2008.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nutraceuticals in the Monascus-fermented rice: a riview, Appl Microbiol Bioltechnol 77(5):965-973 

  41. Ludwig IA, Bravo J, De Pena MP, Cid C. 2013. Effect of sugar addition (torrefacto) during roasting process on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of coffee. Food Sci Technol 51(2): 553-559 

  42. Maia L, Mira L. 2002. Xanthine oxidase and aldehyde oxidase: A simple procedure for the simultaneous purification from rat liver. Arch Biochem Biophys 400(1):48-53 

  43. Marcone MF. 2004.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Indonesian palm civet coffee. (Kopi Luwak) and Ethiopian civet coffee. Food Res Int 37(9):901-912 

  44.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3):468-474 

  45. Meda A, Lamien CE, Romito M, Millogo J, Nacoulma OG. 2005. Determination of the total phenolic, flavonoid and proline contents in burkina fasan honey, as well as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od Chem 91(3):571-577 

  46. Minamisawa M, Yoshida S, Takai N. 2004. Determin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 roasted coffees using diode-array HPLC system. Jpn Soc Anal Chem 20:325-328 

  47. Minussi RC, Rossi M, Bologna L, Cordi L, Rotilio D, Pastore GM, Duran N. 2003.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potential of commercial wines. Food Chem 82(3): 409-416 

  48. Moreira DP, Monteiro MC, Ribeiro-Alves M, Donangelo CM, Trugo IC. 2005. Contribution of chlorogenic acids to the iron-reducing ativity of coffee beverages. J Agri Food Chem 53(5):1399-1402 

  49. Nabavi SM, Daglia M, Sureda A. 2014. Editorial: Dietary polyphenols: We beyond the antioxidant capacity. Curr Pham Biotechol 15:297 

  50. Oka K. 2007. Pharmacological bases of coffee nutrients for dibates prevention. Yakugaku Zasshi 127(11):1825-1836 

  51.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 pp 241-251. In: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 in the Tropics. Uritani I, Garcia VV, Mendoza EM (ed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52. Ozyurek M, Bektasoglu B, Guclu K, Apak R. 2009. Measurement of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y of phenolics and flavonoids with a modified cup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 method. Anal Chim Acta 636(1):42-50 

  53. Parr AJ, Bolwell IP. 2002. Phenols in the plant and in man. The potential for possible nutritional enhancement of the diet by modifying the phenols contents or profile. J Sci Food Agric 80(7):985-1012 

  54. Patakova P. 2013. Monascus secondary metabolites: production and biological activity. J Ind Microbiol Bitechnol 40(2): 169-181 

  55. Pellegrini N, Serafini M, Colombi B, Del Rio D, Salvatore S, Bianchi M, Brighenti F. 2003.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plant foods, beverages and oils consumed in Italy assessed by three different in vitro assays. J Nutr 133(9):2812-2819 

  56. Rajagopalan KV, Fridovich I, Handler P. 1962. Hepatic aldehyde oxidase. I. Purification and properties. J Biol Chem 237: 922-928 

  57. Rashidi MR, Nazemiyeh H. 2010.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on molybdenum hydroxylases activity. Expert Opin Drug Metab Toxicol 6(2):133-152 

  58. Sato Y, Itagaki S, Kurokawa T, Ogura J, Kobayashi M, Hirano T, Sugawara M, Iseki K. 2011.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properties of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Int J Pharm 403(1-2):136-138 

  59. Shi M, Yang Y, Wang Q, Zhang Y, Wang Y, Zhang Z. 2012. Production of total polyphenol from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y Lentinus edodes. Int J Food Sci Technol 47(6):1215-1221 

  60. Stirpe F, Della Corte E. 1972.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into oxidase (type O) and purification of the enzyme. Biochem J 126(3):739-745 

  61. Torel J, Gillard J, G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 25(2):383-385 

  62. Woelore WM. 1993. Optimum fermentation protocols for Arabica coffee under Ethiopian conditions. In: Association Scientifique Internationale Du Cafe. The 15th International Scientific Colloquium on Coffee, Montpellier, Paris Association Scientifique Internationale. pp 727-733 

  63. Yanagimoto K, Ochi H, Lee KG, Shibamoto T. 2004.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actions obtained from brewed coffee. J Agric Food Chem 52(3):592-596 

  64. Yang CW, Mousa SA. 2012. The effect of red yeast rice (Monascus purpureus) in dyslipidemia and other disorders. Complement Ther Med 20(6):466-474 

  65. Yesbergenova Z, Yang G, Oron E, Soffer D, Fluhr R, Sagi M. 2005. The plant Mo-hydroxylases aldehyde oxidase and xanthine dehydrogenase have distinct reactive oxigen species signatures asnd are indiced by drought abd abscisic acid. Plant J 42(6):862-876 

  66. Yoshida Y, Hayakawa M, Niki E. 2008.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coffee and its components using the biomarkers hydroxyoctadecadienoic acid and isoprostane. J Oleo Sci 57(12):691-697 

  67. Zheng Y, Xin Y, Shi X, Guo Y. 2010. Anti-cancer effect of rubropunctatin against human gastric carcinoma cells BGC-823. Appl Microbiol Biotechnol 88(5):1169-1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