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
Nutritional Support, Gastric Residual Volume and Nutritional Status during Enteral Nutrition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6, 2014년, pp.621 - 629  

이민주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외과계중환자실)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upport, gastric residual volume,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on enteral feeding. Methods: A descriptive longitudinal design was used to collect 5 day data on enteral nutrition of 52 ICU pat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환자실 환자들은 집중적인 영양지원이 요구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공급을 받지 못해 영양불량 상태에 처할 위험이 있으며 영양불량은 임상적 결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이와 관련된 간호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를 분석함으로써 중환자실 환자의 영양지원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여 영양지원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의 치료와 간호에서 적절한 영양지원이 중요한 이유는? 영양은 생명 활동의 에너지원으로 인간 생존의 필수요소이다. 중환자실 환자 중 대다수는 손상, 쇼크, 패혈증 및 다발성 장기부전증 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해 대사가 증가하고 단백질 이화작용이 촉진되어 영양요구량이 급속하게 상승하게 된다[1]. 따라서 중환자의 치료와 간호에서 적절한 영양지원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경장영양의 장점은? 경구영양이 불가능한 중환자실 환자의 영양지원은 경장영양 또는 정맥영양으로 제공된다. 이 중 경장영양은 정맥영양에 비해 간기능 부전과 대사성 교란 가능성이 적고 비용 효과적이며, 장점막의 통합성과 영양분의 흡수를 강화시키고, 대사반응과 면역반응을 향상시킴으로써 감염과 같은 합병증 발생을 줄여준다[3]. 특히 조기경장영양은 감염발생률을 낮추고 재원기간을 단축시키므로, 중환자실 치료 및 영양과 관련된 지침들[3,4]에서는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실하면 1~2일 이내에 경장영양을 시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경구영양이 불가능한 중환자실 환자의 영양지원 방법은? 경구영양이 불가능한 중환자실 환자의 영양지원은 경장영양 또는 정맥영양으로 제공된다. 이 중 경장영양은 정맥영양에 비해 간기능 부전과 대사성 교란 가능성이 적고 비용 효과적이며, 장점막의 통합성과 영양분의 흡수를 강화시키고, 대사반응과 면역반응을 향상시킴으로써 감염과 같은 합병증 발생을 줄여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Elamin EM, Enrico C. Evidence-based nutritional support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rnational Anesthesiology Clinics. 2009;47(1):121-38. http://dx.doi.org/10.1097/AIA.0b013e3181950055 

  2. Yun SH, Kim SJ, Oh EG. Healthcare professional's knowledg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early enteral nutrition for critically ill patients. Korean Journals Critical Care Medicine. 2012;27(1):36-44. http://dx.doi.org/10.4266/kjccm.2012.27.1.36 

  3. McClave SA, Martindale RG, Vanek VW, McCarthy M, Roberts P, Taylor B. Guidelines for the provision and assessment of nutrition support therapy in the adult critically ill patient: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SCCM) and Americ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A.S.P.E.N.).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09;33(3):277-316. http://dx.doi.org/10.1177/0148607109335234 

  4. Heyland DK, Dhaliwal R, Drover JW, Gramlich L, Dodek P. The canadian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Canadi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nutrition support in mechanically ventilated, critically ill adult. Canadi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09;27(5):355-73. http://dx.doi.org/10.1177/0148607103027005355 

  5. Park YO, Kang EH, Park SJ, Park MA, Yoon SY, Kim SL, et al. A current survey of the gastric residual volume in critically ill patients who are receiving enteral nutr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arental & Enteral Nutrition. 2009;2(1):24-9. 

  6. Park EK. Degree of enteral tube feed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change in nutritional statu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7. De Jonghe B, Appere-De-Vechi C, Fournier M, Tran B, Merrer J, Melchior JC, et al. A prospective survey of nutritional support practice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what is prescribed? What is delivered? Critical Care Medicine. 2001;29(1):8-12. 

  8. Park EK, Lee JH, Lim HS. Degree of enteral tube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change in nutritional statu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1;7(3):217-26. 

