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졸업을 앞둔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Scale for Graduati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3, 2014년, pp.590 - 604  

주가을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송경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ursing competence scale for soon to be 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study for development of a scal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group discussion of 13 profess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졸업을 앞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역량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되 측정의 효율성을 고려한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간호교육의 학습성과를 얼마나 달성하였는지 파악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수집된 결과를 근거로,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이를 보완하거나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전문직 간호사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간호인을 양성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간호역량은 직무만족도, 생산성, 성과, 자아개념, 전문직 자아개념, 스트레스 등과 관련이 있는데, 간호 역량 증가는 직무만족으로 이어지고 이는 간호의 질 향상, 타 부서와의 원활한 관계 형성, 이직률 감소 등 간호생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조직 성과와도 연결되므로(Ha & Choi, 2010), 졸업시점 간호학생은 일정 수준 이상의 간호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간호학생이 어떠한 핵심간호역량을 얼마나 갖추었 는지 졸업시점에서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평가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간호역량 측정도구 및 연구들을 기반으로, 졸업을 앞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핵심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예비문항은 문헌고찰,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를 구한 다음 요인분석 후 적합하지 않은 문항을 제거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문항에 대해 구성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졸업을 앞둔 간호학생의 핵심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간호사인 졸업을 앞둔 간호 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간호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그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졸업을 앞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역량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되 측정의 효율성을 고려한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간호교육의 학습성과를 얼마나 달성하였는지 파악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수집된 결과를 근거로,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이를 보완하거나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전문직 간호사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간호인을 양성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의료 인력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직종으로,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 속에서 국민 건강과 밀접 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있는 전문직업인을 길러내는 것이 간호교육의 궁극적 목표가 된다. 간호사는 전문지식과 기술은 물론 상황에 따른 빠르고 정확한 판단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실제 현장에서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통합적인 실무수행능력이 요구된다(Choi & Kim, 2013).
간호교육기관에서 졸업학년 학생들이 일정 수준의 간호사 핵심 역량을 갖추었음을 보장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교육기관은 이러한 역량 있는 간호사를 양성하고 배출하기 위해 최소한의 질 보장을 위한 평가 체계를 운영하여 졸업학년 학생이 일정 수준의 간호사 핵심역량을 갖추었음을 보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간호교육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여 간호의 사회적 책무를 다할수 있는 간호사를 양성하기에 충분한 지를 판단하고, 교육기관 스스로 꾸준히 자체교육여건과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함으로써 자체 발전을 추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3).
역량이란 무엇인가? 역량은 과업을 수행하는 능력으로 지식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바람직한 결과를 이끌어내며, 인지적, 정서적, 정신운동 영역을 통합하는 능력으로 (Meretoja, Isoaho, & Leino-Kilpi, 2004), 간호역량은 지식을 실무에 통합하는 능력, 경험, 비판적 사고, 능숙한 술기, 돌봄, 의사소통, 환경, 동기부여, 전문성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Smith, 2012). 핵심간호 역량은 일반간호사에게 분야에 상관없이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능력으로(Kim, 2006), 우리나라에서도 간호사의 핵심간호역량의 구성요소로는 선행연구와 간호평가원에서 정의한 바 있으나 이러한 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과 검증은 부족한 실정이다(Yanhua & Wats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H., Kweon, E. K., Choi, E. S., & Gu, E. J. (2011). Effects of competency level in communication on professional competence of public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5(2), 233-243. 

  2. Carper, B. (1978).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 in nurs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1), 13-23. 

  3. Choe, M. A., Bang, K. S., Park, Y. H., & Kang, H. J. (2011).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in Korea.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8(2), 129-138. 

  4. Choi, S. H., Jang, I. S., Park, S. M., & Lee, H. Y. (2014).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2), 206-214. 

  5. Choi, S. O., & Kim, J. (2013).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7(1), 142-152. 

  6. Fehring, R. J. (1987).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es. Heart and Lung: the Journal of Critical Care, 16(6 Pt 1), 625-629. 

  7. Ha, N. S., & Choi, J. (2010).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3), 286-294. 

  8. Jang, K. S. (2000).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Jooste, K., & Cairns, L. (2014). Comparing nurse managers and nurses' perceptions of nurses' self-leadership during capacity buildi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2(4), 532-539. http://dx.doi.org/10.1111/jonm.12235 

  10. Kajander-Unkuri, S., Meretoja, R., Katajisto, J., Saarikoski, M., Salminen, L., Suhonen, R., & Leino-Kilpi, H. (2014). Self-assessed level of competence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and factors related to it. Nurse Education Today, 34(5), 795-801.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6.01.010 

  11. Kang, Y. S., Lee, S, J., Kim, I. J., & Ahn, K. H. (2008). A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4(3), 219-228. 

  12. Kim, M. W. (2006). Development of objectives in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2), 389-402. 

  1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3). Accreditation manual with interpretive guidelines.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14. Kwon, Y. M., & Yeun, E. J.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3(3), 285-292. 

  15. Lee, H. S., & Lim, J. H. (2012). SPSS 18.0 manual. Seoul: Jyphyunjae. 

  16. Lee, H. Y., Oh, K. S., Ahn, Y. H., Lee, S. J., & Kim, I. J. (2010). Exploratory study on scales of nursing education outcom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53-60. 

  17. Lee, M. J. (2002). Study of factors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Lee, S. K., Park, S. N., & Jeong, S. H. (2012). Nursing co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fields of nursing practice for graduates in nursing.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4), 460-473. 

  19. Liu, M., Kunaiktikul, W., Senaratana, W., Tonmukayakul, O., & Eriksen, L. (2007). Development of competency inventory for registered nurse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cal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5), 805-813. http://dx.doi/10.1016/j.ijnurstu.2006.01.010 

  20. Meretoja, R., Isoaho, H., & Leino-Kilpi, H. (2004). Nurse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7(2), 124-133. http://dx.doi/10.1111/j.1365-2648.2004.03071.x 

  21. Park, J. A., & Kim, B. J. (200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40-850. http://dx.doi/10.4040/jkan.2009.39.6.840 

  22. Park, J. H. (2011). Study of abilities required to develop for student 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1), 74-87. 

  23. Park, M. R., & Kim, N. C. (2014).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3), 258-272. 

  24. Satu, K. U., Leena, S., Mikko, S., Riitta, S., & Helena, L. K. (2013). Competence areas of nursing students in Europe. Nurse Education Today, 33(6), 625-632. http://dx.doi/10.1016/j.nedt.2013.01.017 

  25. Shin, H. S. (2010).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n core competencies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6. Smith, S. A. (2012). Nurse competence: a concep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Knowledge, 23(3), 172-182. http://dx.doi/10.1111/j.2047-3095.2012.01225.x 

  27. Sung, M. H., & Eum, O. B. (2009).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1), 26-36. 

  28. Yang, S. J.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public health nursing personn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9(2), 204-216. 

  29. Yanhua, C., & Watson, R. (2011). A review of clinical competence assessment in nursing. Nurse Education Today, 31(8), 832-836. http://dx.doi/10.1016/j.nedt.2011.05.003 

  30. Yeun, E. J.,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