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ook-Turn 통행방식의 적정 자전거 대기공간 크기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the Optimal Size of Bicycle Waiting Zone under Hook-Turn Operation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5 no.5, 2016년, pp.42 - 53  

임국현 (한국교통연구원) ,  김남선 (치안정책연구소) ,  이상수 (아주대학교 교통공학과) ,  남두희 (한성대학교 정보시스템공학과) ,  김정태 (한국도로공사 재난안전처 재난대책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전거 대기공간 크기의 변화에 따른 Hook-Turn 방식의 운영효과를 파악하고, 신호교차로를 운영 시 요구되는 적정한 대기공간의 크기를 다양한 교통상황에서 평가하여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량조건, 자전거 교통량, RTOR 우회전 통행방식을 고려하여 자전거 및 차량 지체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일반적으로 차량 지체는 자전거 대기공간에 큰 영향이 없으나, 자전거 지체는 대기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그리고 RTOR 적용시와 비적용시의 차량과 자전거 지체의 패턴은 유사하였지만, RTOR 비적용시 차량지체는 약간 증가하였고, 자전거 지체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효과 차이는 우회전 교통향이 크게 증가하면 크게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RTOR 적용시에는 6대의 대기공간이 필요하나, 자전거 좌회전 교통량이 120대보다 많은 경우 9대의 대기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권장된다. RTOR 비적용시에는 6대의 대기공간이 필요하나, 자전거 좌회전 교통량이 90대보다 많은 경우 12대의 대기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권장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ook-turn operation with various sizes of bicycle waiting zone(WZ)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size of bicycle WZ under various traffic and control circumstances. An extensive simulation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bicycle and vehicle delay trend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 자전거 Hook-Turn 통행방식 적용을 대한 대기공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적정대기공간의 크기를 산정하기 위하여 미시적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량 포화도, RTOR 적용유무, 자전거 교통량, 좌회전 자전거 회전비율을 달리하여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자전거 대기공간 크기의 변화에 따른 Hook-Turn 방식의 운영 효과를 파악하고, 신호교차로 운영 시 요구되는 적정한 대기공간의 크기를 다양한 교통상황에서 파악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량 조건과 자전거 교통량이 반영된 환경에서 RTOR 우회전 통행방식의 적용 여부를 함께 고려하여 자전거 및 차량 지체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 특히 RTOR 적용 여부에 따라 실제적인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논문은 없으며,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목적을 달성하여 국내 자전거 신호 운영과 관련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귀무가설:대기공간 크기에 의한 지체의 차이가 없다.
  • 05보다 커서 귀무가설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자전거 교통량 500대/시이고, 좌회전 비이 0.4인 경우에만 귀무가설을 기각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자전거 대기공간의 크기가 차량의 지체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자전거 교통량 많은 조건에서는 차량의 지체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대립가설:대기공간 크기에 의한 지체의 차이가 있다.
  • 신호교차로의 제어지체를 구성하는 세 가지 지체 중에서 자전거도로의 신호교차로의 지체는 균일 지체만으로 산정하는데 이는 자전거 도로의 경우 과포화 상태인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자전거 도로의 경우 연동계수(Progression Factor)는 지체에 큰 영향이 없다고 간주하여 1로 가정한다. 따라서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신호교차로에서의 효과척도는 일반적으로 다음 식과 같은 균일지체만 고려하여 평가한다[2].
  • 방향별 자전거 교통량을 500대/시까지로 설정한 이유는 자전거는 자동차와 달리 포화도(Degree of Saturation, DS) 비율이 높지 않을 것으로 가정하여 500대/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자전거 좌회전 교통량 비율은 자전거 통행의 특성상 중․단거리이고, 다양한 목적지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차량의 좌회전 비율보다 높은 0.
  • 차량지체의 경우에는 RTOR 적용 여부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경우 유의확률이 0.05보다 커서 귀무가설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자전거 교통량 500대/시이고, 좌회전 비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도로교통법 제25조 3항에 명시되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는 도로교통법 제25조 3항에 ‘자전거의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로 붙어 서행하면서 교차로의 가장자리 부분을 이용하여 좌회전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즉 자전거가 좌회전하기 위해 선 2번의 신호를 받아 이동하게 된다.
Hook-Turn 방식의 일반차량과 다른 특징은 무엇인가? 1]과 같이 자전거가 2번의 신호를 받고 간접 좌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방식은 일반차량이 좌회전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자전거가 이동방향의 건너편으로 이동하여 건너편 차량의 흐름과 함께 이동하며, 직진 차량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방식이다. Hook-Turn 방식의 장점은 자전거의 간접좌회전을 통해 차량과의 상충을 줄일 수 있으며, 자전거가 차량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고, 단점은 자전거 대기공간의 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며 대기공간의 크기 또한 정해진 규정이 없다는 것이다.
대기공간의 크기로 인해 나타나는 영향은 무엇인가? 차량 앞에 자전거 이용자들을 고려한 대기공간을 만들게 되면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은 증가하지만, 이러한 대기공간의 위치와 크기가 교차로 차량교통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대기공간이 너무 크면 교차로 면적이 커져서 상충 면적이 늘어나고 차량의 손실시간이 증가하여 차량의 지체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고, 또한 대기공간이 너무 작으면 자전거의 이동성과 안전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Hook-Turn 방식을 적용하여 신호교차로 운영 시 적정한 대기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교차로를 이용하는 차량과 자전거의 운영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2008), Activate cycling comprehensive measures.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9), Bicycle road infrastructure standards and management guidelines. 

  3. Choi G. H. and Lee Y. I.(2008), "A Study on the Signal Control for Heterogenous Traffic at Signalized Intersection Considering Effect of Bicycles," Proceeding of the 7th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pp.37-48. 

  4. Han W. S., Whang S. H., Hyun C. S., Lee H. W., Oh Y. T. and Lee C. K.(2008), "A Study on Introduction of Bike Exclusive Focused on Traffic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7, no. 5, pp.77-89. 

  5. Lee J. H.(2010), A Study on the Location of Waiting Space for Bicycle's Hook-turn at the Intersection,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6. Mok S. J., Kim E. C. and Heo H. B.(2013),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Bicycle Traffic Flow at Four-Legged Inters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5, no. 3, pp.177-189. 

  7. Lee C. M., Lee S. S., Cho H. S. and Nam D. H.(2014), "Assessment of Bicycle Left-turn Traffic Control Strategi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2, no. 6, pp.579-588. 

  8. Patric D., Joseph E. and Rouphail M.(1998), "Effect of Bicycles on Capacity of Signalized Intersections," TRR 1646, pp.87-95. 

  9. Moeur R. C.(1999), Bicycle-Specific Traffic Control, http://www.richardcmoeur.com/docs/bikespectrfctrl.pdf. 

  10. Jennifer D., Christopher M. and Nathan M.(2012), "Evaluation of Bike Box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Oregon Transportation Research and Education Consortium, vol. 44, no. 1, pp.126-134. 

  11. Quan Y. and Dongye S.(2011), "Study on Bicycle Signal Timing Algorithm at Signalized Intersection,"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vol. 71, pp.4044-4047. 

  12. Steven E., Shladover, Kim Z., Meng C. and Ashkan S.(2009), "Bicyclist Intersection Crossing Times," TRR 2128, pp.86-95. 

  13.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1999),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Bicycle Facilit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