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내버스 준공영제 성과분석: 공공성 및 효율성 - 부산시 사례 -
Performance Evaluation of Quasi-Public Bus System: Publicness and Efficiency - Case: Busan -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1, 2014년, pp.251 - 259  

신용은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정지우 (동의대학교 공과대학원 도시공학과)

초록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의 본질적 목표는 공영방식과 민영방식의 장점인 서비스 "공공성"과 운행 "효율성" 확보에 있다. 그러나 그간의 준공영제에 대한 다양한 성과평가 시도가 공공성과 효율성 측면을 충분히 담지 못한 점이 있다. 본 연구는 공공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성과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성과평가모형을 구축하고 부산시의 준공영제 5년간 시행성과를 평가하였다. 공공성 평가기준으로 접근성, 주체, 공익으로 구분하여 측정지표를 선정하였고, 효율성 평가를 위해서는 재정상황, 인력(노동), 운행 및 차량, 그리고 비용 등으로 구분하여 측정지표를 선정하였다. 부산시의 경우 대부분 성과지표가 의도하였던 공공성과 효율성 확보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및 정류장 확대로 접근성이 향상되었고, 법제도적 정비와 보조금 증가 등으로 부산시의 시내버스에 대한 통제력과 역할은 확대되었고, 정책노선 확대, 통행비용감소, 서비스수준제고 등 공공성이 제고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업체경영이 개선되고, 노동효율성, 운행효율성 지표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량이용과 비용 효율성과 더불어 지나친 보조금 문제는 향후 검토되어야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평가모형은 실험적이기 때문에 공공성과 효율성에 관한 모든 논의를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고 몇몇 중요지표는 충분히 다루지 못한 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정책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동시에 보다 정밀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가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curing publicness and efficiencies are the two core goals for implementing quasi-public bus system. However, researches for evaluating the quasi-public bus system with respect to the two goals have been very limited. This study represents an attempt to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 in these tw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은 서울시와 업체의 역할분담에도 불구하고 공공성과 효율성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 사유로 공공의 노선조정 및 감차권한의 한계, 민간업체 효율성 제고를 유인할 수 있는 체제의 부재와 경쟁구도 조성실패를 들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경우 공공성 및 효율성확보가 준공영제 도입 핵심 목표임은 인지하였으나, 지원금 증가 문제점 해결에 치중한 결과 핵심목표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 부산시는 국가적으로 준공영제 모범사례로 인정되고 있으며, 특히 타도시의 시행착오를 기초로 시행초기부터 상대적으로 철저한 준비과정과 계획을 통해 도입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시행전후의 비교가 용이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각 기준별 평가기준 및 측정지표는 가급적 용이한 비교를 위해 부산시의 준공영제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결정하였으나, 동시에 여건이 상이한 지자체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가급적 정량적이고 보편적인 기준과 지표로 선정하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그간 시행된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성과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성과 효율성측면으로 구분된 평가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사례인 부산시 준공영제 시행 5년간의 성과를 분석하여 구축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 본 연구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의 근본적인 목표인 공공성 및 효율성 확보에 대한 성과평가를 시도하였다. 민간업체 책임 하에 서비스가 제공되는 민영제와 달리 준공영제는 정부 책임 하에 서비스의 공공성 확보가 가능하고 민간의 창의력을 바탕으로 효율성의 확보가 동시에 가능하다는 전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시행에 따른 2가지 목표 측면에서의 성과평가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n, S. I. and Gaus, G. F. (1983). Public and private in social life, London & Canberra: Croom Helm, New York St. Martin's Press, N.Y., USA, pp. 31-65. 

  2. Cho, K. S. et al. (2012). Evaluation of quasi-public bus system and its efficient management, KRITI Research Report 12-2, KRITI (in Korean). 

  3. Fielding, G. J. (1987). Managing public transit strategically: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ervice and monitoring performance, Jossey-Bass, San Francisco, CA, USA. 

  4. Haque, M. S. (2001). "The diminishing publicness of public service under the current mode of govern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American Society for Public Administration, Vol. 61, No. 1, pp. 66-82. 

  5. Im, E. Y. (2010). "Categorization of publicness." J. of Urban Management,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44, No. 2, pp. 1-21 (in Korean). 

  6. Joun, J. H. (2010). "A study on the public traffic policy in information age: Focused on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Korean Society for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8, No. 4, pp. 19-33. 

  7. Kwon, T. B. and Lee, S. I. (2006). Performance evaluation of quasi-public bus system and I's improvement plan, DGI Pesearch Report, DGI, Daegu Metropolitan City (in Korean). 

  8. Lee, B. K. (2011). "Diagnosis of quasi-publc bus system,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cus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Bus Transportation, KRITI, Winter, Vol. 32, pp. 18-32 (in Korean). 

  9. Lee, H. S. (2009). "Bus transportation business's management system and improvement plans." J. of Labor Law, Korean Society of Comparison Labor Law, Vol. 16, pp. 213-243 (in Korean). 

  10. Lee, S. C. and You, S. J. (2008). "Early performance evaluation of city bus restructuring: a daejeon case." J. of Urban Management,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1, No. 3, pp. 45-66 (in Korean). 

  11. Lee, W. and Kim, M. K. (2007). "Pros and cons of quasi-public bus system." Busan Forum, BDI, No. 107(2007 Sep/Oct), pp. 32-37 (in Korean). 

  12. Mo, C. H. et al. (2007). Assessment and imrprovement strategy for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2007-04,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in Korean). 

  13. Shin, Y. E. et al. (2013). Busan metropolitan city quasi-public bus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and strategies for its sustainability, Busan Bus Transportation Association (in Korean). 

  14. Vuchic, V. R. (2005). Urban transit: Operations, planning, and economics,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J, USA. 

  15. Yun, H. R. et al. (2011). Proposals to improve the Seoul city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2011-PR-24, Seoul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