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동 디지털참고서비스의 질문 분석: 국립중앙 도서관의 '사서에게 물어보세요'를 중심으로
Question Analysis of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1 no.4 = no.94, 2014년, pp.7 - 28  

장혜란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경숙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협동 디지털참고서비스의 이용자 정보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에게 물어보세요'에 2014년 전반기에 실제로 접수된 질문엔트리(N=661)를 대상으로, 질문의 수와 본질, 주제, 정보요구 발생정황, 이용자가 원하는 최종산물, 사서의 활동, 답변에 사용된 정보원 등을 분석하였다. 엔트리에 포함된 평균 질문 수는 1.17건이며 순수참고질문은 77.82%로 나타났다. 주제별로는 총류가 45.68%를 차지하고, 요구정황은 부과된 질문이 주를 이루었으며(84.17%), 이용자가 원하는 최종산물은 서지에(60.48%) 집중되었다. 사서의 활동은 문헌탐색(37.67%), 연구조사(19.67%), 사실탐색(18.67%) 순서이다. 답변제공에 사용된 정보원은 이차자료가 지배적이었으며(73.62%), 각종 웹사이트도 14.75%를 차지하고 있다. 부문별 세부항목별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참고서비스 진흥을 위한 도서관계의 노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ses the questions addressed to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run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data consist of 661 question entries to the 'Ask a Librarian' service during first 6 months in 2014. Each entry includes average 1.17 questions, and 77.82% of the tota...

주제어

참고문헌 (37)

  1. 국립중앙도서관 (2008).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 국립중앙도서관 (2009).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10).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11).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국립중앙도서관 (2012).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6. 국립중앙도서관 (2013).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7. 국립중앙도서관 (2011).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운영매뉴얼: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서비스 (개정판).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8. 남태우 등 (2008). 국내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서비스 활성화 및 실시간서비스 운영방안 연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Nam, Tae-Woo et al. (2008). Study on the promotion and management of Collaborative online reference &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9. 박희진, 박성재 (2013). 내용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전자게시판)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30(4), 175-193.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175(Park, Hee-Jin, & Park, Sung-Jae (2013). A study on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 using electronic bulletin boards in academic libraries through cont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175-193.) 

  10. 배순자 (2011). 국내 협력형디지털정보봉사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CDRS의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1-27. http://dx.doi.org/10.4275/KSLIS.2011.45.1.011(Bae, Soon-Ja (2011). A case study of the CD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1), 11-27.) 

  11. 유재옥 (2000). 대학도서관의 웹기반 전자참고정보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17(4), 171-186.(Yoo, Jae-Ok (2000). A study on web-based electronic reference services of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7(4), 171-186.) 

  12. 장혜란 (2003a).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 이용 분석. 사회과학연구, 17, 1-13.(Chang, Hye Rhan (2003a). Use analysis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Social Sciences, 17, 1-13.) 

  13. 장혜란 (2003b). 대학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 제공 및 이용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0(4), 49-66. http://dx.doi.org/10.3743/KOSIM.2003.20.4.049(Chang, Hye Rhan (2003b). Analysis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4), 49-66.) 

  14. 장혜란 (2004). 디지털참고봉사의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215-228.(Chang, Hye Rhan (2004). Digital reference service: Directions for promo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4), 215-228.) 

  15. 정경희 (2006). 국가기록원 인터넷 게시판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283-303.(Joung, Kyoung-Hee (2006). An analysis o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ur of users in the internet board of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283-303.) 

  16.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2013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3). 2013 Internet use survey.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17. ALA, RUSA (2008, Jan. 14). Definitions of reference. Retrieved from http://www.ala.org/rusa/resources/guidelines/definitionsreference. 

  18.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2010). ARL statistics questionnaire, 2009-10 instructions for completing the questionnaire. Retrieved from http://www.libqual.org/documents/admin/10instruct.pdf. 

  19. Bradford, J. T., Costello, B., & Lenholt. R. (2005). Reference service in the digital age: An analysis of sources used to answer reference question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1(3), 263-272. 

  20. Carter, D., & Janes, J. (2000). Unobtrusive data analysis of digital reference question and service at the Internet Public Library: An exploratory study. Library Trends, (49), 251-65. 

  21. Chang, Hye Rhan (2007). Analysis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2), 105-122. 

  22. Duff, W. M., & Johnson, C. A. (2001). A virtual expression of need: An analysis of e-mail reference questions. The American Archivist, 64(1), 43-60. 

  23. Garnsey, B. A., & Powell, R. R. (2000). Electronic mail reference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Reference and User Services Quarterly, 39(3), 245-254. 

  24. Grogan, D. (1992). Practical reference work. London: Clive Bingley. 

  25. Gross, M. (1995). The imposed-query. RQ, 35(2), 236-243. 

  26. Jahoda, G., & Braunagel, J. S. (1980). The librarian and reference queries: A systematic approach. New York: Academic Press. 

  27. Katz, W. (1969).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 Vol 2. Reference services. New York: McGraw-Hill. 

  28. Lehnert, W. G. (1978). The process of question answering: A computer simulation of cogn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ccociates, Inc. 

  29. Moeller, S. E. (2003). Ask-A-librarian: An analysis of an e-mail reference service at a large academic library. Internet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8(3), 47-62. 

  30. Numminen, P., & Vakkari, P. (2009). Question types in public libraries'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Finland: Comparing 1999 and 2006.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6), 1249-1257. 

  31. Pomerantz, J. (2003). Question taxonomies for digital refer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yracuse University. New York. USA. 

  32. Radford, M. L. et al. (2011). "Are we getting warmer?": Query clarification in live chat virtual reference.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50(3), 259-279. 

  33. Schwartz. J. (2003). Toward a typology of e-mail reference questions. Internet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8(3), 1-16. 

  34. Sears, J. (2001). Chat reference service: An analysis of one semester's data.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32, 200-206. 

  35. Smyth, J. (2003). Virtual reference transcript analysis. Searcher, 11(3), 26-30. 

  36. Warner, D. G. (2001). A new classification for reference statistic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1(1), 51-55. 

  37. Westbrook. L. (2009). Unanswerable questions at the IPL: User expectations of e-mail reference. The Journal of Documentation, 65(3), 367-3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