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와 농촌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by Region : Focus on Urban and Rural Area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 2014년, pp.501 - 510  

양순옥 (한림대학교) ,  조해련 (이화여자대학교) ,  이승희 (울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시와 농촌의 지역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조사 대상은 902명(도시: 571명, 농촌: 331명)의 노인으로 구성하였다. 2011년 7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도시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농촌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도시와 농촌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도시의 경우는 우울,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 만성질환 수, 흡연이 영향요인이었고, 농촌의 경우는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 교육수준이 영향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도시와 농촌 모두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주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농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러한 지역별 차이를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rban-rural differences on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of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Methods: The subjects were 902 older adults (571 from urban areas, 331 from rural area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의 경로당 이용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도·농간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경로당 노인건강증진사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시와 농촌의 지역별로 비교분석하여 경로당 이용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시와 농촌의 지역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학적 중재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경로당 이용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경로당 이용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증가 추세는 어떠한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2년 현재 전체 인구의 11.8%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18년에는 14.3%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이에 함께 지역사회 노인인구의 여가시설인 경로당 수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1975년 3,872개소였던 경로당이 1983년 8,946개, 1992년 20,068개, 2000년 36,452개로 증가하였다.
도시와 농촌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도시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농촌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도시와 농촌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도시의 경우는 우울,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 만성질환 수, 흡연이 영향요인이었고, 농촌의 경우는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 교육수준이 영향요인이었다. 도시와 농촌 모두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수가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주 영향요인이었다.
2012년 기준 경로당의 이용자는 몇명인가? 이에 함께 지역사회 노인인구의 여가시설인 경로당 수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1975년 3,872개소였던 경로당이 1983년 8,946개, 1992년 20,068개, 2000년 36,452개로 증가하였다. 2012년 현재 전국 64,077개의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경로당은 62,442개로 97%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약 260만명으로 전체 노인인구의 약 47.6%가 이용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60368, 2013.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current status of elderly welfare centers.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 idx_cd2766 2012 

  3. Y. H. Oh, K. H. Jung, & Y. K. Lee,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future aspects of the senior citizen halls.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4. 

  4. D. J. Kim, Th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users of community senior center.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 pp. 57-69, 2008. 

  5. E. J. Choi, M. K. Seo, D. Sunwoo, & J. M. Noh, Study on developing delderly health promotion model through utilizing senior welfare associated faciliti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6. M. Y. Im, & Y. H. Mun, The effectivenes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7, No. 2, pp. 384-398, 2013. 

  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Report for visiting health services in 2008.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Press, 2010. 

  8. M. O. Gu, Y. Eun, E. S. Kim, H. R. Qhn, I. S. Kwon, H. S. Oh, Y. S. Kang, M. S. Jung, S. Y. Choi, K. M. Sung, & H. Y. Kang, Effects of an elder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the strategy of elder health leader training in senior citizen h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2, No. 1, pp. 125-135, 2012. 

  9. K. R. Shin, Y. S. Byeon, Y. H. Kang, & J. W. Oak,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3, pp. 437-444, 2008. 

  10. B. J. DeLateur, The 29th Walter J. Zeiter Lecture. Quality of life: A patient-centered outcom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8, pp. 237-239, 1997. 

  11. Y. S. Kim, H. Y. Jun, C. H. Kim, & S. H. Hwang, Comparison on th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low-incom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Vol. 19, pp. 42-50, 2012. 

  12. S. H. Sok, & K. B. Kim,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between urban and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17, No. 3, pp. 311-321, 2008. 

  13. C. M. Cho,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7, No. 2, pp. 372-383, 2013. 

  14. Y. H. Jeong, A report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82, pp. 6-14, 2011. 

  15. S. Y. Kim, & S. Y. Sohn,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4, pp. 91-98, 2012. 

  16. H. Y. So, H. L. Kim, & K. O. Ju, Prediction model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based on ICF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4, pp. 481-490, 2011. 

  17. J. I. Kim,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 99-109, 2013. 

  18. F. Faul, E. Erdfelder, A. Lang, &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Vol. 39, No. 2, pp. 175-191, 2007. 

  19. J. I. Sheikh, & J. A. Yesavag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T. L. Brink (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The Harwoth Press, 1986. 

  20.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5, pp. 298-307, 1996. 

  21. R. Rabin, & F. de Charro, EQ-5D: A measure of health status from the EuroQol Group. Annals Medicine, Vol. 33, pp. 337-343, 2001. 

  22. E. J. Kang, H. S. Shin, H. J. Park, M. O. Cho, S. H. Kim, & N. H. Kim, Valuing health states using EQ-5D, 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23. H. S. Nam,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7. 

  24. S. Y. Sohn,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its' affecting factor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6, No. 3, pp. 601-615, 2006. 

  25. J. A. Lee, & Y. N. Lee, Comparison of healthy life style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15, pp. 100-108, 2012. 

  26. H. J. Jun, & I. H. Park, A study on of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concer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in senior centers. Chu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 13, No. 1, pp. 23-36, 2008. 

  27. Ministry of Health,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012. 

  28. M. G. Carta, E. Aguglia, F. Caraci, L. Dell'Osso, G. Di Sciascio, F. Drago, E. Del Giudice, C. Faravelli, M. C. Hardoy, M. E. Lecca, M. F. Moro, S. Calo, M. Casacchia, M. Angermeyer, & M. Balestrieri, Quality of life and urban / rural living: Preliminary results of a community survey in Italy. Clinical Practice and Epidemiology in Mental Health, Vol. 8, pp. 169-174, 2012. 

  29. T. Y. Lee, & J. K. Kim,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related with the level of activity and the grade of activity in the elderly residing among city, farmimg and fishing area.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0, No. 2, pp. 402-411, 2010. 

  30. N. Liu, L. Zeng, Z. Li, J. Wa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long-term care needs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A cross-sectional study in rural areas of Shaanxi Province, China. BMC Public Health, Vol. 13, pp. 313. doi: 10.1186/1471-2458-13-31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