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지역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in School Libraries of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4, 2014년, pp.21 - 44  

임성관 (휴독서치료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운영되는 방학독서교실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방학 중 독서교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100개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로부터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1)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의 여부, 2) 독서교실 운영의 목적, 3) 독서교실 참여 대상, 4) 독서교실 운영을 위해 참여하는 사람, 5) 독서교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등이다. 분석 결과,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운영하였고, 운영 목적은 학생들의 독서흥미를 고취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근거하여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termine a systematic operating method for analyzing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s in school library systems and, thereby, suggesting ways of operating a reading guidance program both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nalyses of questionnaires going ou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도서관이란? ‘학교도서관’이라 함은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고등학교 이하의 각 급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 직원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한다(도서관법 2012, 제1장 2조 6항).
인간은 독서를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라는 가벼운 개념에서부터‘필자의 기호화된 의미가 독자의 뇌에 재생되어 다시 형성되는 하나의 커뮤니케이션으로 독서자료, 독자의 지식, 경험, 그리고 독자의 생리적, 지적 활동이 상호작용하는 능동적이고 전략적인 사고과정’이라는 복잡한 개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인간은 독서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고도의 지적 능력과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독서를 함으로서 사람들은 바람직한 정서와 올바른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으며,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사회생활을 효과적으로 영위할 수 있다.
도서관의 운영 주체들이 아이들에게 학교도서관에서의 긍정적이고도 다양한 경험으로 인해 독서인으로 성장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줘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학교도서관의 운영 주체(학교장 등의 관리자, 사서(교사) 등의 운영자, 학부모 도우미 등의 조력자)들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에서의 긍정적이고도 다양한 경험을 통해, 향후 독서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학교도서관 자체가 독서교육의 동기유발 장치이며 중심이고, 독서교육은 학교도서관의 핵심과제(최영주 2010, 2)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경기도교육청. 2014. 2013년 학교도서관 통계자료. 수원: 경기도교육청.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4. 2013 School Library Statistics. Unpublished document.) 

  2. 곽선희. 2010. 초등학교 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Kwak, Seon Hee. A Research on the Reading Program of an Elementary School Librar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ngju University.) 

  3. 교육부. 2014. 2013 교육통계연보. 세종: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2014. 2013 Educational Statistics Annual Report. Sejong : Ministry of Education.) 

  4.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4. 2013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연차보고서.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2014. 2013 Annual Report. Seoul :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5.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3. 2013년 독서교실현황보고자료.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2013. 2013 Report on Vacation Reading Programs. Seoul :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6. 국립중앙도서관. 2006. 국립중앙도서관 60년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06. The 60th Histor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oul : National Library of Korea.) 

  7. 김성준. 2013.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73-97. (Kim, Sung Jun. 2013. "A Study on the Value of School Libraries in the LIS(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Field of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73-97.) 

  8. 김수경. 2007.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방안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61-93. (Kim, Soo Kyoung. 2007. "A Study on the Scheme for Operation of Reading Classroom Program in Public Libraries : A Case Study of Public Libraries in Pusan."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1): 61-93.) 

  9. 김윤주. 2011. 학교 도서관 활용을 통한 독서지도 방안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Kim, Yun Ju. 2011. A Study on the Plan of Reading Instruc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School Librar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0. 김정은. 2012. '독서교실'이 학생의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Kim, Jung Eun. 2012. An Influence of 'Reading Classroom' on Read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도유미. 2005.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학교도서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Do, Yu mi.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training program operation effecting active utilization of the school librar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2. 문화체육관광부. 2014. 2013년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2013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3. 박윤정. 2010. 방학 중 독서교실 운영실태 및 저해요인 연구 : 안양?과천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Park, Yun Jung. 2010.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Reading Class Operation during Vacation and its Restraints - Centered in Elementary School's Library of Anyang?Gwacheon Regio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unggi University.) 

  14. 법제처 [인용 2014. 12. 1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ited 2014. 12. 10].) 

  15. 서울특별시교육청. 2001. 학교도서관 길라잡이.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01. A Guide of School Library. Seoul :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6. 염보영. 2013.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통합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Yeom, Bo Young. 2013. A Study on the Project-Based Integrated Reading Program in a School Librar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17. 윤은혜. 2009. 독서실태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Yoon, Eun Hye. 2009. A Study on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Reading at School Library through Analyzing the Present Aspect of Reading Conditio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18. 임성관. 2003.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계획 및 효과 분석 연구 : 2002학년도 고천초등학교 사그내도서실의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독서문화연구, 2: 81-96. (Lim, Seong Gwan. 2003. "A Study on the Reading Classroom Program of Activation and Effect Analysis in Vacation : Concerning the Reading Classroom Program of Go-Cheon Elementary School's Library of Sagnae in 2002." Reading Culture Research Institute Journal, 2: 81-96.) 

  19. 정진수. 2014. 애독 장려를 위한 공공도서관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4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195-214. (Chung, Jin Soo. 2014. "Children's Love of Reading through Vacation Reading Program in Public Library: Focusing on Four Public Librari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1): 195-214.) 

  20. 최영주. 2010. 교과과정과 연계한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Choi, Young Ju.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in School Library connected with Curricula.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21. 한국독서학회. 2003. 21세기 사회와 독서지도. 서울: 박이정. (Korea Reading Association. 2003. Reading Guidance in 21th Century. Seoul : Pagijong.) 

  22. 황금숙. 2001.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2): 75-92. (Hoang, Gum Sook. 2001. "A Study on Developing Model for Reading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2): 75-92.) 

  23. IFLA/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