  9. Barr J, Hecht M, Flavin KE, Khorana A, Gould MK. Outcom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nutritional management protocol. Chest. 2004;125(4):1446-57. 

  10. Dobson K, Scott A. Review of ICU nutrition support practice: implementing the nurse-led enteral feeding algorithm. Nursing in Critical Care. 2007;12(3):114-23. http://dx.doi.org/10.1111/j.1478-5153.2007.00222.x 

  11. Appelboam R, Sair M. Nutrition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 Anaesthesia and Intensive Care Medicine. 2006;7(2):121-3. 

  12. Bourgault AM, Ipe L, Weaver J, Swartz S, O'Dea PJ.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guidelines and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of enteral feeding. Critical Care Nurse. 2007;27(4):17-29. 

  13. Moon SS, Lim HS, Choi JW, Kim DK, Lee JW, Ko SH, et al. Analysis of nutritional support status in intensive care unit.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9;24(3):129-33. http://dx.doi.org/10.4266/kjccm.2009.24.3.129 

  14. Woien H, Bjork IT. Nutrition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 and effects of implementing a nutritional support algorithm in ICU.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6;15(2):168-7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262.x 

  15. NST Standardization Commission. Nutrition support guideline. Seoul: Korean Society for Parental & Enteral Nutrition; 2007. 

  16. Kim ME.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s based in nursing process for fluid intake/output and tube care.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1. p. 49-57. 

  17. Kim DS. Knowledg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nasogastric tube feed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ster's thesis]. Wonju: Yonsei University; 2008. 

  18. Moon SS. Analysis of nutritional supporting status in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8. 

  19. Heyland DK, Schroter-Noppe D, Drover JW, Jain M, Keefe L, Dhaliwal R, et al. Nutrition support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current practice in Canadian ICUs-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03;27(1):74-83. 

  20. Cahill NE, Dhaliwal R, Day AG, Jiang X, Heyland DK. Nutrition therapy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what is "best achievable" practice? an international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Critical Care Medicine. 2010;38(2):395-401. http://dx.doi.org/10.1097/CCM.0b013e3181c0263d 

  21. Umezawa Makikado LD, Flordelis Lasierra JL, Perez-Vela JL, Colino Gomez L, Torres Sanchez E, Maroto Rodriguez B, et al. Early enteral nutrition in adults receiving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 observational case serie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13;37(2): 281-4. http://dx.doi.org/10.1177/0148607112451464 

  22. Chi SN, Ko JY, Lee SH, Lim EH, Kown KH, Yoon MS, et al. Degree of Nutritional support and nutritional status in MICU patient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1;44(5):384-93. http://dx.doi.org/10.4163/kjn2011.44.5.384 

  23. Kirkland LL. Factors impeding enteral tube feedings. Critical Care Medicine. 1999;27(7):1383-84. 

  24. Park JY. Evidence based guideline review for enteral nutri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Nursing; 2012 September 21; Seoul, Korea. 

  25. Kim H, Stotts NA, Froelicher ES, Engler MM, Porter C. Why patients in critical care do not receive adequate enteral nutri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ritical Care. 2012; 27(6):702-13. http://dx.doi.org/10.1016/j.jcrc.2012.07.019 

  26. Higgins PA, Daly BJ, Lipson AR, Su-Er G. Assessing nutritional status in chronically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6;15(2):166-76. 

  27. Kim HS, Choi SH, Ham YJ. Nutritional status and indicato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on enteral feeding.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1):21-9. 

  28. Choi HS. A study of aspiration, gastrointestinal intolerance and reaching of daily nutritional requirement calory in adult patients receiving enteral nutrition feed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Nursing; 2012 September 21; Seoul, Korea. 

  29. Sergi G, Coin A, Enze G, Valpate S, Inelmen EM, Buttarello M, et al. Role of visceral proteins in detecting malnutrition in the elderl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6;60 (2):203-9. http://dx.doi.org/10.1038/sj.ejcn.1602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