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 탐구수업에서 문제생성 학습전략의 효과
The Effect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y for Science Inquiry I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4년, pp.700 - 709  

김혜란 (효동초등학교) ,  최선영 (경인교육대학교) ,  이길재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y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To examine the effects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y this 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탐구 학습에 임하여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식구성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문제생성 학습전략을 적용하여 이에 따른 효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에 학습자가 주도 적으로 참여하여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문제생성 탐구 학습전략을 적용하여 이에 따른 효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과 같은 절차로 과학 탐구 수업에 적용하고자 구성하였다. 이때 문제 만들기와 의견 교류 및 동료 평가 단계에서 학습자의 자유로운 문제생성과 원활한 피드백을 안내하기 위하여 [부록 1]과 같이 문제 활동지를 만들어 제시하였다. 활동지는 학습전략을 안내하는 발문에 따라 문제를 만드는 과정, 문제에 대하여 모범답안을 만들어 습득한 개념을 재확인하는 과정, 상호 피드백을 위한 문항 평가 기준과 피드백에 대한 내용을 쓰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 문제생성 전략을 사용하는 과정은 문제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만든 문제에 대하여 동료 피드백을 통해 완성 하는 과정까지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탐구학습에 임하도록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학습한 개념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만든 후에 그 타당성을 동료와 토의하게 하도록 문제생성 전략을 Fig. 1과 같은 절차로 과학 탐구 수업에 적용하고자 구성하였다. 이때 문제 만들기와 의견 교류 및 동료 평가 단계에서 학습자의 자유로운 문제생성과 원활한 피드백을 안내하기 위하여 [부록 1]과 같이 문제 활동지를 만들어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무엇을 추구하나? 현대 사회는 지식 기반의 사회이며, 단순한 교과 지식의 습득보다 실천적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도 학생의 지나친 학습 부담을 경감하고, 학습 흥미를 유발하며, 단편적 지식․이해 교육이 아닌 학습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지나친 암기중심 교육에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를 육성하는 교육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구성주의에서 학습은 무엇을 강조하나? 또한 21 세기 미래 교육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가속화 되면서, 구성주의에 기반한 자기 주도적 학습에서 학습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 하게 부각되고 있다(Park, 2013). 구성주의에서 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참여하고 있는 활동을 통해 스스로 지식과 이해를 구성하고 있는 과정이며, 사회적 구성주의에서는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Vygotsky, 1978). 이러한 관점에서 학교 교육에서는 수업에서의 자료 제시 방법과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강조해야 하며(Kim et al.
본 논문의 문제생성 학습전략을 적용한 탐구 수업 과정별 세부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학습할 문제 확인 단계에서는 학생들은 교사가 미리 준비한 동기유발 자료와 교과서를 가지고 학습 내용을 미리 살펴봄으로 학습 동기를 갖고, 학습 목표와 학습 문제를 확인한다. 둘째, 과학적 탐구 단계에서는 학생들은 실험관찰, 교과서 혹은 학습지를 이용하여 모둠별로 기초 탐구 및 통합 탐구 활동을 통해 개념을 탐구한다. 셋째, 문제 만들기 단계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반 추하고, 중요한 학습 내용이 무엇인가를 생각하여 창의적인 문항을 만든다. 만든 후에는 평가표에 문항을 만든 의도와 답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다. 이때문항 만들기는 모둠별로 협력하여 한 문제를 만드는 방법과 개인별로 한 문항씩 만드는 방법이 있다. 넷째, 의견 교류 및 동료 평가 단계에서는 만든 문항을 서로 바꾸어 문항의 적절성과 창의성 정도를 평가하여 수정 및 보완할 점을 피드백 한다. 이때 문제 교류 및 평가 방식은 평가표를 돌려가며 평가의견서를 작성하는 방법과 학습자가 개발한 문항과 평가표의 내용을 각자 발표하여 타당성에 대하여 토의하는 방법이 있다. 다섯째, 자기 평가 및 반성하기 단계는 학습한 내용 및 수업 태도와 관련하여 자기 평가 및 반성을 한다. 또한 동료 평가 결과를 참고하여 잘못 이해한 학습 내용을 수정하고, 문항과 평가표를 개선 한다. 이때 교사가 직접 학생에게 잘못 이해했거나 어려워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해 줄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rown, S. I. & Walter, M. I. (1993). Problem posing in mathematics education. In S. I. Brown & M. I. Walter (Eds.), Problem posing: reflections and application (pp.16-27). NY: Routledge. 

