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식업체에서 제공하는 잠재적 위험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향상을 위한 중점관리점 관리방안
Management of Critical Control Points to Improve Microbiological Quality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Prepared by Restaurant Opera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6, 2014년, pp.774 - 784  

전혜연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정화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외식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단 중에 PHF(Potentially Hazardous Foods)메뉴를 Screening하여, 미생물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점관리기준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 실온에 방치되어 있던 시금치나물은 미생물 증식이 가능한 위험 온도 범위인 $24.2{\pm}1.0^{\circ}C$에 20시간정도 장시간 노출되었으며, Solberg M 등(1990)이 제시한 원재료의 미생물적 안전기준치에 대해 $6.36{\pm}0.5{\log}\;CFU/g$, $4.59{\pm}0.1{\log}\;CFU/g$로 기준치를 모두 초과하였다. 또한 영국 PHLS(Gilbert RJ 등 2000)의 장내세균 기준치에 따르면 $4.46{\pm}0.1{\log}\;CFU/g$로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황색포도상구균도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반면에 냉장보관($4.9^{\circ}C$)을 했던 시금치나물은 일반세균 $2.86{\pm}0.5{\log}\;CFU/g$으로 그 외의 모든 미생물 검사에서 기준치 아래의 수치로 나타났다. 2. 양상추의 원재료의 표준평판균수는 $4.66{\pm}0.4{\log}\;CFU/g$에서 세척만 했을 때 $3.12{\pm}0.6{\log}\;CFU/g$, 소독 후 세척을 했을 때 $2.23{\pm}0.3{\log}\;CFU/g$로 100 ppm에서 5분 침지한 양상추가 미생물오염도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대장균군수와 황색포도상구균, 장내세균수 모두 소독 후 세척했을 경우가 낮은 미생물수치를 보였다. 또한 토마토는 원재료의 표준평판균수가 $3.08{\pm}0.4{\log}\;CFU/g$였는데, 소독 후 세척과정을 거친 토마토가 $0.72{\pm}0.7{\log}\;CFU/g$로, 세척만 한 토마토의 표준평판균수 $2.10{\pm}0.3{\log}\;CFU/g$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소독과정을 거친 토마토의 대장균군수와 황색포도상구균수가 역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장내세균의 경우는 소독 후 세척과정을 거친 토마토에서는 균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단체급식에서 여러 번의 세척만으로 다량의 생채소 품질을 위생적 상태로 만드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며 따라서 가열조리를 거치지 않는 생채소 음식의 전처리에는 반드시 소독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3. Screening을 통해 원재료의 특성상 미생물오염도가 높게 나타났던, 세척하기 까다로운 베이비채소, 라디치오, 부추를 선정하여 염소수 100 ppm에 5분 소독, 100 ppm에 10분 소독을 시행하여 미생물적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라디치오는 표준평판균수가 원재료 $6.02{\pm}0.5{\log}\;CFU/g$, 5분 소독 후 $4.10{\pm}0.6{\log}\;CFU/g$, 10분 소독 후 $2.58{\pm}0.3{\log}\;CFU/g$로 원재료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10분 소독 후에는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베이비채소의 원재료의 표준평판균수는 $5.76{\pm}0.1{\log}\;CFU/g$이고, 5분 소독 후 $5.14{\pm}0.1{\log}\;CFU/g$, 10분 소독 후 $4.27{\pm}0.6{\log}\;CFU/g$로 나타났으며, 부추의 원재료 표준평판수는 $6.83{\pm}0.5{\log}\;CFU/g$, 5분 소독 후는 $5.30{\pm}0.3{\log}\;CFU/g$, 10분 소독 후는 $4.18{\pm}0.5{\log}\;CFU/g$로 라디치오에 비해서는 10분 소독 후에도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소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은 미생물의 수치를 보였다. 대장균군, 황색포도상구균, 장내 세균 역시 소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은 미생물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소독이 까다로운 채소류는 소독시간의 연장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4. Screening을 통해 양념장을 주재료와 섞은 후, 미생물의 수치가 증가하는 결과를 토대로 양념장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anagement guidelines for critical control points by analyzing microbiological hazardous elements through screening Potentially Hazardous Foods (PHF) menus in an effort improv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prepared by restaurant operations. Steamed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식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단 중에 PHF(Potentially Hazardous Foods)메뉴를 Screening하여, 미생물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점관리기준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외식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단 중에 잠재적 위험 식품메뉴를 Screening하여, 온도관리와 소독관리를 통해 미생물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점관리 기준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외식업체에서 식중독의 발생을 줄이고 철저한 위생관리를 위해서는 위생실태 점검과 더불어 미생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였으며, 미생물 분석을 통해 문제가 되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이 부분에 대한 개선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고 하였다(Tebbutt GM 1991, Kassa H 등 2001). 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에서 온도관리, 소독관리, 소독시간관리, 양념관리, 개인위생과 환경 위생관리 방안을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빙(well-being) 식생활 문화 확산으로 인한 부작용은? 곡류와 채소류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식생활 패턴과 아울러 채소의 약리작용에 힘입어 채소를 중심으로 한 식생활이 권장되고 있으며(Choi JW 등 2005), 전 세계적으로 웰빙(well-being) 식생활 문화 확산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샐러드 등 여러 종류의 채소를 생식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새싹 및 양상추 등의 신선 채소와 관련된 식중독 사고가 식중독 발생 통계에서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Beuchat LR 1996, De Roever C 1998, Gleeson E와 O'Brirne D2005). 병원성 미생물은 과일과 채소를 씻는 과정에서도 제거되지 않아 식중독 사고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euchat LR 1996),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이 식중독을 야기할 수 있다.
식품위생법 일부개정법률안은 무엇인가? 또한, 외식업체의 경우 업주의 위생 개념 부재와 조리 종사자들의 허술한 식품 취급이 식중독 사고로 연결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Kwak TK 등 1998). 최근 집단급식소 운영자 또는 식품접객영업자가 영업신고를 하려면 식품안전에 관한 업무를 총괄한 조리사 및 영양사 각 1명을 식품안전관리책임자로 지정하도록 하는 ‘식품위생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하였고, 식품안전관리책임자는 식중독이나 그 밖에 위생과 관련한 중대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시로 조사하거나 관계 당자로부터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Food Journal 2014). 식중독 발생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는 식품의 온도관리, 개인위생관리, 시설·설비 위생관리에 대한 영역별, 생산단계별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관리기준의 제시와 수행절차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식품위생법을 제외하고는 거의 통합된 기준이나 정부 차원의 위생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식중독 발생의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최근 집단급식소 운영자 또는 식품접객영업자가 영업신고를 하려면 식품안전에 관한 업무를 총괄한 조리사 및 영양사 각 1명을 식품안전관리책임자로 지정하도록 하는 ‘식품위생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하였고, 식품안전관리책임자는 식중독이나 그 밖에 위생과 관련한 중대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시로 조사하거나 관계 당자로부터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Food Journal 2014). 식중독 발생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는 식품의 온도관리, 개인위생관리, 시설·설비 위생관리에 대한 영역별, 생산단계별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관리기준의 제시와 수행절차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식품위생법을 제외하고는 거의 통합된 기준이나 정부 차원의 위생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식품의 생산단계에서 소비에 이르는 과정이 위생적으로 관리되지 못할 경우 식품 매개 식중독이 발생하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든 단계에서 과학적인 방식에 따른 위생관리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Lee HJ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ramouni FM, Boyle EAE, Vogt LR. 1996. Introduction to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concept in a small meat-processing plant. Dairy Food Environ Sanit 16(7): 431-439 

