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풍쌈을 대상으로 종자의 전처리(상온건조, 저온건조, 수침처리를 각각 48시간 동안 실시)에 따른 차광처리별 발아특성과 유묘의 생장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전처리된 종자를 용기에 파종하여 차광시설(전광 및 35%, 50%, 75%, 95% 차광)에 각각 배치하여 진행하였다. 종자의 발아율은 25.7~61.1%의 범위로 조사되었으며 전광 내 수침처리구에서 6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풍쌈 유묘의 초장생장은 95% 차광에서, 근원직경은 전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엽생장(엽면적, 엽장, 엽폭, 엽두께)과 뿌리생장(전체뿌리길이, 뿌리투영단면적, 뿌리표면적, 평균뿌리직경, 뿌리부피)은 전반적으로 35%~75% 차광에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5% 차광에서는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또한, 부위별(잎, 줄기, 뿌리) 및 전체 생중랑은 모두 50% 차광에서, 지상부(잎, 줄기)와 전체 건중량은 75% 차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5% 차광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병풍쌈의 종자는 수침처리하여 높은 광도에서 발아시킨 후 어느 정도의 차광처리(50%~75% 차광)를 하는 것이 용기 유묘생산에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and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Seed pre-treatment before the each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shading treatment (with drying at room temperature (DRT), drying at low temperature (DLT) and water soak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산채 중 병풍쌈을 대상으로 종자의 전처리와 광조건에 따른 종자의 발아특성 및 광수준별 유묘의 생장특성을 조사·분석하여 병풍쌈의 증식기술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풍쌈이란 무엇인가? 병풍쌈(Parasenecio firmus)은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는 국화과 다년생 식물로 박쥐나물속(Parasenecio)에속하며 깊은 산속에서 자생한다. 병풍쌈은 향과 식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진통, 소염, 항바이러스, 간보호, 항산화, 혈소판응집억제 등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Lee et al.
병풍쌈 종자의 발아율이 차광처리별로 대부분 상온건조처리보다 저온건조와 수침처리된 종자에서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1%로 조사 되었으며 이때 가장 높은 발아율은 전광 내 수침처리구로 나타났다(Figure 1). 차광처리별로는 대부분 상온건조처리된 종자보다 저온건조와 수침처리된 종자에서 발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는데, 이는 온도와 수분이 종자에 전처리되어 발아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Bewley and Black, 1985; Bonner, 1988). 또한, 본 실험에서 대부분 상온건조처리구 보다 저온건조와 수침처리구 종자의 발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온 또는 습윤처리가 효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Schopmeyer, 1974).
병풍쌈의 재배관련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한편, 병풍쌈은 자생지가 극히 제한적이며, 산채로서의 뛰어난 식용가치 때문에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자연산 채취로는 그 수요를 감당할 수 없으며(Kim, 1995), 사람들의 남획에 의해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Jin and Ahn, 2010). 또한, 현재 재배된 병풍쌈의 생장 및 생리 등의 연구결과는 많지 않은 실정으로, 추후에 자생지의 보호뿐만 아니라 병풍쌈의 재배를 위해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M.H., Kim, J.H., Kim, J.L., and Choi, S.J. 2002. Development of high quality production technology (Research Project). pp. 7. 

  2. Arsenault, J.L., Poulcur, S., Messier, C., and Guay, R. 1995. WinRHIZO, a root-measuring system with a unique overlap correction method. HortScience 30(4): 906. 

  3. Bewley, J.D. and Black, M. 1985. Seeds : physiology of development and germination.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drought resistance in plants. Academic, Australia. pp. 1-27. 

  4. Boardman, N.K. 1977. Comparative photosynthesis of sun and shade plants.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28: 355-377. 

  5. Bonner, F.T. 1988. Seeds of woody plants. Advances in Research and Technology of Seeds 11: 81-112. 

  6. Bouma, T.J., Nielsen, K.L., and Koutstaal, B. 2000. Sample preparation and scanning protocol for computerised analysis of root length and diameter. Plant and Soil 218: 185-196. 

  7. Coolbear, P., Francis, A., and Grierson, D. 1984.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pre-sowing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performance and membrane integrity of artificially aged tomato seeds.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35: 1609-1617. 