  2. Cho, H. & Choi, K. (2002). Science educati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4), 820-836. 

  3. Collins, A., Browun, J. S. & Newman, S. E. (1990). Cognitive apprenticeship: Teaching the crafts of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In L. Resnik (Ed.), Knowing, learning, and instruction: Essays in honor of Robert Glaser (453-494). Hillsdale, NJ: Erlbaum. 

  4. Davey, B. & Mcbride, S. (1986). Effect of question tration training on reading comprehension assist for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0, 43-46. 

  5. Dillon, J. T. (1982). Effect of the question in education and other enterpris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4(2), 127-152. 

  6.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7. Hwang, J. (2000). A study of the effect of self-questioning strategy.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8. Jang, S. (2000). A case study of the difficulties of teacher and students in using the science talk, and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their ability of talking about science.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7(1), 79-99. 

  9. Joo, J. (2002). The effect of the mathematics problem posing to the problem discovery ability.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0. Jung, E. (2008).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questioning strategy 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in middle school: Using 'cell division' chapter in middle school third year textbook.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1. Jung, M. (2002). Effects of problem-based instru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Jung, S. (2010).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generating program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Kang, E. (2012). The impact of problem-posing activity and peer assessment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4. Kang, H., Kim, Y. & Park, J. (2007). Analysis of the biology-related contents on the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7th nation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35(1), 117-133. 

  15. Kilpatrick, J. (1987). Problem formulating: Where do good problem come from in a schoenfeld. In A. H. schoenfeld (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23-148). NY: Routledge. 

  16. Kim, C., Oh, P. & Jeon, J. (2005).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feedback providers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feedbac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2), 111-122. 

  17. Kim, H. (2011). A study on problem posing strategies to impro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8. Kim, H., Chung, W. & Jeong, J. (1998).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8(3), 357-369. 

  19. Kim, K. (2012). Effects of peer instruction by learning content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King, A. (1994). Guid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Effects of teaching children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American Educational Journal, 31(2), 338-368. 

  21. Lee, H. (2010a). Start for promo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ty [수업 전문성 신장의 출발].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Seoul Edu Spring, 38-42. 

  22. Lee, S. (2010b). The effects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y in the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and learning.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3. Lee, Y. (2002). Effects of problem-based instruction 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er's cognitive style.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Lee, Y. (2009).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enhancing student questioning. Master's Thesis, Chu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과학과교육과정].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61. 

  26. Oh, S. (2013). The effects of self-questioning strategy on 5th graders' logical thinking and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s, depending on students' learning style.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7. Park, D. (2012). The effect of question-generating strategy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in social studi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8. Park, K. (1997).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through the self-questioning strateg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9. Park, S. (2013). A study on the 6th elementary students' self-questioning strategies after reading.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46, 55-76. 

  30. Ryu, S. (2010). The effects of question making training on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question levels.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31. Ryu, S., Kim, Y., Lee, J. & Moon, S. (2011). The effects of question-creation training on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question leve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2), 225-238. 

  32. Silver, E. A. (1995). A study on the mathematical problem posing.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16, 215-232. 

  33. Vygotsky, L.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4. White & Gunstone (1992). Probing understanding. The Falmer Press, 158-176. 

  35. Woo, J. (2013). Effect of question-generation strategy on the cognitive ability and affective characteristic.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