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인 성인 남녀에서 허리 둘레 기준 복부비만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평가: 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based on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Based on 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6, 2014년, pp.403 - 415  

김명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권대철 (신한대학교 방사선학과) ,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에서 성별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 여부에 따른 혈액지표, 생활습관, 식사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을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허리둘레 기준 복부비만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사적 지표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및 혈압)가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 허리둘레 기준 복부비만군에서 비타민 $B_2$, 칼슘, 인 및 칼륨 등 미량영양소 섭취의 질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식품 섭취의 다양성을 의미하는 식품군 점수 및 총 식품점수도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여성의 경우 식품 섭취의 다양성 (총 식품점수)이 증가할수록 허리둘레 기준 복부비만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만의 관리 및 예방을 위해 영양소의 과부족이 없고 미량영양소의 적절한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식품의 섭취를 권장할 수 있는 근거자료 및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based on waist circumference.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combined 2010~2012 KNHANE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대부분 식사의 질 지수와 비만과의 관련성을 본 연구는 외국에서 보고된 것들이며, 외국과 우리나라의 식사패턴 및 비만 유병의 양상이 다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 여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양상, 식사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비만인 대상의 영양 관리 및 건강인 대상 비만 예방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섭취 열량의 차이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섭취 열량 1,000 kcal당 영양소 섭취량 (섭취 밀도)을 분석하였다. 또한 영양소 섭취의 적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권장섭취량이 설정되어 있는 9가지 영양소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비타민 C, 칼슘, 인 및 철) 에 대하여 영양소 적정 섭취비 (nutrient adequacy ratio, NAR)를구하였으며, NAR값의상한치는 1로 설정하여 1 이상이 될 경우 1로 간주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 남녀에서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에 따른 식사 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인의 복부비만 기준을 위한 허리둘레 기준인 남자 90 cm 이상, 여자 85 cm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성별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군 및 정상군을 각각 분류하였다. 20 성별 비만군과 정상군간 혈중 대사적 지표, 음주, 흡연 및신체활동 정도 등의 생활습관 요인, 교육수준 및 가계소득 등의 일반사항, 영양소 및 식품군별 섭취량, 식사의 질 지수 (영양소 적정 섭취비, 영양의 질적 지수, 식품군 점수 및 총 식품점수)를 비교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식사 다양성 (식품군 점수 및 총식품점수)에 따른 비만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국가단위 대규모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허리둘레를 기준으로한 비만 여부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에서 성별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비만 여부에 따른 혈액지표, 생활습관, 식사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을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비만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및 혈압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에서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비만군의 경우 비타민 B2, 칼슘, 인 및 칼륨 등 미량영양소 섭취의 질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식품 섭취의 다양성을 의미하는 식품군 점수 및 총 식품점수도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식사의 질 지수와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일관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실정인 이유는? 그러나 청소년에서 HEI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비만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거나,18 비만한 사람들의 경우 비비만인 사람에 비해 DDS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식사의 다양성이 증가할수록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및에너지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고 보고한 연구도 있어, 19아직 식사의 질 지수와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일관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대부분 식사의 질 지수와 비만과의 관련성을 본 연구는 외국에서 보고된 것들이며, 외국과 우리나라의 식사패턴 및 비만 유병의 양상이 다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한 복부비만 여부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양상, 식사의 질을 평가함으로써 비만인 대상의 영양 관리 및 건강인 대상 비만 예방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비만의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비만의 원인으로 유전적 요인 이외에 에너지 섭취 및 소비의 불균형, 신체활동량의 부족, 대사 이상 및 부적절한 식습관과 같은 여러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특히 비만의 여러 원인 중에서 조절이 가능한 주요 요인으로는 식사성 요인을 들 수 있는데, 과거에는 식이섬유소, 복합당질, 과일 및 채소류와 같은 단일 영양소 및 식품의 섭취와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비만의 여러 원인 중에서 조절이 가능한 주요 요인은? 비만의 원인으로 유전적 요인 이외에 에너지 섭취 및 소비의 불균형, 신체활동량의 부족, 대사 이상 및 부적절한 식습관과 같은 여러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특히 비만의 여러 원인 중에서 조절이 가능한 주요 요인으로는 식사성 요인을 들 수 있는데, 과거에는 식이섬유소, 복합당질, 과일 및 채소류와 같은 단일 영양소 및 식품의 섭취와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7,8또한 비만 및 에너지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활성 물질 등에 대한 연구도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 Kang JH, Jeong BG, Cho YG, Song HR, Kim KA. Medical expenditure attributable to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with hypertension, diabetes and dyslipidemia : evidence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Korea National Health Corporation Data.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0; 35(1): 77-88. 

