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은 콩 및 노란 콩의 품질 특성 및 콩 부위별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lack and Yellow Soybea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6, 2014년, pp.757 - 761  

이란숙 (한국식품연구원) ,  최은지 (한국식품연구원) ,  김창희 (한국식품연구원) ,  김영붕 (한국식품연구원) ,  금준석 (한국식품연구원) ,  박종대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검은 콩 흑태, 서리태 및 노란 콩 백태를 대상으로 백립중, 색도 등 물리적 특성과 종피 제거 전과 후의 각 부분에 대한 항산화 성분항산화 활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백립중은 서리태가 39.1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 종실에 대한 자엽의 무게 비는 백태가 94.4%로 가장 높았다. 콩 표면의 종피 색은 백태에서 그리고 자엽 표면에 대한 색은 흑태와 백태에서 L, a, b 값 모두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서리태 자엽의 a 값은 -5.66으로 자엽 표면의 색이 녹색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화합물은 서리태 종피에서 25.2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안토시아닌 함량 또한 서리태 종피에서 6.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측정 방법에 상관없이 서리태의 종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콩 부분별로는 자엽에서 그리고 콩 종류별로는 백태에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 관계 분석결과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상관계수 값은 0.9 이상으로 높은 양의 상관 관계(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DPPH 활성과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997). 따라서 검은 콩 및 노란 콩 각 부분에 대한 항산화 성분과 활성에 대한 이상의 연구 결과는 건강 증진을 위한 콩 제품 개발시 콩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contribution to antioxidant activity in the seed coats, dehulled and whole black and yellow soybeans.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were analyzed. FRAP, DPPH and ABTS assays were carried 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에 검은 콩의 종피에 의한 항산화, 혈전 용해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과가 밝혀지면서(10-12) 혼반용으로 대부분 이용되던 검은 콩은 두유, 스낵 등 가공식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의 이용이 증대되고 있으나 국내산 검은 콩인 흑태 및 서리태 그리고 노란 콩인 백태의 각 부위에 대한 항산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공 식품 용도에 맞게 콩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강원도 정선산 검은 콩과 노란 콩을 대상으로 종피 및 종피 제거 전과 후의 콩의 총 페놀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 그리고 그들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검은 콩 및 노란 콩 종피 제거 전과 후에 관찰되는 총 페놀 화합물 차이는? 1에 나타내었다. 총 페놀 화합물은 검은 콩인 서리태 및 흑태 종피에서 각각 25.2 및 23.9 mg/g으로 노란 콩인 백 태 종피에서의 2.5 mg/g 보다 약 1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종피 제거 전의 원료 콩에서의 총 페놀 화합물과 종피 제거 후의 자엽 중에 함유된 총 페놀 화합물은 3.8-4.4 mg/g으로 모든 콩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검은 콩의 종피에 다량 함유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콩의 자엽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종피는 배유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phenolic 화합물이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다(3-5). 특히 어두운 종피색을 갖는 검은 콩은 종피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anthocyanin에 의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9).
검은콩 흑태 및 서리태, 노란 콩 백태와 같이 콩 품종에 따른 백립중의 차이는? 콩 품종에 따른 콩 종실의 무게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백립중 및 종피 제거 전후의 종실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백립중은 서리태가 39.1 g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흑 태 32.5 g 및 백태 31.4 g 순으로 나타났다. 백립중은 콩 100알의 무게로서 콩 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콩의 백립 중은 6-55 g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백립중 무게에 따라 소 립종, 중립종 및 대립종으로 나눌 수 있다(18,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iu KS. Chemistry and nutritional value of soybean components. pp. 25-113. In: Soybean. Chapman & Hall, New York, NY, USA (1997) 

  2. Kim EH, Ro HM, Kim SL, Kim HS, Chung IM. Analysis of isoflavone, phenolic, soyasapogenol, and tocopherol compound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germ plasms of different seed weights and origins. J. Agr. Food Chem. 60: 6045-6055 (2012) 

  3. Duenas M, Hernandez T, Estrella I. Assessment of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of the seed coat and the cotyledon of legumes in relation to their phenolic contents. Food Chem. 98: 95-103 (2006) 

  4. Duenas M, Estrella I, Hernandez T. Occurrence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seed coat and the cotyledon of peas (Pisum sativum L.). Eur. Food Res. Technol. 219: 116-123 (2004) 

