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gE로 감작된 RBL-2H3 세포에서 버섯자원의 항알레르기 활성 탐색
Study on the anti-allergy activity of mushrooms in IgE-sensitized RBL-2H3 cells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2 no.4, 2014년, pp.324 - 329  

이승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노형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최재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금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대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김승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버섯추출물 (42개)의 in vitro 항알레르기 효능탐색을 위해 랫드비만세포 (RBL-2H3 cell)에서 면역글로불린 (IgE)가 매개한 탈과립에 대한 저해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anti-DNP IgE 및 DNP-HSA에 의해 알레르기반응이 유발된 랫드비만세포에서 버섯 추출물의 IL-4과 ${\beta}$-hexosaminidase 분비량에 대한 저해활성과 세포생존에 대한 영향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IL-4 분비에 대해서는 팽이버섯 물추출물 등 5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eta}$-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해서는 영지버섯의 물추출물 등 8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비교적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증식에 대해서는 잎새버섯의 물추출물등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이 우수한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 팽이버섯의 물추출물과 상황버섯의 물추출물은 ${\beta}$-hexosaminidase 및 IL-4 분비에 대해 모두 비교적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추가로 2, 10, 50 ug/ml에서 실험된 영지버섯, 편각영지버섯, 눈꽃동충하초, 상황버섯 그리고 느타리버섯의 물추출물들은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량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때, 이들 in vitro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낸 버섯 추출물들은 추가실험을 통해 항알레르기 소재로의 활용성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evaluating the anti-allergy activity of mushrooms, forty two mushroom extracts were studied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n the IgE-mediated degranul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line (RBL-2H3 cell). Effects of mushroom extracts on the release of interleukin-4 (IL-4) and beta-hexosamini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버섯추출물 (42개)의 in vitro 항알레르기 효능탐색을 위해 랫드비만세포 (RBL-2H3 cell)에서 면역글로불린 (IgE)가 매개한 탈과립에 대한 저해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anti-DNP IgE 및 DNP-HSA에 의해 알레르기반응이 유발된 랫드비만세포에서 버섯 추출물의 IL-4과 β-hexosaminidase 분비량에 대한 저해활성과 세포생존에 대한 영향이 분석되었다.
  • 연구에서는 버섯추출물이 가지는 항알레르기 활성의 평가를 위해 mast cell에서의 IL-4 생성에 대해 버섯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42개의 버섯추출물을 탈과립을 유도한 랫드비만세포에 처리하고 IL-4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10 ug/ml의 처리농도에서 32개의 시료가 IL-4 방출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나머지 10개 시료들은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 이와 같은 취지에 따라 본 연구는 버섯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수준에서의 항알레르기 활성을 평가하고 유용한 후보 자원을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반응은 어떤 경우를 말하는가? 면역은 외래물질에 대해 나타내는 집합적이고 조화로운 생체의 반응을 말하며, 건강한 사람에게는 무해한 주변 환경의 일부 물질에 대해 일부 사람은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한다. 알레르기 반응은 면역글로블린 E (IgE)의 생성과 관련되며 감염성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기전이 발생할 때 그 시작과 진행이 비정상적이며, 면역계에는 많은 피드백 경로가 있어 일단 병리학적인 면역반응이 시작되면 조절과 종료가 어렵고 만성적이고 진행성이 되는 경향이 있다.
알레르기성 질환 중 즉시형 과민반응질환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알레르기 반응은 면역글로블린 E (IgE)의 생성과 관련되며 감염성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기전이 발생할 때 그 시작과 진행이 비정상적이며, 면역계에는 많은 피드백 경로가 있어 일단 병리학적인 면역반응이 시작되면 조절과 종료가 어렵고 만성적이고 진행성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은 정상적인 항원에 대해 수 분 내에 시작되고 병리적 결과를 수반하는 즉시형 과민증과 좀 더 천천히 진행되어 염증성을 띠는 지연형 과민증이 있으며, 사람에서의 즉시형 과민반응질환에는 전신 아나필락시스,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 비염, 음식물 알레르기, 피부 알레르기 등이 있다 (Owen et al,, 2014; Abbas et al., 2012).
면역이란 무엇인가? 면역은 외래물질에 대해 나타내는 집합적이고 조화로운 생체의 반응을 말하며, 건강한 사람에게는 무해한 주변 환경의 일부 물질에 대해 일부 사람은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한다. 알레르기 반응은 면역글로블린 E (IgE)의 생성과 관련되며 감염성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기전이 발생할 때 그 시작과 진행이 비정상적이며, 면역계에는 많은 피드백 경로가 있어 일단 병리학적인 면역반응이 시작되면 조절과 종료가 어렵고 만성적이고 진행성이 되는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bbas AK, Lichman AH, Pillai S. 2012.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7th ed.). Elsevier Press, USA. pp. 407-443. 