  2. Beuchat LR. 1996. Pathogenic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J Food Prot 59(2):204-216 

  3. Bryan FL. 1988. Risks of practices procedures and processes that lead to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J Food Prot 51(8): 663-673 

  4. Center for Science in the Pubic Interest. 2010. The ten riskiest foods regulat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stration. Available from: http://www.cspinet.org/new/pdf/cspi_top_10_fda.pdf Accessed December 10, 2011 

  5.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2005.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ood Hyg Safety 20(1):43-47 

  6. Choung KH. 2014. Policy of expansion on hygiene grading for restaurants. Health Welf Policy Forum 2014(2):61-74 

  7. Chung MS. 2006. Hazard management and risk assessment of food. Safe Food 1(1):8-15 

  8. Cremer ML, Chipley JR. 1997. Satellite foodservice system assessment in terms of time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y of spaghetti and chili. J Food Sci 42(1):225-229 

  9. De Roever C. 1998. Microbiological safety evaluations and recommendations on fresh produce. Food Control 9(6):321-347 

  10. Donnelly CW, Briggs EH. 1986. Psychrotrophic growth and thermal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s function of milk composition. J Food Prot 49(2):994-998 

  11. Doyle MP, Erickson MC. 2008. Summer meeting 2007 the problems with fresh produce: an overview. J Appl Microbiol 105(2): 317-330 

  12. Eo GH, Hahm MH. 2009. A study on restaurant workers knowledge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Korean J Culinary Res 15(2):268-281 

  13. Favero MS, McDade JJ, Robertsen JA, Hoffman, RK, Edwards RW. 1968. Microbiological sampling of surfaces. J Appl Microbiol 31(3):336-343 

  14. Food Journal. 2014. foodservice operator 'charge of food safety management' designation.registration promote 2014. 04. 15 Available from: http://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270 Accessed April 15, 2014 

  15. Gilbert RJ, de Louvois J, Donovan T, Little C, Nye K, Ribeiro CD, Richards J, Roberts D, Bolton FJ. 2000. Guidelines for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ome ready-to-eat foods sampled at the point of sale. PHLS Advisory Committee for Food and Dairy Products. Commun Dis Public Health 3(3):163-167 

  16. Gleeson E, O'Brirne D. 2005. Effects of process severity on survival and growth of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innocua on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Food Control 16(8):677-685 

