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농협조직을 중심으로
The Impacts of Job Competency,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Performance: Focused on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 2014년, pp.193 - 207  

황재원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학과) ,  박경미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를 제시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무역량과 셀프리더십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직문화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셀프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상호작용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직무역량과 셀프리더십, 직무역량과 조직문화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세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개별적인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논의의 타당성을 재검토하는 한편,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제까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던 논의들 간의 통합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s job competency,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as the determinants of job performance and examine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nd among determinant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job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affect job performance respectively in positiv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각의 변수들은 여러 요인들을 단순히 함께 나열한 것에 그치지 않고, 능력⋅역량(직무역량), 의지⋅태도(셀프리더십), 업무수행환경(조직문화)이라는 다양한 각도에서 직무성과의 결정요인을 조망하려는 목적에서 제시되었다.
  • 본 논문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를 제시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지역농협을 대상으로 지역농협 직원의 능력⋅역량을 반영하는 요인으로 직무역량을 제시하고, 의지⋅태도를 반영하는 요인으로 셀프리더십을 제시하는 한편, 업무수행환경을 반영하는 요인으로 조직문화를 제시하였다.
  •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논문에서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결정요인들을 제시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논의의 통합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를 직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로 고려하고 있다. 각각의 변수들은 여러 요인들을 단순히 함께 나열한 것에 그치지 않고, 능력⋅역량(직무역량), 의지⋅태도(셀프리더십), 업무수행환경(조직문화)이라는 다양한 각도에서 직무성과의 결정요인을 조망하려는 목적에서 제시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농협 직원들의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그리고 조직문화가 직원들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 간의 적합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적합성(fit)’에 대한 논의는 주로 전략경영이나 거시조직 분야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데[48,49], 조직구조, 의사결 정과정 등 조직 내부의 구성요인들 간의 조화나 결합효 과를 강조한다.
  • 하지만 관련 연구들은 셀프리더십이나 조직문화와 같은 제한된 요인만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이제까지 직무성과에 관한 통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논문에서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결정요인들을 제시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논의의 통합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를 직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로 고려하고 있다.
  • 특히 본 논문은 이들 변수들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개별적인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논의의 타당성을재검토하는 한편,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제까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던 논의들 간의 통합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가설 설정

  • H 7. 높은 직무역량, 강한 셀프리더십, 강한 조직문화의 결합은 직무성과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하지만 직무역량이 높으면서 높은 수준의 셀프 리더십을 가진다면 자율성과 책임감을 가지고 직무역량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업무수행과정에 투입하려고 할 것이므로 직무성과는 보다 급격하게 향상될 것이다. 또한 직무역량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셀프리더십의 수 준이 높은 경우보다는 직무역량이 뒷받침된 상태에서 셀프리더십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 직무성과는 보다 높아질 것이다.
  • H 2. 셀프리더십이 강할수록 직무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 또한 구성원들은 조직의 목적과 목표를 보다 잘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된다[55].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할 것이므로 조직 문화가 강할수록 직무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 H 1. 직무역량이 높을수록 직무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cClelland이 정의한 직무역량이란 무엇인가? 직무역량은 직무능력, 직무수행능력 등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며, 직무역량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McClelland[9]는 “현장에서 우수한 직무성과를 예측하게 하는 개인의 내재적 특성”으로 정의하였으며, Klemp[10]는 “어떤 개인이 어떤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내재적 특성”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McLagan[11]은 “직무나 역할수행에서 뛰어난 수행자와 관련된 개인의 능력특성”으로, Fletcher[12]는 “규정된 기준에 따라 직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직무역량을 다르게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직무역량은 직무능력, 직무수행능력 등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며, 직무역량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McClelland[9]는 “현장에서 우수한 직무성과를 예측하게 하는 개인의 내재적 특성”으로 정의하였으며, Klemp[10]는 “어떤 개인이 어떤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내재적 특성”으로 정의하였다.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를 제시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실증분석 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를 제시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무역량과 셀프리더십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직문화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셀프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상호작용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직무역량과 셀프리더십, 직무역량과 조직문화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세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직무역량, 셀프리더십, 조직문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개별적인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논의의 타당성을 재검토하는 한편,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제까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던 논의들 간의 통합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Wernerfelt, B., "A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5, pp. 171-180, 1984. 

  2. Hamel, G. and C. K. Prahalad. "Strategy as stretch and leverage," Harvard Business Review, Mar-Apr, pp. 75-84, 1993. 

  3. K. H. Kwon, "Strategic Implications of Management Innovation and Human Resources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Management and Humans, Se Kyung Publishing Company, Seoul, KR, pp.337-386, 1995. 