  2. Burgo GR, Duse M, Nespoli. 1993. Reacting the atopic way. Rivista Italians Di Pediatria-Italian. J Pediatr. 19:223-233. 

  3. Chan TK, Ng DSW, Cheng C, Guan SP, Koh HM, Wong WSF. 2013. Anti-allergic actions of rottlerin from Mallotus philippinensis in experimental mast cell-mediated anaphylactic models. Phytomedicine. 20:853-860. 

  4. Jaffe JS; Metcalfe DD. 1993. Cytokines and thei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severe food hypersensitivity reactions. Annal Allerg. 71:362-364. 

  5. Jeon YH, An CS, Jin HL, Hur SJ, Bak JP, Lim BO. 2009. Immunoregulatory of Inonotus obliquus and Inonotus obliquus grow in germinated brown rice on atopic dermatitis model NC/Nga mice. 2009 Plant Science Conference. Excerpt Collection. pp.175-175. 

  6. Jung HJ, Min HB, Do EJ, Jang MS, Kim MR, Kim YH, Do KB, Lee CE, Jee SY. 2010. A clinical research about herbal cosmetics containing Phellinus linteus extracts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J Kor Orient Med Ophthalmol & Otolaryngol & Dermatol. 23:154-164. 

  7. Kimber I, Dearman RJ. 1992. The mechanisms and evaluation of chemically-induced allergy. Toxicol Lett. 64-5:79-81. 

  8. Kim YS, Seok SJ, Weon HY, Lee GH, Kim YG, Park JS. 2008. The Mushrooms of Korea, Edible and poisonous mushrooms. National Institute of Aga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Kimyongsa Press. 2008. pp1-467. 

  9. Kohler I, Rieber EP. 1993. Allergy-associated I-epsilon and FC-epsilon receptor-II(CD23B) genes activated via binding of an interleukin-4-induced transcription factor to a novel reponsive element. Eur J Immunol. 23:3066-3071. 

  10. Kumar S, Verma AK, Das M, Dwivedi PD. 2012. Molecular mechanisms of IgE mediated food allergy. Int Immunopharmacol. 13:432-439. 

  11. Lee CE. 1998. Cytokines signals regulating the allergy associated immune cell receptors, IL-4 receptor and type II IgE receptor.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Excerpt Collection. 1998:129-131. 

  12. Owen JA, J Punt, SA Stranford. 2014. Kuby Immunology.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translation). Panmun Education. Seoul. pp459. 

  13. Santos MS, Andrioli WJ, Lama MPFMD, Bastos JK, Nanayakkata NPD, Naal RMZG. 2013. In vitro antiallergic activity of the fungal metabolite pyridovericin. Int Immunopharmacol. 15:532-538. 

  14. Tanaka M; K Yamagishi, S Takuya, T Hirouchi, T Okamoto. 2012. Impact of Peptides from casein and peptide-related amino acids on degranul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line RBL-2H3. Nipp Shokuh Kagak Kogak Kaishi. 59:556-561. 

  15. Yun WS, Jung HA, Roh SS. 2010. Effect of Phellinus igniarius Quel extract on the anti-inflammatory, anti allergy, anti-oxidant, anti-wrinkle. J Kor Orient Med Ophthalmol & Otolaryngol & Dermatol. 23:75-9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