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Functional dysphonia is a specific voice disorder refers to dysphonia without abnormal anatomical vocal fold findings at larynx. The proportions of this disorder are estimated up to 40% of dysphonia patients at ENT clinics. In this article, we will discuss about other functional dysphonia and neurological dysphonia except for muslce tension dysphonia and spasmodic dysphonia. For details, will describe about phonatory charateristics and treatment options about paradoxical vocal fold motion disorder, mutational dysphonia, essential vocal tremor, conversion dysphonia, and vocal tremor related with parkinson's diseas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생물체 | 생물체에 오랫동안 해롭지 않은 자극이 주기적으로 주어지게 되면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
반응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습관 반응
생물체는 오랫동안 해롭지 않은 자극이 주기적으로 주어지게 되면 반응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습관 반응 habituation response을 보이나, 해로운 반응을 주게 되면 민감화 반응 sensitization response으로 기억되어. 그 다음 자극에 대해 매우 강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
역행성 성대 운동장애 | 역행성 성대 운동장애란 무엇인가? |
흡기와 호기시 정상 성대 운동과 반대방향의 성대 운동을 보이는 질환으로 성대가 흡기 시 내전하고 호기 시 외전하는 것을 말한다
역행성 성대 운동장애란 흡기와 호기시 정상 성대 운동과 반대방향의 성대 운동을 보이는 질환으로 성대가 흡기 시 내전하고 호기 시 외전하는 것을 말한다(Fig. 2). |
역행성 성대 운동장애 | 역행성 성대 운동장애를 겪는 환자가 보이는 증상과 이로 인해 무엇으로 오진되는가? |
환자는 흡기 천명 inspiratory stridor, 기도 폐쇄감 등의 증세를 보이며 이는 흔히 천식 asthma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질식감, 음성 이상, 만성 기침, 무음과 같은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환자는 흡기 천명 inspiratory stridor, 기도 폐쇄감 등의 증세를 보이며 이는 흔히 천식 asthma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질식감, 음성 이상, 만성 기침, 무음과 같은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3) 역행성 성대 운동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기능적 원인으로 전환장애, 불안장애, 우울증, 성격장애, 스트레스성 장애 등이 있고, 기질적 원인으로는 중추 신경계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 천식, 위식도 역류 등이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