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Astronomical Systems Using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8, 2014년, pp.703 - 718  

맹승호 (강원대학교) ,  이기영 (강원대학교) ,  박영신 (조선대학교) ,  이정아 (서울대학교) ,  오현석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지구, 지구 - 달 계, 태양계, 그리고 은하와 우주를 포함하는 천체의 구조와 운동을 종합한 천문 시스템(astronomical systems)의 학습 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을 조사하기 위하여, 순위 선다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중학생들에게 적용한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학습 발달과정 해석의 타당성 검증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구인특화, 평가문항 개발, 평가결과 기술, 측정 모델'로 이루어진 4 단계의 구인 모델링 방식(construct modeling approach)에 기반하여 진행되었다. 천문 시스템의 내용적 평가 구인으로 천체의 운동과 구조를 선정하였고, 탐구실행적 평가 구인으로 공간적 사고와 시스템 사고와 같은 천문학적 사고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순위 선다형 평가 문항들은 천문 시스템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을 조사하기 위한 검사 도구로서 적절하였다. 즉, item fit 분석 결과는 학생들의 문항 반응 결과가 Rasch 모델로 측정한 결과와 부합하였다. 그리고 Wright map 분석 결과는 이 연구의 평가 문항들이 천문시스템에 대한 학생들의 가설적 발달 경로를 조사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학습 발달과정의 하위 정착점에서 학생들은 천체들의 위치와 운동 방향의 변화를 지구에서 보는 관점에서 2차원 평면으로 해석하는 공간적 사고 수준을 보였으며, 지구-달 계의 모델에서 천체의 위치와 변화를 부정확하게 연결하거나, 태양계 행성들과 은하수에 대한 단순한 패턴을 인식하는 시스템 사고 수준을 보였다. 학습발달과정의 중간 단계에서 학생들은 우주에서 내려다 본 지구 및 지구-달 계, 태양계의 모델을 근거로 천체의 운동을 해석하는 공간적 사고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천체의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이 모델들과 연관시키는 시스템 사고를 보였다. 학습 발달과정의 상위 정착점에서 학생들은 우주에서 내려다 본 관점에서 형성된 천체의 운동 모델을 지구에서 바라 본 관점에서 얻은 자료와 서로 연관시키는 관점 전환의 공간적 사고를 지구의 운동, 지구-달 계의 운동, 태양계 행성의 운동, 은하와 우주의 운동에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상위 정착점에 도달한 학생들은 천문 시스템의 설명 모델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 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고 이를 설명 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 사고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learning progressions for astronomical systems which synthesized the motion and structure of Earth, Earth-Moon system, solar system, and the univers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applied them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체의 운동과 그 구조를 이해하기위해 시스템 모델링 및 그와 관련된 시슽템적 사고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시스템 사고는 시스템 구성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종합, 그리고 시스템적 실행이 위계적 관계를 형성하며 순차적으로 발달한다(Ben-Zvi Assaraf & Orion, 2005; Orion & Basis, 2008)고주장하였다. 천체의 운동 및 구조와 관련된 현상들은 작은 규모에서 형성된 부분적인 결과를 종합하여 전체적인 큰 규모에 해당하는 설명 모델로서 파악되는 경우가 많으며, 여러 천체들의 역학적 관계가 시스템적으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따라서 천체의 운동과 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천문 시스템의 시스템적 특징을 모형화하는 시스템 모델링 및 그와 관련된 시스템적 사고가 중요하게 요구된다.
시스템 사고란 무엇인가? 시스템 사고는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느 한 부분의 작동이나 변화 또는 특정한 기능이 어떻게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전체 시스템이 작동하게 되는지 이해하는 능력으로서, 시스템 작동 과정에서 서로 다른 각각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에 대한 판단과 의사결정, 시스템 분석, 시스템 평가 및 추상적인 추론 과정을 포함한다.”(NRC, 2010, p.
공간적 사고의 정의는 무엇인가? 공간적 사고에 대한 중요한 보고서 Learning to Think Spatially (NRC, 2006)에서는 “공간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공간적 개념, 사물의 공간적인 형태나 구조를 시각화하는 방식, 그리고 공간적 표현 방식을 활용하여 사물의 구조와 성질, 기능 등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추론 과정까지 포함하는 종합적인 사고 능력”으로서 공간적 사고를 정의하고 있다(p.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chieve, In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Achieve Inc. On behalf of the twenty-six states and partners that collaborated on the NGSS. 

