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modified RAM의 기능별 가중치 부여를 통한 농촌지역 연못형습지의 보전가치 평가
The assessment of conservation value for agricultural pond wetland using the weighted function of modified RAM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0 no.4, 2014년, pp.13 - 24  

손진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미희 (농촌진흥청 지식정보화담당관실) ,  이시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강동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강방훈 (농촌진흥청 미래창조전략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nd wetlands in agricultural landscape are important natural resources that carry out the function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However, recently, those have been gradually embedded as their utility value were disappeared. And, the assessment methods used for pond wetlands are insufficie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연못형습지를 대상으로 RAM평가를 실시하고 앞에서 거론한 부적합한 항목 및 기능을 추출하여 RAM 평가체계의 연못형습지 적용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기능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못형습지가 가지는 기능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연못형습지 실정에 맞는 평가체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 또한 습지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복원, 보전하기 위한 현재 사용 중인 평가체계는 연못형습지에는 미흡한 실정으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못형습지를 대상 가중치를 적용한 RAM평가를 실시하여 연못형습지의 기능별 가치를 판단하고 연못형습지 중심의 평가체계 개선을 제시하였다.
  • 평가는 평가항목, 기능별 평가결과, 보전가치, 일반 생육환경 등 본 연구에서 활용한 모든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못형습지의 평가에 활용 힘든 항목이나 평가결과에 밀접하게 작용하는 항목 및 생육환경을 파악, 선별하여 향후 평가체계 수정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연못형습지를 대상으로 RAM평가를 실시하고 앞에서 거론한 부적합한 항목 및 기능을 추출하여 RAM 평가체계의 연못형습지 적용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기능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못형습지가 가지는 기능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연못형습지 실정에 맞는 평가체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수시설은 어떤 형태로 분류되고 있는가? 한편, 우리나라 농업경관은 여름철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저수지, 연못 및 둠벙 등의 임시적인 용수저장 시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국립농업과학원, 2008; 김항아 등, 2012). 최근 들어, 이러한 담수시설은 습지로서 다양한 생태적 기능이 인정되어 호수형습지, 소택형습지, 인공습지의 형태로 분류되고 있다 (Cowardin et al., 1979; 이효혜미, 2000; 김귀곤, 2003; 환경부 등, 2005; Ramsar, 2014).
연못형습지가 최근 논 농업환경 개선사업 등 수리시설 확충으로 발생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못형습지는 국가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다양한 습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농업경관의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 받는다(손 진관 등, 2010; 한민수 등, 2010). 하지만 최근 논 농업환경 개선사업 등 수리시설 확충으로 활용기능이 축소되고 인식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매립 후 경작지로 사용되는 한편, 방치 및 관리의 부실로 토양 및 수자원의 오염, 외래종의 유입이 확산되어 보전가치 제시와 복원방향의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강방훈 등, 2009; 강방훈 등, 2010;김재옥 등, 2011; 손진관 등, 2012a).
습지란? 습지는 토양, 수문, 지형 등이 독특한 환경조건이며,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하고 생산성이 높은 육상과 수생사이의 중요한 생태적 전이지역으로 평가된다(Mitsch and Gosselink, 1993; Cylinder et al., 1995; 환경부, 2001; 조동길, 2004;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강 방훈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ergstedt, J. 1992. Handbuch Angewandter Biotopschutz. Okologische und rechtliche Grundlagen, Merkblatter und Arbeitshilfen fur die Praxis (1 Ordner mit Loseblatt-Sammlung). Landsberg (Ecomed). 

  2. Beon, MS, Oh, HK, Kim, JB., 2006. Vascular plants and deterioration status of Osongjae, Ogongjae, Shinyongjae and Eodujae reservoir in Jeonju.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4) : 24-35. 

  3. Byeon, WI.,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Model of Ecological Park as Stormwater Storage Facilities.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3) : 1-16. 

  4. Cho, DG., 2004. Study on the ecological planting design model for restoration and creation of palustrine wethlands : focusing on biodiversity promotion. Doctoral Thesis, Seoul University. 