  3. Kuk JL, Lee S, Heymsfield SB, Ross R.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influence of age and sex. Am J Clin Nutr 2005; 81(6): 1330-1334. 

  4. Lim U, Ernst T, Buchthal SD, Latch M, Albright CL, Wilkens LR, Kolonel LN, Murphy SP, Chang L, Novotny R, Le Marchand L. Asian women have greater abdominal and visceral adiposity than Caucasian women with similar body mass index. Nutr Diabetes 2011; 1: e6. 

  5. Luo W, Guo Z, Hu X, Zhou Z, Wu M, Zhang L, Liu J. 2 years change of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 and association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cohort populations. Obes Res Clin Pract 2013; 7(4): e290-e296. 

  6. Mohammadifard N, Nazem M, Sarrafzadegan N, Nouri F, Sajjadi F, Maghroun M, Alikhasi H. Body mass index, waist-circumferenc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Iranian adults: Isfahan healthy heart program. J Health Popul Nutr 2013; 31(3): 388-397. 

  7. Aleixandre A, Miguel M. Dietary fiber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2008; 48(10): 905-912. 

  8. Houston DK, Nicklas BJ, Zizza CA. Weighty concerns: the growing prevalence of obesity among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2009; 109(11): 1886-1895. 

  9. Astrup A, Kristensen M, Gregersen NT, Belza A, Lorenzen JK, Due A, Larsen TM. Can bioactive foods affect obesity? Ann N Y Acad Sci 2010; 1190: 25-41. 

  10. Martinez-Augustin O, Aguilera CM, Gil-Campos M, Sanchez de Medina F, Gil A. Bioactive anti-obesity food components. Int J Vitam Nutr Res 2012; 82(3): 148-156. 

  11. Drewnowski A, Henderson SA, Shore AB, Fischler C, Preziosi P, Hercberg S. Diet quality and dietary diversity in France: implications for the French paradox. J Am Diet Assoc 1996; 96(7): 663-669. 

  12. Pate RR, Taverno Ross SE, Liese AD, Dowda M. Associations among physical activity, diet quality, and weight status in U.S. adults. Med Sci Sports Exerc. Forthcoming 2014. 

  13. Lassale C, Galan P, Julia C, Fezeu L, Hercberg S, Kesse-Guyot E. Association between adherence to nutritional guidelines, the metabolic syndrome and adiposity markers in a French adult general population. PLoS One 2013; 8(10): e76349. 

  14. Jennings A, Welch A, van Sluijs EM, Griffin SJ, Cassidy A. Diet quality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weight status in children aged 9-10 years. J Nutr 2011; 141(3): 453-459. 

  15.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female adults according to obesity :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12; 45(2): 140-149. 

  16. Walls HL, Magliano DJ, McNeil JJ, Stevenson C, Ademi Z, Shaw J, Peeters A. Predictors of increasing waist circumference in an Australian population. Public Health Nutr 2011; 14(5): 870-881. 

  17. Arabshahi S, van der Pols JC, Williams GM, Marks GC, Lahmann PH. Diet quality and change in anthropometric measures: 15-year longitudinal study in Australian adults. Br J Nutr 2012; 107(9): 1376-1385. 

  18. Azadbakht L, Akbari F, Esmaillzadeh A. Diet quality among Iranian adolescents needs improvement. Public Health Nutr 2014: 1-7. 

  19. Jayawardena R, Byrne NM, Soares MJ, Katulanda P, Yadav B, Hills AP. High dietary diversity is associated with obesity in Sri Lankan adults: an evaluation of three dietary scores. BMC Public Health 2013; 13: 314. 