  5. Xu B, Chang SKC. Antioxidant capacity of seed coat, dehulled bean, and whole black soybeans in relation to their distributions of total phenolics, phenolic acids, anthocyanins, and isoflavones. J. Agr. Food Chem. 56: 8365-8373 (2008) 

  6. Takahashi R, Ohmori R, Kiyose C, Momiyama Y, Ohsuzu F, Kondo K.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and yellow soybeans against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J. Agr. Food Chem. 53: 4578-4582 (2005) 

  7. Xu BJ, Yuan SH, Chang SKC. Comparative studi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nine common food legumes against copperinduced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 vitro. J. Food Sci. 72: S522-S527 (2007) 

  8. Furuta S, Takahashi M, Takahata Y, Nishiba Y, Oki T, Masuda M.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soybean cultivars with black seed coats. Food Sci. Technol. Res. 9: 73-75 (2003) 

  9. Xu BJ, Yuan SH, Chang SKC. Comparative analyses of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color of cool season legumes and other selected food legumes. J. Food Sci. 72: S167-S177 (2007) 

  10. Joo EY, Park CS.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chungkukjang (fermented soybeans) prepared from a black soybean cultivar. Korean J. Food Preserv. 17: 874-880 (2010) 

  11. Sa JH,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Kim YJ, Cheung EH, Kim GG, Choi DS.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organs of small black soybean (yakkong) grown in the area of Jungsu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09-315 (2003) 

  12. Yi ES, Yi YS, Yoon ST, Lee HG. Variation in antioxidant components of black soybean as affected by variety and cultivation region. Korean J. Crop Sci. 54: 80-87 (2009) 

  13. Slinkard K, Singleton VL. Total phenol analyse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 J. Enol. Viticult. 28: 49-55 (1977) 

  14. Lee J, Durst RW, Wrolstad RE. Determination of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88: 1269-1278 (2005) 

  15.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16.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Use of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995) 

  17.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Byrne DH.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 669-675 (2006) 

  18. Burris JS, Edje OT, Wahab AH. Effect of seed size on seedling performance in soybeans. II. Seedling growth and photosynthesis and field performance. Crop Sci. 13: 207-210 (1973) 

  19. Smith TJ, Camper HM Jr. Effect of seed size on soybean performance. Agron. J. 67: 681-684 (1975) 

  20. Lee SJ, Kim JJ, Moon HI, Ahn JK, Chun SC, Jung WS, Lee OK, Chung IM. Analysis of isoflavones and phenolic compounds in Korean soybean (Glycine max (L.) Merill) seeds of different seed weights. J. Agr. Food Chem. 56: 2751-2758 (2008) 

  21. Kim S.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black beans. M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2007) 

  22. Lin PY, Lai HM. Bioactive compounds in legumes and their germinated products. J. Agr. Food Chem. 54: 3807-3814 (2006) 

  23. Slavin M, Cheng Z, Luther M, Kenworthy W, Yu LL.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enolic, isoflavone, tocopherol and carotenoid composition of Maryland-grown soybean lines with altered fatty acid profiles. Food Chem. 114: 20-27 (2009) 

  24. Monma M, Terao J, Ito M, Saito M, Chikuni K. Carotenoid components in soybean seeds varying with seed color and maturation stage. Biosci. Biotech. Bioch. 58: 926-930 (1994) 

  25. Katsuzaki H, Hibasami H, Ohwaki S, Ishikawa K, Imai K, Date K, Kimura Y, Komiya T. Cyanidin-3-O- ${\beta}$ -D-glucoside isolated from skin of black Glycine max and other anthocyanins isolated from skin of red grape induce apoptosis in human lymphoid leukemia Molt 4B cells. Oncol. Rep. 10: 297-300 (2003) 

  26. Yoshida K, Sato Y, Okuno R, Kameda K, Isobe M, Kondo T. Structural analysis ans measurement of anthocyanin from colored seed coats of Vigna, Phaseolus, and Glycine legumes. Biosci. Biotech. Bioch. 60: 589-593 (1996) 

  27. Choung MG, Baek IY, Kang ST, Han WY, Shin DC, Moon HP, Kang KH.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seed coat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J. Agr. Food Chem. 49: 5848-5851 (2001) 

  28. Floegel A, Kim DO, Chung SJ, Koo SI, Chun OK.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 Anal. 24: 1043-1048 (2011) 

  29. Tyug TS, Prasad KN, Ismail A.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s and isoflavones in soybean by-products. Food Chem. 123: 583-58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