  8. Cooper, C.S. and Qualls, M. 1967.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 of Shade and Sun Leaves of Two Legumes. Crop Science 7(6): 672-673. 

  9. Edwards, T.I. 1934. Relations of germinating soybeans to temperature and length of incubation time. Journal of Plant Physiology 9: 1-30. 

  10. Gordon, A.G. 1971. The germination resistance test-a new test for measuring germination quality of cereals.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51: 181-183. 

  11. Hiroki, S. and Ichino, K. 1998. Comparison of growth habits under various light conditions between two climax species, Castanopsis sieboldii and Castanopsis cuspidat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shade tolerance. Ecological Research 13(1): 65-72. 

  12. Jin, Y.H. and Ahn, Y.H. 2010. Comparis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Population in Korea and Chin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2): 197-207. 

  13. Kim, G.N., Cho, M.S., and Kwon, K.W. 2010a. Analysis growth performance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under changing light intens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1): 68-74. 

  14. Kim, J.J., Lee, K.J., Song, K.S., Cha, Y.G., Chung, Y.S., Lee, J.H., and Yoon, T.S. 2010b. Exploration of Optimum Container for Production of Larix leptolepsis Container Seedling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4): 638-644. 

  15. Kim, W.B. 1995. Crop cultivation - Protected cultivation situation and technique of wild vegetble. Korean Research Society for Protected Horticulture 8(1): 71-80. 

  16. Kriedemann, P.E., Loveys, B.R., Possingham, J.V., and Satoh, M. 1976. Sink effects on stomatal physiology and photosynthesis. In : Transport and transfer processes in plants. Proceedings of a Symposium 1975. Academic Press. pp. 401-414. 

  17. Lee, J.H., Park, A.R., Choi, D.W., Kim, J.D., Kim, J.C., Ahn, J.H., Lee, H.Y., Choe, M., Choi, K.P., Shin, I.C., and Park, H.J. 2011.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of 4 Korean wild sannamul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2): 111-116. 

  18. Lee, K.C., Lee, H.B., Park, W.G., and Han, S.S. 2012. Physiological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Parasenecio firmu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2): 79-88. 

  19. Loach, K. 1970. Shade tolerance in tree seedlings II. Growth analysis of plants raised under artificial shade. New Phytol 69(2): 273-286. 

  20. Marini, R.P. and Barden, J.A. 1982. Light penetration on overcast and clear days, and specific leaf weight in apple tress as affected by summer of dormant pruning. Journal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07(1): 39-43. 

  21. Nam, Y.K. and Baik, J.A. 2005. Status of Research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about Endemic Wild Vegetabl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People, Plants, Environment 8(1):1-10. 

  22. Park, H.J., Nugroho, A., Lee, J.H., Kim, J.D., Kim, W.B., Lee, K.R., and Choi, J.S. 2009. HPLC analysis of caffeoylquinic acids in the extract of Cacalia firma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40(4): 365-369. 

  23. Park, J.M., Kang, J.H., and Kim, M.B. 2004.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ffected by shading and flower bud pinchi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3): 231-236. 

  24. Park, W.G., Kim, Y.S., Lee, H.B., Kim, Y.S., Kim, N.J., and Kim, N.Y. 2010. Seed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Kom. and its growth comparison among forest stands. Journal of Forest Science 26(3): 219-223. 

  25. Salisbury, F.B. and Ross, C.W. 1992. Plant physiology, 4th ed.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Belmont, USA. pp. 257. 

  26. Schopmeyer, C.S. 1974. Seeds of Woody Plants in the United States. USDA Agriculture. Handbook. No. 450. Forest Service USDA. Washington D.C. pp. 883. 

  27. Strothmann, R.O. 1967. The influence of light and moisture on the growth of red pine seedlings in Minnesota. Forest Science 13: 182-191. 

  28. Wang, M.B. and Zhang, Q. 2009. Issues in using the Win- RHIZO system to determin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fine roots. Acta Ecologica Sinica 29(2): 136-138. 

  29. Yoon, J., Jeon, K., Song, K., Kim, C. and Lee, D. 2013. Early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by shading conditions in forest farming, Journal of Medicinal Plant and Natural Product Research 79: 1236-1236. 

  30. Zhao, Y. and Zhao, J. 2006. Advances incaffeoylquinic acid research. Zhonguo Zhongyao Zazhi 31: 869-8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