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1, 2차 한국근로환경조사: 한국과 EU회원국의 비교
First and Secon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 and EU Countri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4, 2014년, pp.277 - 286  

김영선 (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조흠학 (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I am going to figure out Korean workers' actual exposure to risk factors and percentage of the workers who complain of health problems by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and working conditions in Korea and EU. Methods: The data used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건강문제 호소에 대한 비교분석이다. 건강문제를 호소하는 설문 항목을 통해 근로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근로환경조사에서 건강상의 문제는 19개로 청력, 피부, 요통, 상지근육, 하지근육, 두통, 눈의 피로, 복통, 호흡곤란, 심혈관질환, 손상, 우울 또는 불안 장애, 전신피로, 불면증 또는 수면장애 등이 있다.
  • 2010년 실시된 2차 근로환경조사에서는 1차 KWCS의 조사경험을 바탕으로 표본설계 및 자료품질 보증을 향상시키기 위해 3단계 내검과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한국과 EU의 근로자와 근로환경의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근로자의 근로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의 유연화에서 발생하는 노동력구조의 변화와 산업안전보건분야 및 근로환경의 동태적 변화를 찾아내고, 유럽국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실태를 찾아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EU 근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노동의 질, 근로환경 내 위험요인 노출실태, 업무로 인한 건강문제 호소의 분포 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들 4가지 범주에 대해 2005 (2006)년도와 2010년도 한국과 EU의 근로자들을 비교분석하였다. 통계분석기법은 각 설문항목에 대한 응답범주의 점유율을 비교하는 범주형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동시장의 유연화는 무엇에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가? 최근 우리나라의 근로환경에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인자로는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뽑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근로환경에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인자는 노동시장의 유연화인데 그 원인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원인은 경제시장의 급속한 세계화(Cuñat & Melitz, 2012)이다. 이로 인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 경쟁, 금융 불안, 기술변화, 산업 구조의 재편, 리엔지니어링 등과 같은 물리적, 사회심리적인 상태와 건강에(Virtanen, Kivimäki, Elovainio, Vahtera, & Ferrie, 2003; Adams, Martinez, Vickerie, & Kirzinger, 2011; Walters, 2005) 많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노동시장의 유연화라는 ‘전형적이지 않은’ 고용과 불완전 고용, 비상용직 고용이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경제개발계획에 따른 산업화에 의해 우리나라의 생산과 고용주의 중심이 최근 50년간 급진적으로 변화하였다. 산업구조의 변화를 생산 비중을 통해 살펴보면 1960년대 이후 농림수산업은 크게 낮아지고 제2차, 3차 산업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Lee, 1998; Lee & Kim, 2003; Seguino, 2000; Lee, 2003; Eichengreen, Perkins, & Shin, 2012; Chung & Eichengreen, 2004) 산업구조의 변화는 고용에도 반영되어 취업구조가 농업중심에서 도시형 취업구조로 전환되었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큰 추세 중 하나는 민간부문 제조업의 남성 생산직과 정규직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고용구조가 갈수록 공공부문, 서비스업, 비정규직, 여성 등을 포괄하는 고용구조로 다양화 되고 있다는 점이다(Son, 2004).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큰 추세 중 하나는 무엇인가? 산업구조의 변화를 생산 비중을 통해 살펴보면 1960년대 이후 농림수산업은 크게 낮아지고 제2차, 3차 산업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Lee, 1998; Lee & Kim, 2003; Seguino, 2000; Lee, 2003; Eichengreen, Perkins, & Shin, 2012; Chung & Eichengreen, 2004) 산업구조의 변화는 고용에도 반영되어 취업구조가 농업중심에서 도시형 취업구조로 전환되었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큰 추세 중 하나는 민간부문 제조업의 남성 생산직과 정규직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고용구조가 갈수록 공공부문, 서비스업, 비정규직, 여성 등을 포괄하는 고용구조로 다양화 되고 있다는 점이다(Son, 2004).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대해 우리 사회는 많은 일자리 뿐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요구를 증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dams, P. E., Martinez, M. E., Vickerie, J. L., & Kirzinger, W. K. (2011). Summary health statistics for the US population: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2010. Vital and Health Statistics, 10(251), 1-117. 

  2. American Association for Public Opinion Research. (2004). Standard definitions: Final dispositions of case codes and outcome rates for surveys(3rd ed.). Lenexa, Kansas 

  3. Chung, D. K., & Eichengreen, B. J. (2004). The Korean economy beyond the crisis.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ing. 

  4. Cunat, A., & Melitz, M. J. (2012). Volatility,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the pattern of comparative advantage. Journal of the European Economic Association, 10(2), 225-254. 

  5. Eichengreen, B., Perkins, D. H., & Shin, K. (2012). Harvard east asian monographs. From miracle to maturity: The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6. Eurofound. (2010).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Overview report. 

  7. Eurostat. NUTS - Nomenclature of Territorial Units for Statistics. European Commission. (2012). from http://ec.europa.eu/eurostat/ramon/nuts/introduction_regions_en.html 

  8. Hwang, S. J. (2012). The silent assassin, Working long hours.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485, 14-15. 

  9. ILO. (2009). Estimates and projections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1980-2020. Geneva: Author. 

  10. Jeong, W. J., Kim, H. J., & Jeong, J. H. (2014). The over worked South Korean: Mismatches between actual and preferred hours and working time prefer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014, 29-29. 

  11. Kim, H. K., & Shin, W. S. (2012). The impact of fatigue on the hotel cuisine, labor intensity and perceived job stress.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6(6), 221-239. 

  12. Kim, I. A., Go, S. B., Kim, J. S., Kang, D. M., Son, M. A., & Kim, Y. G.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 Intensity of Labor among Shipbuilding Worke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4), 401- 412. 

  13. Lee, K. Y. & Kim, Y. H. (2003).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Structure of Labor Market Supply and Policy. Korea Social Research Center, 6, 15-45. 

  14. Lee, S. M. (2003). South Korea: From the land of morning calm to ICT hotbed.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7(2), 7-18. 

  15. Lee, Y. J. (1998). Reality of the korean industrialization and its virtual imag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32(3), 561-589. 

  16. Lee, Y. K., & Yim, S. H. (2006). Association between changed working condition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automobile assembly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6(3), 276-283. 

  17. Park, T. J. (2011). Effects of the long hours working on the work and conflict of life-A life condition survey of Hyundai Motor Co. workers. Korean Association of Lobor Studies, 17(2), 277-308. 

  18. Seguino, S. (2000). The effects of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liberalisation on gender wage differentials in South Korea and Taiwan.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24(4), 437-459. 

  19. Son, Y. H. (2004). Impact on Korea's industrialization and labor welfare system. Sogang University, 12(2), 162-183. 

  20. Song, Y. H., Kong, Y. J. O., Kim, I. A., & Choi, W. J.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job stress and intensity of labor among security firm worke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4), 283-294. 

  21. Virtanen, M., Kivimaki, M., Elovainio, M., Vahtera, J., & Ferrie, J. E. (2003). From insecure to secure employment: Changes in work, health, health related behaviours, and sickness absenc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12), 948-953. 

  22. Walters, D. (2005). The challenge of change for strategies on health and safety at work in the 21st century. Policy and Practice in Health and Safety, 3(2), 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