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안전교육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능성게임 적용에 대한 연구
Application of Serious Games for Effective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1, 2014년, pp.20 - 27  

손정욱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신승우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준성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과적인 건설안전교육을 위해서는 기존의 문서와 시청각자료에 의존한 이론적인 수업방법에서 벗어나, 체험위주의 교육과 실무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3D엔진을 사용하여 건설현장 및 학교에서 안전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게임을 개발하였다. 학습자는 게임 내에서 가상공간 내의 건설현장을 돌아다니며 잠재적인 안전재해 발생요인을 발견하는 안전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안전에 관련된 지식을 학습자 스스로 익히게 된다. 또한 게임과정에서 학습과정을 돕기 위해 피드백이 제공되며, 획득한 포인트를 바탕으로 성과를 평가하게 된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 기능성 게임을 통한 안전교육은 설계과정에서 계획된 효과들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has mostly relied on one-way transference of instructors' knowledge to trainees through traditional media such as textbooks and lecture slides. However, safety knowledge could be more effectively acquired in experiential situations. The authors proposed a serious game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된 안전교육용 기능성게임의 기능성 및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를 실시했다. 건설관리와 건축공학 전공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게임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상현실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3D엔진을 사용하여 건설현장 및 학교에서 안전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게임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하여 건설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안전교육과 교육용 기능성게임에 대해서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설안전교육용 기능성게임의 목적은 기존의 교육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문서와 시청각을 이용한 건설안전교육에서 벗어나 현실과 유사한 가상현실환경 속에서 학습자 스스로 수행하는 능동적인 학습과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학습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의 노력과 더불어 안전교육을 통한 작업자의 의식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기술을 사용하여 건설현장 및 학교에서 안전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게임을 개발하였다. 이어진 검증과정에서 응답자들은 게임의 기술적인 측면, 학습적인 측면, 평가도구로서의 모든 측면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 본 연구는 가상현실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3D엔진을 사용하여 건설현장 및 학교에서 안전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게임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하여 건설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안전교육과 교육용 기능성게임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게임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요소와 제한사항을 파악하고, 기능성게임의 구성요소를 설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자수는 몇 명인가? 건설안전재해는 전체 산업재해 중 큰 비중을 차지하며, 경제적·사회적 피해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안전관리공단에서 발표한 2011년 산업별 사망재해 통계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자수는 93.292명이었으며, 직간접적 경제적 손실추정액은 18조에 이른다. 이 중에 건설업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자수는 전체의 24.
건설현장에서 실시되는 안전교육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건설현장에서 실시되는 안전교육은 다양한 직종의 작업자를 동시에 소집하여 진행되는 강의위주로 진행되어 작업자의 관심을 유발하지 못하고 형식적인 교육에 그쳐 재해예방에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정성훈 외 2011). 최근 IT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건설안전관리기술 및 교육방법이 개발되었다.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는가?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교육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바에 따라 신규채용시교육, 작업내용변경시교육, 특별안전교육, 근로자정기교육, 관리감독자정기교육과 직무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건설기업들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작한 교육자료를 바탕으로 제작한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발생빈도가 높은 재해유형별로 실제사례를 사진과 그림 등을 통하여 이해를 도모하며, 사례를 바탕으로 재해개요와 원인을 작업자에게 인지시키고 대책에 대하여 교육하는 방법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박태환 외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bt, C. C. (1970). Serious games, Viking Press. 

  2. Ahn, T., Park, N., Seo, H., Kim, H., Lee, Y., and Kang, I. (2010). "Alysis research on the safety educational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s." Proc.,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pp. 2032-2035. 

  3. Geon, S., and Ok, J. (2009). "Research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construction site for the basis of augmented reality" Proc.,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Conference, KICEM, pp. 726-729. 

  4. Hong, S., Bae, K., and Ahn, Y. (2005). "A survey of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about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7(1), pp. 75-83. 

  5. Jaafari, A., Manivong, K. K., and Chaaya, M. (2001). "Vircon: Interactive system for teaching construction managemen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7(1), pp. 66-75. 

  6. Jung, S., Kim, T., Joo, Y., Lee, Y., and Kang, K. (2011).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scheme for construction work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13(2), pp. 9-18. 

  7. Kim, E. (2012).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system fits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worker."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3), pp. 287-294. 

  8. Kim, M. (2003). "The improvement plan of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for accident prevention in construction site." Master Thesis, DongGuk University. 

  9. KOSHA (2011). "Industry accident anlysis."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10. Ku, K., and Gaikwat, Y. (2009). "Construction education in second life." Proc.,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ASCE, pp. 1378-1387. 

  11. Kwon, I. (2012). "A study of development contents for the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by kiosk system." Master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12. L&I (2011). "Safety standards for construction work ",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Labor and Industries. 

  13. Martin, A. (2000). "A simulation engine for custom project management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8(3), pp. 201-213. 

  14. Muir, M. (2007). "Research summary: Technology and pedagogy." National Middle School Association. 

  15. Nassar, K. (2002). "Simulation gaming in construction: Er, the equipment replacement game." Construction Education, 7(1), pp. 16-30. 

  16. Park, M., Kim, E., Lee, H., Lee, K., and Suh, S. (2013). "Real time safety management framework at construction site based on smart mobil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4), pp. 3-14. 

  17. Park, T., Park, Y., and Kim, T. (2013). "An analyzing safety education contents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Proc.,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pp. 197-198. 

  18. Sherif, A., and Mekkawi, H. (2010). "Excavation game: Computer-aided-learning tool for teaching construction engineering decision making."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36(4), pp. 188-1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