  5. Cowardin L. M., Virginia Carter, Francis C. Golet and Edwar 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6. Cylinder, P.D., Bogdan, K. M., Davis, E. M., and Herson, A. I.,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Solano Press Books Point Arena, California. 

  7. Duelli, P., 1997. Biodiversity evaluation in agricultural landscapes: an approach at tow different scale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62: 81-91. 

  8. Han, MS, Bang, HS, Kim, MH, Kang, KK, Jung, MP and Lee, DB.,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Scavenger Beetles (Hydrophilidae) in Korean Paddy Field. Korean J. Environment Agricultural, 29(4) : 427-433. 

  9. Kang, BH. Son, JK, Lee, SH and Kim NC., 2009.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3) : 33-48. 

  10. Kang, BH. Son, JK, Kim, MH and Kim NC., 2010. The Study on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through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6(3) : 103-115. 

  11. Kim, KG., 2003. Natural and human make wetlands. Books Academy, Seoul. 

  12. Kim, JO, Shin, HS, Yoo, JH, Lee, SH, Jang, KS and Kim BC., 2011.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for Ecological Improvement in Paddy Fields. Korean J. of Limnol., 44(3) : 253-263. 

  13. Kim, HA, Choi, JY, Kim, S, Do, Y, Joo, GJ, Kim, DK and Kim, HW., 2012.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Petite Ponds (Dumbeong) for Irrigation: A Case Study in Goseong Region of South Korea. Korean J. of Limnol., 45(4) : 490-498. 

  14. Koo, BH.,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pping methods of wetlands in Korea. Doctoral Thesis, Seoul University. 

  15. Koo, BH., 2009. Wetland Ecology, Landscape Book Publisher. 

  16. Koo, BH and Kim, KG., 2001. Classifying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s in Korea : Cases on the Inland Wetlands.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4(2) : 11-25. 

  17. Lee, DW., 2004. 2004. The traditional ecology in korea. Science Books, korea. 

  18. Lee, HHM., 2000. Wetland classification in korea. Marster's Thesis, Inha University. 

  19. Lee, HS, Shin, SI, Choi, JK and Jung, SU., 2008.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ropic State of a Small Scale Pond in Ecological Park. Spring Conference book. 

  20. Lim, YR and Kim, KG., 2009. Wetland Restoration Site Selection for Promoting Biodiversity in Abandoned Rice Paddy Fields : Focusing on Gounpo Ban-wol Stream Watershed.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1) : 52-66. 

  21. Millennium Ecosystems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ing : Multiscale Assessment,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Seres, 4, Washington, DC. 

  22. Mitsch, WJ and Gosselimk, JG, 1993. Wetland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23.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01. A research of evalu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inland wetland class. 

  24. Ministry of Environment(MoE), UNDP/GEF and Korea Wetland Project (KWP), 2005. National Wetland Inventory Development Project Final Report. 

  25.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2008). Agricultural bio-technology research. 

  26.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4, Ramsar Convention Manual. 

  2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05.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on biotope management and restor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ecosystems in rural area. 

  28. Son, JK, 2009. The study on the environment fators affecting biodiversity at pond wetland in rural area.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9. Son, JG, Kim, NC and Kang, BH, 2010. The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Assessment at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6) : 117-131. 

  30. Son, JK, Kim, NC, Kim, MH and Kang BH., 2012.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Growth Environment at Rural Palustrine Wetland. The Korea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5) : 129-144. 

  31. Son, JK, Kang, DH, Lee, SY and Kang BH, 2014. The Functional Selection for th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at Pond Wetland in Agricultural Landscape. Conference book. 

  32. Son, JG, Sung, HC and Kang, BH., 2011. Study on the Selection of Suitable site for Palustrine Wetland Creation at Habitat Restoration Areas for Oriental stork(Ciconia boyciana). Study on the Selection of Suitable site for Palustrine Wetland Creation at Habitat Restoration Areas for Oriental stork(Ciconia boyciana), 13(1) : 95-104. 

  33. Tilton, DL, Karen, S, Brian, B and William, T., 2001. A wetland protection plan for the lower one subwatershed of the rouge river, Aquatic Botany, 28, pp. 227-2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