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VARK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
An Analysis on the Relation of Elementary Students' VARK Styles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4년, pp.724 - 735  

하지훈 (경기고잔초등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RK Learning styles test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VARK questionnaire (version 7.3) for Youngers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est. The subjects were 99 in 6th grade students of an el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각적 요소(V)인 그림과 읽기/쓰기 요소(R)인 글이나 수 등과 같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에서 구분하는 의사소통의 형태가 VARK 학습양식과 밀접한 부분을 많이 가지는데,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VARK 학습양식 현황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수준을 측정 및 검사하여 초등학생들이 가진 VARK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VARK 학습양식 조사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통해 현재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고, 의사소통의 정보 전달 유형과 관련이 깊은 VARK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과학과 교육에서 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VARK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태를 파악하였고, 또 이 둘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에서 사용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에 대한 제안점을 발견하였다. 과학에서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날로 커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ARK 학습양식의 기원은 무엇인가? VARK 학습양식의 기원은 초기 신경언어 모형의 확장으로서 감각 모형에 있다. VARK 학습양식 모형보다 앞서 등장한 VAK 학습양식 모형은 의사소통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각적(Visual), 청각적(Aural), 운동감각적(Kinesthetic) 용어의 앞 글자를 따서 VAK 학습양식 모형으로 불린다(Blevins, 2014; Muhaidib, 2011; Sharp et al.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란 자신이 가진 과학적 지식과 소양을 바탕으로 사실, 현상, 원인 등에 대한 과학적 설명과 주장을 다른 사람에게 다양한 형태로 전달, 교환, 공유하는 능력을 말한다(Jeon, 2013).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는 16개의 선다형 문항과 8개의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교과 내용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을 구성 하여 제시하였다.
미국과학한림원에서는 K-12학년의 과학과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였는가? 미국과학한림원(National Academy Science, 2012)에서는 K-12학년의 과학과 목표를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하였다. 하나는 우리나라의 목표와 동일한 과학적 소양과 관련된 목표이고, 다른 하나는 미래의 과학자, 기술자 등의 양성이다. 과학과의 목표를 전문적인 과학자 양성으로 볼 때에도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levins, S. (2014). Understanding learning styles. MEDSURG Nursing, 23(1), 59-60. 

  2. Choi, H. J., Hong, Y. H., Lee, J. N., Kwon, M. R., Seo, S. O., Kim, J. T. & Kwon, J. S. (2005). Degree of cognitive conflict by learner personality and the method of presenting anomalous data in scienc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4), 441-449. 

  3. Dunn, R. S. & Dunn, K. J. (1979). Learning styles/teaching styles: Should they… Can they… Be matched?. Educational Leadership, 36(4), 238-244. 

  4. Ehrman, M. E., Leaver, B. L. & Oxford, R. L. (2003). A brief overview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System, 31, 313-330. 

  5. Fleming, N. D. (1995). I'm different; not dumb. Modes of presentation (VARK) in the tertiary classroom, in Zelmer, A. (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1995 Annual Conference of the Higher Education and Research Development Society of Australasia 18, 308-313. 

  6. Fleming, N. D. (2006).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VARK strategies. 2nd Ed. Christchurch, New Zealand: N. D. Fleming. 

  7. Fleming, N. D. (2014). The VARK Questionnaire: How Do I Learn Best?, Retrieved 24, September, 2014, from http://www.vark-learn.com/english/page.asp?pyounger/ 

  8. Fleming, N. D. & Baume, D. E. (2006). Learning styles again: VARKing up the right tree. Educational Developments, 7(4), 4-7. 

  9. Fleming, N. D. & Mills, C. (1992). Not another inventory rather a catalyst for reflection. To Improve the Academy, 11, 137-143. 

  10. Garvey, W. D. & Griffith, B. C. (1972).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within scientific disciplines: Empirical findings for psychology.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8(3), 123-136. 

  11. Hall, E. & Moseley, D. (2005). Is there a role for learning styles in personalised education and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24(3), 243-255. 

  12. Han, K. S. & Kim, H. 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learning styles of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1), 239-316. 

  13. Han, S. K. & Han, H. S. (2009). Correlation analysis on scratch-base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ing sty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3(3), 351-358. 

  14. Hawk, T. F. & Shah, A. J. (2007). Using learning style instruments to enhance student learning. Decision Sciences Journal of Innovative Education, 5(1), 1-19. 

  15. Jeon, S. S. (2013). Development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Jeon, S. S. (2014). A comparison analysi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1), 149-164. 

  17. Kim, A. Y. (2012).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CALL) in improving pronunciation: A case study. The Korea Association of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5(3), 11-33. 

  18. Kim, J. Y. & Kim, S. J. (2013). An analysi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TIMSS 201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423-436. 

  19. Lee, S. D., Won, J. G. & Kim, K. M. (2007). The comparison of general students, and the mathematics gifted, and the science gifted in learning style and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6(2), 107-128. 

  20. Lee, H. S., Bae, J. H. & So, K. H. (2012).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strengthening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Biology Education, 40(1), 97-108. 

  21. Lee, W. K. & Seo, H. A.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3(1), 193-203. 

  22. Leite, W. L., Svinicki, M. & Shi, Y. (2009). Attempted validation of the scores of the VARK: Learning styles inventory with multitrait-multimetho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70(2), 323-339. 

  23. Lujan, H. L. & Dicarlo, S. E. (2006). First-year medical students prefer multiple learning styles. The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30, 13-16. 

  24. Min, H. S. (2012). Analysis of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learners's learning styles. Master's The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 Ministry of Education. (2014). Elementary school 4th grade science teacher's guide. Seoul: Mirae-N. 

  26. Muhaidib, N. S. (2011). Different learning styles used by Saudi female English second language learners. Ekev Akademi Dergisi, 15(46), 435-449. 

  27. National Academy of Science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8. Park, A. & Kim, Y. K. (2014). The effects of STEAM program on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learning flow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439-452. 

  29. Prithishkumar, I. J. (2014). Understanding your student: Using the VARK model. Journal of Postgraduate Medicine, 60(2) 183-186. 

  30. Rea, L. M. & Parker, R. A. (2005). Designing &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3rd Edi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1. Robertson, L., Smellie, T., Wilson, P. & Cox, L. (2011). Learning styles and fieldwork education: Students' perspectives. 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8(1), 36-40. 

  32. Sharp, J. G., Bowker, R. & Byrne, J. (2008). VAK or VAK-uous? Towards the trivialisation of learning and the death of scholarship.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3(3), 293-314 

  33. Woo. J., Rhee, H. Y. & Choi, H. Y. (2012).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type of laboratory instruction of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306-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