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간호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가족의 건강교육 요구
A Study on Health Education Need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s Perceived by Visiting Nurs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3, 2014년, pp.445 - 459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홍은영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education need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s perceived by visiting nurses. Methods: Mixed method was appli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4 visiting nurse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subsequently conducted in order to obt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년 방문건강관 리사업안내(MW, 2014)에 의하면 다문화가족 건강관리 서비스 내용으로 다문화가족 지지체계 확인 및 가족 내 의사소통 장애요인파악, 다문화가족의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한 중재와 상담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 관리방법에 대한 제시는 미흡한 상태이며 다문화 가족의 건강교육에 관한 구체적 내용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재 다문화가족 건강관리를 담당하거나 향후 현장에서 실제 교재를 사용하게 될 방문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다문화가족 건강교육 실시 현황 및 이와 관련된 변수들을 파악하여, 추후 방문간호사가 실무에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다문화가족 교육교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건강관리를 위해 방문간호사가 건강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다문화가족 방문간호 경험에 대한 설문 조사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다문화가족 건강교육 실시 현황 및 장애요인, 다문화가족 건강관리를 위해 필요하다고 지각하는 교육주제 등에 관해 통합적,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가족의 건강교육 요구를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통합적,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추후 다문화가족을 위한 표준화된 건강교육 교재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다문화가족 방문간호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방문간호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가족 건강교육 요구를 심층적,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추후 다문화가족 건강교육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다문화가족 건강교육을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방문간호사들의 관련 경험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다문화가족 건강교육의 필수 주제를 도출하고 방문보건사업의 효율적 실시방안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방문간호 실무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로 표준화 된 건강교육 교재와 매뉴얼을 개발하여 다문화가족 건강교육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들이 영양과 건강 분야 조사에서 가장 관심 있는 부분은? 다문화가정 이주 여성들의 영양과 건강 분야 조사에서 가장 관심 있는 부분이 자녀의 영양관리라고 하였고, 식생활 관련 교육내용별 요구도는 임신 중의 식사관리 36.6%, 자녀들의 올바른 식생활 교육 30.
결혼 이주여성들터이 의료기관 접근성이 낮은 이유는? 결혼 이주여성들 중 지난 1년간 아파서 의료기관 이용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의 45.2%(Ministry of Health & Welfare[MW], 2009)로, 결혼이주여성은 중요한 건강관리 대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병원비 부담, 의사소통 문제, 의료기관까지 이동 문제, 동행자 부재,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문제 등으로 인해 의료기관 접근성이 낮으므로(Kim, 2008; Jeong et al., 2009), 방문간호를 통해서 결혼이주자 본인은 물론 자녀양육과 가족 건강관리에 대한 교육과 상담이 필요하다(Yang et al.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제 중 특히 유병률이 높은 것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제로 빈혈(19.6%), 임신 중 체중증가 미달(8.3%), B형간염(8.2%), 산․전후 출혈(9.4%) 등 임신과 출산 동안에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질환의 유병률이 높았다(MW, 2009). 또한 결혼이주 여성은 한국여성에 비해 임신 중 산전진찰이나 산전 교육을 잘 받지 않으며(MW, 2009),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고 관련 정보가 대부분 한국어로 제공 되어 혼자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결혼이주여성의 산전관리와 산전교육의 실천 부족은 고위험 임신과 그에 따른 출산결과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Je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Y. H. (2008).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2), 18-26. 

  2. An, J. S., Kim, H. R., Yang, S. J. (2013). Factors related with health literacy in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4), 377-387. 

  3. Cho, K. S., Lee, S. Y., Jang, J. H. (2012).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oral health of muticultural family via Korean women - with focused on asan-si -.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16(1), 323-340. 

  4. Hsieh, H. F.,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5. Jeong, G. H., Koh, H, J., Kim, K. S., Kim, S. H., Kim, J. H., Park, H. S., Lee, Y. S., Han, Y. R., & Kim, K. W. (2009).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4), 261-269.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4.261 

  6. Kim M. J. (2011). A comparative study on birth outcomes between Korean women an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4), 407-414. 

  7. Kim, E. H., Lee, E. J., Kim, M. J., Park, D. Y., & Lee, S. H. (2010).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f pregnancy and delivery on pregnancy related knowledge, newborn care knowledge, and postpartum care self-efficac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78-87.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78 

  8. Kim, H. R. (2013). Health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olicy issu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9. Kim, T. I., Kim, J. Y., & Jung, G. H. (2012). Contraceptive knowledge and practice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4), 290-301.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4.290 

  10. Kim, S. K., Cho, A, J,, Kim, Y. K., Do, S. R., & Lee, K. W. (2006). The survey on the national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1. Kim, H. S. (2008).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4), 248-256. http://dx.doi.org/10.4069/kjwhn.2008.14.4.248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April). Marriage-based immigrant cohort study. Retrieved July 20, 2014, from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201.jsp?menuIdsHOME001-MNU1155-MNU1083-MNU1375-MNU0025&fid28&q_type&q_value&cid25739&pageNum1 

  13. Kwon, G. Y., & Park, K. W. (2007).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ives.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14(2), 187-21. 

  14. Lee, B. S., Kim, J. S., & Kim, K. S. (2013). Factors that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7(1), 64-75.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64 

  15. Lee, H. L., Lee, K. H., La, J. Y., An, S. Y., & Kim, Y. H. (2012). Oral health behaviors of mothers and dental cari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39(2), 111-119. http://dx.doi.org/10.5933/JKAPD.2012.39.2.111 

  16.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4, May). Stat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Retrieved July 10, 2014, from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policy02_05a.jsp?funcview&idx691668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A survey on the reproductive health of the immigrant women of international marriage. Retrieved August 12, 2014,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05141&page1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Manual for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Sejong: Author. Retrieved november 12, 2014, from http://www.inhealth.or.kr/data/data_read.jsp?m_seq27655&p_PAGENUM1&p_SCHSTR&p_SCHBOX 

  19. Park, M. S., & Park, J. K. (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korean spoken capability on the family l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tion women.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4(1), 19-41. 

  20. Park, M. H., & Yang, S. J. (2012). Development of measurement of stres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6(3), 518-531.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518 

  21.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 in Nursing Science, 8(3), 27-37. 

  22. Statistics Korea. (2014, July). Statistics of 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Retrieved August 12, 2014,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819 

  23. Yang, J. H., Park, H. J., Kim, S. S., Kang, E. J., Byun, S. H., & Bang, J. S. (2012). Adaptation experience to family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36-47.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36 

  24. Yang, N. R., Kim, H. S., & Kim, M. K. (2011). Current complementary feeding and maternal nutritional knowledge in multicultural family: Compared to the Korean survey.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14(3), 286-298. http://dx.doi.org/10.5223/kjpgn.2011.14.3.286 

  25. Yi, M. S., Kang, H. S., Kim, D. O., Kim, W. O., Kim, J. H., & Lee, B. S. (2009).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 setting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3), 324-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