  17. Harrigan WF. 1998. Laboratory methods in food microbiology. 3r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p 307-309 

  18. Harris LJ, Beuchat LR, Kajs TM, Ward TE, Taylor CH. 2001. Efficacy and reproducibility of a produce wash in killing Salmonella on the surface of tomatoes assessed with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produce sanitizers. J Food Prot 64(10):1477-1482 

  19. Heo OS, Lee BS. 1999.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in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focused on vegetable dishes (sengchae and namul)-. J Food Hyg Safety 14(3):293-304 

  20. Jeon IK, Lee YK. 2004. Verification of the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focus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in non-heat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1154-1161 

  21. Jeong DK. 2005. Microbiological evaluations on th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Korean restaura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1611-1618 

  22. Jin SK, Kim IS, Hah KH, Park KH, Kim IJ, Lee JR. 2006. Changes of pH, acidity, protea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Korean Food Sci Ani Resour 26(2):159-165 

  23. Kassa H, Harrington B, Bisesi M, Kunder S. 2001. Comparisons of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selected kitchen area with visual inspections for preventing potential risk of foodborne outbreaks in food service operations. J Food Prot 64(4): 509-513 

  24. Kim BR, Chae SJ. 2005.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Bibimbap production flow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J Korean Home Eco Assoc 43(2): 19-31 

  25. Kim EJ, Choi JH, Kwak TK. 2009.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to determine S. aureus contamination levels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Cook Sci 25(3):365-378 

  26. Kim HJ, Kim HY, Ko SH. 2007. Applying the disinfecting effects of vinegar to raw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s: a focused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Korean J Food Cook Sci 23(4):567-578 

  27. Kim HY. 2004. A study for the quality depending on sanitization and storage method of raw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 Korean J Food Cook Sci 20(6):140-150 

  28. Kim HY. Cha JM. 2002. A study for the quality of vegetable dished without heat treatment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 Sci 18(3):309-318 

  29. Kim HY. Lee YH. 2009. A study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vegetables in relation to the sanitization method used and vegetable types. Korean J Food Cook Sci 25(5):632-642 

  30. Kim SH, Chung SY. 2003. Effect of pre-preparation with vinegar against microorganisms on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Food Sci Nutr 32(2):230-237 

  31. Kim SJ, Yi NY, Chang HJ, Kwak TK. 2008. Current status of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n food restaurants and development of the sanitary training posters based on their risk factors. Korean J Food Culture 23(5):582-594 

  32. Kwak TK, Chang HJ, Ryu K, Kim SH. 1998. Effectiveness of 70% alcohol solution and hand washing methods on removing transient skin bacteria in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Diet Assoc 4(2):235-244 

  33. Lee HJ. 2008. Pathogenic agents and outbreak of forborne disease at home and abroad. Kor J Vet Hlth 32(1):81-89 

  34. Lee JS, Bae YM, Yoon JH, Kim BR, Yoo JH, Hyun JE, Jung SY, Cha MH, Ryu K, Park KH, Lee SY. 2014. Evaluation of food safety performance and food storage condition in restaurants against climate change. J Food Hyg Safety 29(3):195-201 

  35. Lee YS, Lee SH, Ryu K, Kim YS, Choi HC, Jeon DH, Lee YJ, Ha SD. 2007. Survey on practical use of sanitizer and disinfectant on food utensils on institutional foodservice J Food Hyg Safety 22(4):338-345 

  36. Lim TH, Choi JH, Kang YJ, Kwak TK. 2013. The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through u-HACCP application and the verification of microbial quality improvement in a small size restaura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3): 464-477 

  3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Material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Seoul. p 39, pp 68-93 

  38. Moon HK, Jean JY, Kim CS. 2004. Effect of sanitization on raw vegetables not heated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10(4):381-389 

  39. Nam EJ, Kang YJ, Lee YK. 2008.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foods in large western-style restaur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8):1049-1057 

  40. Paulson DS. 1992. Evaluation of three hand wash modalities commonly employed in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Dairy Food and Envir Sanit 12(1):615-618 

  41. Shin DH, Sho GS, Kim HE, Kim YS. 2007. 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with step-by-step working process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Food Hyg Safety 22(3):63-75 

  42. Snyder Jr OP. 1992. HACCP-an industry food safety self-control program part VI. Dairy Food Environ Sanit 12(6):362-365 

  43. Solberg M, Buckalew JJ, Chen CC,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12):68-73 

  44. Tebbutt GM. 1991. Development of standardized inspections in restaurants using visual assessments and microbiological sampling to quantify the risks. Epidemiol Infec 107(2):393-394 

  45. US CDC. 2010. Multistate foodborne outbreak investigations. Available from: http://www.cdc.gov/outbreaknet/outbreaks.html Accessed April 10, 2012 

  46. US FDA. 2013. FDA food code 2013. Available from: http://www.fda.gov/downloads/Food/GuidanceRegulation/RetailFoodProtection/FoodCode/UCM374510.pdf Accessed December10, 2013 

  47. You WC, Park HK, Kim KL 2000.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of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2):12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