  4. J. W. Hwang,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in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9(3), pp. 51-66, 2011. 

  5. K. M. Park,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ricultural Cooperativ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Cooperative Studies, 30(1), pp. 1-27, 2012. 

  6. E. J. Kim and J. K. Le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17(1), pp. 81-101, 2010. 

  7. S. K. Lee, D. J. Lee, S. R. Lee and J. K. Jung,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D Organizational Cultur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7(4), pp. 101-115, 2009. 

  8. Y. J. Kim, H. J. Ju, K. K. Park and S. H. Park, "A Study on the Component Factors of Innovation Brand to build Organizational Culture of Government Ministri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6(4), pp. 25-34, 2008. 

  9. McClelland, D. D., "Testing for Competency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pp. 1-14, 1973. 

  10. Klemp, G. O.,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Washington, DC.: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1980. 

  11. McLagan, P. A., "The ASTD Training and Development Competency Study: A Model Building Challenge,"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May, 1982. 

  12. Fletcher, S., "NVQs, Standards and Competence: A Practical Guide for Employers," Management and Trainers, London: Kogan Page, 1991. 

  13. Boyatzis, A. R., The Competence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 Wiley, 1982. 

  14. Spencer, L. and Spencer, S.,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1993. 

  15. Parry, S. R., "The Quest for Competencies," Training, 33(7), pp. 48-56, 1996. 

  16. Coward, W. M. and P. R. Sackett, "Performance -standards; Ability; Correlation-statistics; Psychology-Methodology-Statistical-method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 pp. 297-300, 1990. 

  17. Hunter, J. E., "Cognitive Ability, Cognitive Aptitudes, Job Knowledge,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December, pp. 340-362, 1986. 

  18. Hunter, J. E., and Hunter, R. F., "Validity and Utility of Alternative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Psychological Bulletin, January, pp. 72-98, 1984. 

  19. Ree, M. J., T. R. Carretta, and J. R. Steindl, "Cognitive Ability," in N. Andeson, D. S. Ones, H. K. Sinangil, and C. Viewesvaran, eds., Handbook of Industrial, Work & Organizational Psychology, 1, pp. 219-232, 2001. 

  20. Ree, M. J., J. A. Earles, and M. S. Teachout, "Predicting Job Performance: Not Much More Tha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August, pp. 518-524, 1994. 

  21. Schimidt, F. L. and J. E. Hunter, "The Validity and Utility of Selection Methods in Personnel Psychology," in N. Andeson, D. S. Ones, H. K. Sinangil, and C. Viewesvaran, eds., Handbook of Industrial, Work & Organizational Psychology, 1, 2001. 

  22. Collins, M., "A Critical Analysis of Competency-based Systems in Adult Education," Adult Education Quarterly, 33(3), pp. 174-183, 1983. 

  23. Norris, N., "The Trouble with Competence,"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1(3), pp. 331-341, 1991. 

  24. Holmes, L., "HRM and the Irresistable Rise of the Discourse of Competence," Personnel Review, 24(4), pp. 34-49, 1995. 

  25. Manz, C. C.,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pp. 585-600, 1986. 

  26. Neck, C. P. and J. D. Houghton,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pp. 270-295, 2006. 

  27. Manz, C. C., Self-leadership: The heart of empowerment, Journal for Quality and Participation, July-August, 1992. 

  28. Neck, C. P., Stewart, G. W. and C. C. Manz,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appraise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1(3), pp. 278-302, 1995. 

  29. Manz, C. C. and H. P. Sims, "Leading Workers to Lead Themselves: The external leadership of self-managing work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2(1), pp. 106-129, 1987. 

  30. Neck, C. P. and C. C. Manz, "Thought self-leadership: 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training on employee cognition, behavior, and affe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7(5), pp. 445-467, 1996. 

  31. Houghton, J. D. and S. K. Yoho, "Toward a contingency model of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hen should self-leadership be encouraged?," Journal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udies, 11(4), pp. 65-84, 2005. 

  32. H. S. Lee and M. E. Kwon, "Effe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rated by Self-leadership,"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9(2), pp.1-18, 2007. 

  33. Ouchi, W. G., Theory Z,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1. 

  34. Deal, T. E. and A. A. Kennedy, Corporate Culture: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M.A.: Addison-Wesley, 1982. 

  35. Hofstede, G., Culture's Consequence: International Difference in Work 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4. 

  36. Shein, E. H.,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92. 

  37. Trice, H. M. and J. M. Beyer, The Culture of Work Organizations, Ea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93. 

