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립체 근병증 환자에서 발생한 자가항체 양성의 당뇨병성 케톤산증 1례
A Patient with Mitochondrial Myopathy who Experienced Diabetic Ketoacidosis with Auto-antibody 원문보기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v.14 no.2, 2014년, pp.191 - 194  

남순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허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권영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지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성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진동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립체 근병증은 사립체 호흡 사슬의 장애로 인한 것으로 내분비계 관련 증상이 흔히 동반되고 그 중 당뇨병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사립체 근병증에서의 당뇨병은 사립체 기능 장애로 인한 인슐린 분비의 결함으로 발생하고, 대개 인슐린 의존성이나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발현하거나 자가 항체가 검출되는 경우는 드물다. 저자들은 사립체 근병증 환자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발현하고 Anti-GAD antibody와 Anti-insulin auto-antibody가 모두 양성으로 확인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을 진단하였기에 이를 기존의 문헌과 비교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tochondrial myopathy results from a primary dysfunction of the respiratory chain and is frequently accompanied with endocrine manifestations. Among the endocrine manifestations of mitochondrial disease, diabetes mellitus is relatively common. Diabetes mellitus in the mitochondrial myopathy is us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증례에서는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이 있던 4세 여아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최초 발현하고 Anti-GAD antibody, Anti-insulin auto-antibody가 확인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사립체 근병증에서의 당뇨병은 사립체 기능 장애로 인한 인슐린 분비의 결함으로 발생하고, 대개 인슐린 의존성이나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발현하거나 자가 항체가 검출되는 경우는 드물다. 저자들은 사립체 근병증 환자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발현하고 Anti-GAD antibody와 Anti-insulin auto-antibody가 모두 양성으로 확인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을 진단하였기에 이를 기존의 문헌과 비교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국내에서 사립체 근병증과 인슐린 의존성 당뇨에 관한 증례는 MELAS (Mitochondrial myopathy, Encephalopathy, Lactic acidosis, and Stroke like episodes) 증후군에서 발생한 3례가 있고, 그 중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1례가 있었으나 Islet cell antibody, Anti-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antibody, Anti-insulin auto-antibody는 모두 음성이었다. 하지만 국내에서 MELAS 증후군이 아닌 사립체 근병증 환자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발현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을 진단한 보고는 없으며, 사립체 질환에서는 드물게 자가항체가 양성으로 확인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립체 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립체 유전체(mtDNA) 혹은 핵 유전체에서 점 돌연변이, 단일 대규모 결손, 다발성 결손 및 사립체 유전체 결손 등의 이상이 있을 경우 사립체 호흡 사슬의 기본 기능 장애로 아데노신 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을 생성하는 데 결함이 발생한다. 이로 인한 사립체 질환은 대개 진행성이고 여러 장기를 침범하며 주로 에너지 요구량이 많은 근육, 심장, 내분비계, 신장, 위장관계, 망막 및 중추 신경계 등의 장기에 발생한다1-3).
사립체란 무엇인가? 사립체는 세포 내 세포 소기관으로 16.5 kb 유전체 형태의 자체적인 유전 물질(mitochondrial DNA, mt DNA)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사립체 단백들은 핵 유전체(nuclear DNA, nDNA)에 의해 암호화된다. 사립체 유전체(mtDNA) 혹은 핵 유전체에서 점 돌연변이, 단일 대규모 결손, 다발성 결손 및 사립체 유전체 결손 등의 이상이 있을 경우 사립체 호흡 사슬의 기본 기능 장애로 아데노신 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을 생성하는 데 결함이 발생한다.
사립체 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5 kb 유전체 형태의 자체적인 유전 물질(mitochondrial DNA, mt DNA)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사립체 단백들은 핵 유전체(nuclear DNA, nDNA)에 의해 암호화된다. 사립체 유전체(mtDNA) 혹은 핵 유전체에서 점 돌연변이, 단일 대규모 결손, 다발성 결손 및 사립체 유전체 결손 등의 이상이 있을 경우 사립체 호흡 사슬의 기본 기능 장애로 아데노신 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을 생성하는 데 결함이 발생한다. 이로 인한 사립체 질환은 대개 진행성이고 여러 장기를 침범하며 주로 에너지 요구량이 많은 근육, 심장, 내분비계, 신장, 위장관계, 망막 및 중추 신경계 등의 장기에 발생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won SU, Lee KH, Kim DE, Hwang YS, Chun YK, Chi JG, et 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Mitochondrial Diseases. J Korean Neurol Assoc 1995;13:941-53. 

  2. Haas RH, Parikh S, Falk MJ, Saneto RP, Wolf NI, Darin N, et al. Mitochondrial disease: a practical approach for primary care physicians. Pediatrics 2007;120:1326-33. 

  3. Pfeffer G, Chinnery PF. Diagnosis and treatment of mitochondrial myopathies. Ann Med 2013;45:4-16. 

  4. Schaefer AM, Walker M, Turnbull DM, Taylor RW. Endocrine disorders in mitochondrial disease. Mol Cell Endocrinol 2013;379:2-11. 

  5. Whittaker RG, Schaefer AM, McFarland R, Taylor RW, Walker M, Turnbull DM. Prevalence and progression of diabetes in mitochondrial disease. Diabetologia 2007;50:2085-9. 

  6. Johns DR. Seminars in medicine of the Beth Israel Hospital, Boston. Mitochondrial DNA and disease. N Engl J Med 1995;333:638-44. 

  7. Gerbitz KD, van den Ouweland JM, Maassen JA, Jaksch M. Mitochondrial diabetes mellitus: a review. Biochim Biophys Acta 1995;1271:253-60. 

  8. Muravchick S. Clinical implications of mitochondrial disease. Adv Drug Deliv Rev 2008;60:1553-60. 

  9. Jung SH, Kim EJ, Im SH, Ju K, Choi Kh, Ko SH, et al. A Case of MELAS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 Lactic Acidosis, Stroke-like Episodes) Syndrome Manifested by Diabetic Ketoacidosis. J Korean Diabetes Assoc 2004;28:231-7. 

  10. Park KR, Park HW, Ko TS, Cheong HI, Yang SW, Hwang YS, et al. A Pediatric Case of MELAS Syndrome Associated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Korean Pediatr Soc 1996;39:1461-5. 

  11. Jeong HS, Kang JY, Kim H, Lee KH, Lee DS, Choi GY, et al. A Case of MELAS Syndrome Manifested by Insulin-deficient Diabetes Mellitus. J Korean Endocr Soc 2008;23:444-9. 

  12. Huang CN, Jee SH, Hwang JJ, Kuo YF, Chuang LM. Autoimmune IDDM in a sporadic MELAS patient with mitochondrial tRNA (Leu(UUR)) mutation. Clin Endocrinol (Oxf) 1998;49:265-70. 

  13. Suzuki Y, Kobayashi T, Taniyama M, Astumi Y, Oka Y, Kadowaki T, et al. Islet cell antibody in mitochondrial diabetes. Diabetes Res Clin Pract 1997;35:163-5. 

  14. Kobayashi T, Oka Y, Katagiri H, Falorni A, Kasuga A, Takei I, et al. Association between HLA and islet cell antibodies in diabetic patients with a mitochondrial DNA mutation at base pair 3243. Diabetologia 1996;39:1196-200. 

  15. Oka Y, Katagiri H, Yazaki Y, Murase T, Kobayashi T. Mitochondrial gene mutation in islet-cell-antibody-positive patients who were initially noninsulin-dependent diabetics. Lancet 1993;342:527-8. 

  16. Rotig A, Bonnefont JP, Munnich A. Mitochondri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tab 1996;22:29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