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간편식(HMR)의 안전성 관리체계
Management system for ensuring safety of HMR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0 no.3, 2017년, pp.51 - 59  

조승용 (식품안전정보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nature of HMR food that is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its safety managemen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relevant food types in food code corresponding to HMR foods are addressed, and the criteria for hygiene indicator bacteria and food poisoning bacteria, and storage and distribu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HMR은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하면서도 1차 조리된 상태로 보관 유통되어 오염위험이 매우 크지만 관련 관련규제는 산업발전 속도와 변화하는 산업환경을 따라가지 못하여 오히려 산업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본보에서는 급격하게 선장하고 있는 HMR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관리현황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MR이란? HMR이란 home meal replacement의 약어로 원래 1990년대 미국의 테이크 아웃제품 체인인 BostonMarket의 가정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것을 대행하는 제품의 브랜드 명이 일반화 된 것으로, 가정에서 한끼 식사를 간편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주요리 등의 형태로 고안된 식품을 지칭한다(1).
HMR 제품은 어떻게 나뉘어지는가? HMR 제품은 조리된 상태로 유통되는 제품이 많아 위생에 민감하고,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 오염에 민감한 재료에 의해 제품 전체가 오염되는 위험도가 높아 주로 즉석섭취·편의식품류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이는 섭취형태에 따라 도시락, 김밥, 햄버거 등 바로 섭취가 가능한 즉석섭취식품, 국이나 수프 등과 같이 단순가열 등의 조리과정을 거치는 즉석조리식품, 그리고 샐러드 등과 같이 최소가공 농·임산물에 단순히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신선편의식품으로 나누어 진다.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는데, 2018년 1월부터 시행되는 식품공전에 의하면 식품의 유형은 기본적으로 원료 및 제조·가공 특성에 따라 분류되어 우선적으로 적용되고, 여기에 따로 기준규격이 없는 경우 소비형태에 따라 즉석식품류에 해당하면 다시생식류, 즉석섭취·편의식품류, 만두류 등으로 분류한다.
HMR의 식품유형은? HMR이란 점포 외에서 일반적으로 가정식형태로소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완전조리 또는 반조리형태의 제품으로 가정에서 바로 섭취하거나 가열 등간단한 조리과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식품을 말한다(5). 이는 식품유형으로는 만두류, 즉석섭취·편의식품류 등의 즉석식품류에 해당하며, 이 정의에 해당하지만 따로 기준 및 규격이 정해져 있는 면류나, 피자 등 빵류의 경우는 그 식품유형을 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osta AIA, Dekker M, Beumer RR, Rombouts FM, Jongen WMF. A consumer-orien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home meal replacements. Food Qual. Prefer. 12: 229-242 (2001) 

  2. Jin PS, Woo CJ, Yoon HS. A study on the status and policy issues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industry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 1-150 (2015) 

  3. Kim YJ, Byun MH. Why home meal replacement has been developed? Food Ind. Nutr. 22: 8-12 (2017) 

  4. Ju SY. Study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39-1644 (2012) 

  5. Lee HY, Chung L, Yang I. Conceptualizing and prospecting for home meal replacement (HMR) in Korea by delphi technique. J. Nutr. Health 38: 251-258 (2005) 

  6. Na JK, Kim GA.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home meal replacement. Korea J. Tour Hosp. Res. 26: 233-248 (2012) 

  7.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등 기준 설정 원칙 및 적용. 개정판 (2016) 

  8. Kim HY, Oh SW, Chung SY, Choi SH, Lee JW, Yang JY, Seo EC, Kim YH, Park HO, Yang CY, Ha SC, Shin IS. An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products in Seoul,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9-44 (2011) 

  9. Kang TM, Cho SK, Park JY, Song KB, Chung MS, Park JH.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cut salads in a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0-494 (2011) 

  10. 식약처보도자료. 편의점 즉석섭취식품 안전한 수준 - 즉석섭취식품 섭취시 주의사항 안내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11. 식약처보도자료. 하절기 다중이용시설 전국 합동점검 결과 - 해수용장유원지 주변 음식점, 여름철 성수식품 제조업체 등-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12. 식약처보도자료. 도시락 등 가정간편식 제조 및 유통.판매업체 점검 결과.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13. Bae HJ, Park HJ.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ready-to-eat sandwiches and quality improvement effect by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 Sci. 27: 55-65 (2011) 

  14. Park KH. Development of generic HACCP model for ready-to-eat foods. KFDA (2007) 

  15. Yiannas F. Food safety culture. Creating a behavior-base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Springer New York (2009) 

  16. Nayak R, Waterson P. The assessment of food safety culture: An investigation of current challenges, barriers and future opportunities within the food industry. Food Control 73: 1114-1123 (2017) 

  17. De Boeck E, Jacxsens L, Bollaerts M, Vlerick P. Food safety climate in food processing organizatio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assessment tool. Trends Food Sci. Technol. 46: 242-251 (2015) 

  18. Wright M, Leach P, Palmer G. A tool to diagnose cultures in food business operators (FBOs). Food Standards Agency (2013) 

  19. De Boeck E, Mortier AV, Jacxsens L, Dequidt L, Vlerick P. Towards an extended food safety culture model: Studying the moderating role of burnout and jobstress, the mediating role of food safety knowledge and motiv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food safety climate and food safety behavior. Trends Food Sci. Technol. 62: 202-214 (2017) 

  20. MFDS. Food code. Food and drug safety notification(No.2017-57).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