  38. S. B. Ho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Revenue Officer 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11(7), pp. 366-373, 2011. 

  39. M. H. Cho, H. S. Paik and S. A. Lee, "The Effect of Hotel Organizational Culture on Communication and Job Performance,"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of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pp. 311-323, 2011. 

  40. Calorie, R. and P. Sarnin, "Corporate culture and economic performance: A French Study," Organizational Studies, 12(1), pp. 49-74, 1991. 

  41. Gordon, G. G. and N. DiTomaso,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from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November, pp. 793-798, 1992. 

  42. O'Reilly, C. A. and D. F. Caldwell, "The Impact of Normative Social Influence and Cohesiveness on task Perception and Attitudes: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8, pp. 193-206, 1985. 

  43. Posner, M. I., R. D. Rafal, L. S. Choate, and J. Vaughan, "Inhibition of Return: Neural Basis and Function," Cognitive Neuropsychology, 2, pp. 211- 228, 1985. 

  44. Yeung, A., K. O., Brockbank, J. W. and Ulrich, D. O., "Organizational Culture and Human Resource Practice: An Empirical Assessment," Research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5, pp. 59-81, 1991. 

  45. Denison, D. R. (1997), Corporate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n Arbor, MI: Aviat Inc, 1997. 

  46. Kotter, J. P. and J. L. Heskett, J. L., Corporate Culture and Performance, Free Press, New York, 1992. 

  47. Saffold, G. S., "Culture Traits, Strength,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ving Beyond Strong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4), pp. 546-58, 1988. 

  48. Lawrence, P. N. and J. Lorsch,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Managing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49. Miller, D., "Environmental Fit versus Internal Fit," Organization Science, 3(2), pp. 159-178, 1992. 

  50. Govindarajan, V. and J. Fisher, "Strategy, Control Systems, and Resource Sharing: Effects on Business-Unit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2), pp. 259-285, 1990. 

  51. S. D. Lee and B. G. Park,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on Empowerment and Job Performance of Hotel Employee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4(6), pp. 313-332, 2010. 

  52. Galbraith, J., Designing Complex Organizations,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3. 

  53. Hackman, J. R., and G. R. Oldham, Work Redesign, Reading, MA: Addison-Wesley, 1980. 

  54. Wiener, Y., "Forms of Value Systems: A Focu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ltural Change and Mainten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534-545, 1988. 

  55. Mallak, L., "Understanding and Changing Your Organization's Culture," Industrial Management, 43(2), pp. 18-25, 2001. 

  56. S. K. Le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Hotel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2005. 

  57. Martin, G. and H. Staines, "Managerial competencies in small firms," Journal of Management Development, 13(7), pp. 23-34, 1993. 

  58. S. K. Lee, Y. H. Kim, and U. H. Lee,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32(3), pp. 20-28, 2009. 

  59. Pascale, R., and A. Athos, The Art of Japanese Management, London: Penguin Books, 1981. 

  60. Inkson, J. H. K., The Work Values of New Zealand Male Manual Workers: A Research Note, New Zealand Psychologist, 7(46), 1978. 

  61. S. H. Le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ion on Group Cohesiveness and Job Performance in the Hotel Industry,"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2(2), pp. 105-124, 2007. 

  62. Southwood, K. E., "Substantive Theory and Statistical Interaction: Five Model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3, pp. 1154-1203, 1978. 

  63. Schoonhoven, C. B., "Problems with Contingency Theory: Testing Assumptions Hidden within the Language of Contingency Theor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 pp. 349-377, 1981. 

  64. James, L. R. and J. M. Brett, "Mediators, Moderators, and Tests for Medi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pp. 307-321, 1984. 

  65. Dewar, R. and J. Werbal, "Universalistic and Contingency Predictions of Employee Satisfaction and Confli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 pp. 426-448, 1979. 

  66. Drazin, R. and A. H. Van de Ven, "Alternative Form of Fit in Contingency Theor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0, pp. 514-539, 1985. 

  67. Allison, P. D., "Testing for Interaction in Multiple Regress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3, pp. 144-153, 1977. 

  68. Arnold, H., "Moderator Variables: A Classification on Conceptual, Analytic and Psychometric Issu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4, pp. 41-59, 1982. 

  69. Avolio, B. J., F. J. Yammarino, and B. M. Bass, "Identifying common methods variance with data collected from a single source: an unresolved sticky issue," Journal of Management, 17(3), pp.571-587, 1991. 

  70. Podsakoff, P. M., S. B. Mackenzie, and J.-Y. Lee,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pp.879-903,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