  20. Lee S,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Cho GJ, Han JH, Kim SR, Park CY, Oh SJ, Lee CB, Kim KS, Oh SW, Kim YS, Choi WH, Yoo HJ.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2006; 15(1): 1-9. 

  21. Hansen RG. An index of food quality. Nutr Rev 1973; 31(1): 1-7. 

  22. Kant AK. Indexes of overall diet quality: a review. J Am Diet Assoc 1996; 96(8): 785-791. 

  23. Krebs-Smith SM, Smiciklas-Wright H, Guthrie HA, Krebs-Smith J. The effects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ary quality. J Am Diet Assoc 1987; 87(7): 897-903. 

  24. Sim KW, Lee SH, Lee HS.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morbidity in Korea. J Korean Soc Study Obes 2001; 10(2): 147-155. 

  25. Lee RD, Nieman DC. Nutritional assessment, 5th edition. Dubuque (IA): McGraw-Hill; 2010. 

  26. Janssen I, Katzmarzyk PT, Ross R. Waist circumference and not body mass index explains obesity-related health risk. Am J Clin Nutr 2004; 79(3): 379-384. 

  27. Mamtani M, Kulkarni H, Dyer TD, Almasy L, Mahaney MC, Duggirala R, Comuzzie AG, Blangero J, Curran JE. Waist circumference independently associates with the risk of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in mexican american families. PLoS One 2013; 8(3): e59153. 

  28. Grober-Gratz D, Widhalm K, de Zwaan M, Reinehr T, Bluher S, Schwab KO, Wiegand S, Holl RW. Body mass index or waist circumference: which is the better predictor for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in overweight/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risk related to body mass index or waist circumference. Horm Res Paediatr 2013; 80(3): 170-178. 

  29. Lee YE, Park JE, Hwang JY, Kim WY. Comparison of health risks according to the obesity types based upon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the 1998-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orean J Nutr 2009; 42(7): 631-638. 

  30. Janssen I, Katzmarzyk PT, Ross R.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health risk: evidence in support of curren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guidelines. Arch Intern Med 2002; 162(18): 2074-2079. 

  31. Kim JH, Lee JE, Jung IK.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and the association with general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women. J Acad Nutr Diet 2012; 112(10): 1550-1559. 

  32. Seo KH, Lee HJ, Lim BD, Choi YJ, Oh H, Yoon JS. Association of nutritional status with obesity by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hypertensive elderly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831-845. 

  33. Shin D, Joh HK, Kim KH, Park SM. Benefits of potassium intake on metabolic syndrome: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Atherosclerosis 2013; 230(1): 80-85. 

  34. World Health Organization (CH).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35. Azadbakht L, Mirmiran P, Azizi F. Dietary diversity score is favorab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in Tehranian adults. Int J Obes (Lond) 2005; 29(11): 1361-1367. 

  36.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83-591. 

  37. Lee JE, Ahn Y, Kimm K, Park C. Study on the associations of dietary variety and nutrition intake level by the number of survey days. Korean J Nutr 2004; 37(10): 908-916. 

  38. Gao SK, Beresford SA, Frank LL, Schreiner PJ, Burke GL, Fitzpatrick AL. Modifications to the Healthy Eating Index and its ability to predict obesity: the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Am J Clin Nutr 2008; 88(1): 64-69. 

  39. Tardivo AP, Nahas-Neto J, Nahas EA, Maesta N, Rodrigues MA, Orsatti FL. Associations between healthy eating patterns and indicators of metabolic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Nutr J 2010; 9: 64. 

  40. Assmann KE, Lassale C, Galan P, Hercberg S, Kesse-Guyot E. Dietary quality and 6-year anthropometric changes in a sample of French middle-aged overweight and obese adults. PLoS One 2014; 9(2): e87083. 

  41. Kim S, Haines PS, Siega-Riz AM, Popkin BM. The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provides an effective tool for crossnational comparison of diet quality as illustrated by China and the United States. J Nutr 2003; 133(11): 3476-348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