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SR 모델을 적용한 근로환경조사 지표 개발
A Study on Health-related PSR Model using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7 no.7, 2014년, pp.1243 - 1255  

김영선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정책제도연구팀) ,  조진남 (동덕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업종에 따른 다양한 근로환경 요인들을 파악하고 관련 분야의 산업안전보건 정책을 판단할 수 있도록 근로환경조사 기초자료를 분석하여 사회요인을 고려한 지수 및 지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지표개발을 위해 OECD에서 제시하는 지표개발 가이드라인과 해외의 지표개발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수행되었다. OECD의 압력-상태-대응 모형을 벤치마킹하여 건강과 관련 있는 지표들을 제시하였다. 근로환경조사의 압력-상태 건강관련 지표는 압력은 물리적 위험환경, 노동시간, 업무환경, 사회 환경으로 구성되었고, 이에 따른 상태 항목은 건강관련 항목으로 정신건강, 신체건강, 건강문제로 인한 결근, 업무 만족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임금근로자, 상용근로자, 관리자, 사무종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50세 미만 근로자의 압력-상태 지표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반대로, 50세 이상, 자영업자, 일용 직, 농림어업 숙련직, 단순노무, 장치 기계 조립 근로자의 압력-상태 지표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n index and indicator in the light of social factors by analyzing the basic materials on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o make it possible to grasp various working environment factors consequent on business type and to judge the industrial safety & health polic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분야의 취약계층 발굴을 위해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업종 등을 계층화하여 근로환경 실태를 지표화하였다. 지표는 표준화된 값으로써 이들 계층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환경조사는 어떠한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합니까? 근로환경조사는 우리나라의 근로환경 및 안전보건 수준을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대규모 조사이다. 근로환경조사를 통해 고용형태, 근무조건, 사회경제적 특성, 삶의 질, 교육과 훈련, 노동 강도, 자율성 등 근로환경의 다양한 영역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안전보건 정책 결정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근로환경조사는 유럽 각국 및 유럽연합에서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로환경조사를 통해 생산된 정보는 유럽 각국 내지 유럽연합의 안전보건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2008).
근로환경조사란 무엇입니까? 근로환경조사는 우리나라의 근로환경 및 안전보건 수준을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대규모 조사이다. 근로환경조사를 통해 고용형태, 근무조건, 사회경제적 특성, 삶의 질, 교육과 훈련, 노동 강도, 자율성 등 근로환경의 다양한 영역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안전보건 정책 결정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근로환경조사 홍보를 위한 지표 개발을 통해서 얻게되는 이점은 무엇입니까? 신뢰할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근로환경에 대한 지표를 구축함으로써 국민, 정부, 공공단체, 기업 이해단체 등의 관심과 참여를 증대시키고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근로환경 지표를 활용하여 정책 분석의 맥락에서 특정사안에 대해 관심을 유도하거나 변화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으며 정책의 우선순위를 책정하거나 성과를 벤치마킹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lberti, G., Unwin, N., Aspray, T., Edwards, R., Mbanya, J.C., Sobngwi, E., Mugusi, F., Rashid, S., Setel, P. and Whiting, D. (1998). Economic globalisation and its effect on health. British Medical Journal, 316, 1401-2. 

  2. Bettcher, D. and Yach, D. (1998). The Globalization of Public Health I: Threats and Opportunit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8, 735-738. 

  3. Bloom, B. R., Howson, C. P. and Fineberg, H. V. (1998). The pursuit of global health: the relevance of engagement for developed countries, The Lancet, 351, 586-589. 

  4. European Commission (2000). Business Climate Indicator, DG ECFIN. 

  5. European Commission (2001a). Summary Innovation Index, DG ENTR. 

  6. European Commission (2001b). Internal Market Scoreboard, DG MARKT. 

  7. European Commission (2001c). 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DG ENTR. 

  8. European Commission (2004). Economic Sentiment Indicator, DG ECFIN. 

  9.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2008). Employment security and employability: A contribution to the flexicurity debate,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00).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N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Indicators: A Development of N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11.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2). The 3rd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Final Report. 

  12. OECD (2008). Handbook on Constructing Composite Indicators: Methodology and User guide, OECD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