  2. AERA, APA, & NCME. (1999).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AERA. 

  3. Alonzo, A. C., & Steedle J. T. (2009). Developing and assessing a force and motion learning progression. Science Education, 93(3), 389-421. 

  4.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518-560. 

  5. Ben-Zvi Assaraf, O., & Orion, N. (2010).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540-563. 

  6. Berland, L.K., & McNeill, K.L. (2010).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Understanding student work and designing supportive instructional contexts. Science Education, 94, 765-793. 

  7. Black, P. & Wi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5, 7-74. 

  8. Black, P., Wilson, M., & Yao, S. Y. (2011). Road maps for learning: A guide to the navigation of learning progressions. Measurement: Interdisciplinary Research & Perspective, 9, 71-123. 

  9. Bond, T. G., & Fox, C. M. (2007).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2nd edition). New York, NY: Routledge. 

  10. Boone, W. J., Staver, J. R., & Yale, M. S. (2014). Rasch analysis in the human sciences. New York, NY: Springer. 

  11. Briggs, D. C., & Alonzo, A. C. (2012). The psychometric modeling of ordered multiple-choice item responses for diagnostic assessment with a learning progression. In A. C. Alonzo & A. W. Gotwals (Eds.),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pp. 293-316).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12. Briggs, D. C., Alonzo, A. C., Schwab, C., & Wilson, M. (2006). Diagnostic assessment with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Educational Assessment, 11(1), 33-63. 

  13. Corcoran, T., & Silander, M. (2009). Instruction in high schools: The evidence and the challenge. The Future of Children: America's High Schools, 19, 157-183. 

  14. Corcoran, T., Mosher, F. A., & Rogat, A. (2009).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An evidence based approach to reform.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Report #RR-63. Philadelphia, P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15. Duncan, R. G., Rogat, A. D., & Yarden, A. (2009). A learning progression for deepening students' understandings of modern genetics across the 5th-10th gra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 655-674. 

  16. Duschl, R. A., & Grandy, R. (Eds.) (2008).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Purblishers. 

  17. Duschl, R., Maeng, S., & Sezen, A. (2011). Learning progressions and teaching sequences: A review and analysi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7, 123-182. 

  18. Furtak, E. M. (2012). Link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natural selection to teachers' enactment of formative assess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9), 1181-1210. 

  19. Gotwals, A. W., & Songer, N. B. (2013). Validity evidence for learning progression-based assessment items that fuse core disciplinary ideas and science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 597-626. 

  20. Ji, E., & Chae, S. (2000). Theory and practices of Rasch model. Seoul: Kyoyook-Kwahak-Sa. 

  21. Jin, H., & Anderson, C. W. (2012). A learning progression for energy in socio-ecological syste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 1149-1180. 

  22. Maeng, S., Seong, Y., & Jang, S. (2013). Present states, methodological features, and an exemplar study of th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161-180. 

  23. Masters, G. N. (1982). A Rasch model for partial credit scoring. Psychometrika, 47(2), 149-174. 

  24.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6). Learning to think spatiall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7. Neumann, K., Viering, T., Boone, W. J., & Fischer, H. E. (2013). Towards a learning progression of ener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 162-188. 

  28. Orion, N., & Basis, T. (2008). Characteriz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s. Presented in the 2008 NARST Annual Meeting. March, 2008. Baltimore, U.S.A. 

  29.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30. Plummer, J. D., & Krajcik, J. (2010). Build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celestial motion: Elementary levels from an Earth-based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768-787. 

  31.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er, A., Fortus, D., Shwartz, Y., Hug, B., &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 632-654. 

  32. Seong, T.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33. Seong, T., & Si, K. (2006). Reasearch Methodology. Seoul: Hakjisa. 

  34. Shea, N. A., & Duncan, R. G. (2013). From theory to data: The process of refining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2, 7-32. 

  35. Songer, N. B., & Gotwals, A. W. (2012). Guiding explanation construction by children at the entry points of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 141-165. 

  36. Stevens, S., Delgado, C., & Krajcik, J. S. (2010). Developing a hypothetical multi-dimensional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nature of mat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687-715. 

  37. Wilson, M. (2005). Constructing measures: An item response modeling approac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8. Wilson, M. (2009). Measuring progressions: Assessment structures underlying a learning progress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 716-730. 

  39. Wilson, M. (2012). Responding to a challenge that learning progressions pose to measurement practice. In A. C. Alonzo & A. W. Gotwals (Eds.),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pp. 317-343).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40. Wright, B. D., & Linacre, J. M. (1994). Reasonable mean-square fit value.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8(3), 37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