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dustrial Technology R&D Investment on Employment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7 no.4, 2014년, pp.651 - 672  

김호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  어승섭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  전영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정책기획팀)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는 고용률 저조로 인한 저성장세의 고착화가 우려됨에 따라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R&D 활동을 통한 신규 고용창출을 중요한 국정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되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1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정부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고용창출효과는 직접고용효과와 고용유발효과로 분해된다. 산업기술 분야를 대분류 기준 총 7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산업기술 R&D 투자액 10억원당 고용창출효과는 8-12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식서비스 기술분야의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전기 전자 기술분야는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용창출 우위기술에 속하는 바이오 의료 기술분야와 직접고용 우위기술에 속하는 지식서비스, 화학,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단기적으로 고용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고용유발 우위기술에 속하는 정보통신, 기계 소재 기술분야는 산업간 파급효과를 통한 중장기적 고용창출 효과가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이전, 개방형 혁신 등을 통해 기술 확산에 주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는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 the diagnosis of low employment rate and low growth, the government regards the creation of new jobs through the creative and innovative R&D as an important national plans.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of R&D invest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by using inpu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D 투자사업 및 공공투자 사업에 대한 고용창출효과 추정 연구는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수행되었다. 국내외 연구사례 분석을 통해 사례별 고용창출 효과를 진단하고 각각의 추정 방법론을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에 적용가능한 방법론에 대해서 고민해보고자 한다. 먼저 국내에서 선행되었던 연구개발 및 공공투자 사업의 고용창출효과 연구사례를 몇 가지 살펴보면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또한,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표와 산업기술분류표를 이용하여 산업과 R&D 기술간의 엄밀한 매칭을 통해 단순 해당산업에 대한 투자가 아닌 R&D 기술분야 투자에 따른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전체 고용창출효과의 직접고용효과와 고용유발효과를 기준으로 R&D 산업기술을 크게 4개의 분야로 구분하고자 한다.
  • 그리고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의 경우 기본분야 403부문, 통합소분류 168부문, 통합중분류 78부문, 통합대분류 28부문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이 공표하고 있는 고용표가 통합 소분류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산업기술분류표 중분류와 매칭시켜 분석한다. 본 논문은 합리적인 산업기술분류와 산업연관표간의 매칭을 위해 기존 유사 사례를 검토하고 각계 전문가의 자문을 거쳤다.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이 공표하고 있는 고용표가 통합 소분류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산업기술분류표 중분류와 매칭시켜 분석한다. 본 논문은 합리적인 산업기술분류와 산업연관표간의 매칭을 위해 기존 유사 사례를 검토하고 각계 전문가의 자문을 거쳤다. 기술 정책 및 고용 정책 전문가 자문, 기술 분야별 전문가 자문 등 2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한 검토와 연구진 논의결과를 토대로 최종 매칭안을 작성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R&D 사업의 고용창출효과를 엄밀하게 추정해보고자 한다.
  • 후술하겠지만 본 논문은 타 연구사례와 달리 단순 산업에 대한 투자가 아닌 R&D 기술분야 투자에 따른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D 활동을 통한 신규 고용창출을 국정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는 이유는? 최근 정부는 고용률 저조로 인한 저성장세의 고착화가 우려됨에 따라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R&D 활동을 통한 신규 고용창출을 중요한 국정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되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1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정부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고용창출효과는 어떻게 분해되는가?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되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1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정부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고용창출효과는 직접고용효과와 고용유발효과로 분해된다. 산업기술 분야를 대분류 기준 총 7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산업기술 R&D 투자액 10억원당 고용창출효과는 8-12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기술 분야에서 지식서비스 기술분야와 전기 전자 기술분야의 차이점은? 산업기술 분야를 대분류 기준 총 7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산업기술 R&D 투자액 10억원당 고용창출효과는 8-12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식서비스 기술분야의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전기 전자 기술분야는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용창출 우위기술에 속하는 바이오 의료 기술분야와 직접고용 우위기술에 속하는 지식서비스, 화학,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단기적으로 고용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고용정보원 (2012a), 관광이 지역경제적으로 고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서울: 고용노동부. 

  2. 고용정보원 (2012b),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사업의 고용창출효과 분석, 서울: 고용노동부. 

  3. 고용정보원 (2012c), 방송영상콘텐츠사업 육성정책 고용영향평가 연구, 서울: 고용노동부. 

  4. 고용정보원 (2012d), 복지서비스 확대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서울: 고용노동부. 

  5. 고용정보원 (2012e),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고용영향평가 연구, 서울: 고용노동부. 

  6. 고용정보원 (2012f), 외식산업 육성 정책의 고용영향평가, 서울: 고용노동부. 

  7. 고용정보원 (2012g), 전통발효식품산업 지원 정책의 고용영향평가, 서울: 고용노동부. 

  8. 관계부처합동 (2013), 고용률 70% 로드맵, 서울: 관계부처합동 

  9.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R&D 일자리 창출 성과 측정모형 연구,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0. 산업통상자원부 (2012), 산업기술분류표, 세종: 산업통상자원부. 

  11. 오인하 (2011), "부품소재산업 정부지원의 고용효과에 관한 분석", 생산성논집, 25(3): 199-229. 

  12. 하준경 (2012), 기업 R&D의 일자리 창출 효과 분석, 서울: 전국경제인연합회. 

  13. 한국은행 (2013), 산업연관표(2011 연장표), 서울: 한국은행. 

  14. 현대경제연구원 (2013), 현안과 과제: 주요 선진국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고용 현황과 시사점, 13-38,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15. (주)LG경영개발원 (2013),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미래 산업 비전.전략 2020,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6. Francesco, B., Mariacristina, P. and Macro, V.i (2012), "R&D and Employment: An Application of the LSDVC Estimator Using European Microdata", Economics Letters, 116(1): 56-59. 

  17. Ghosh, A. (1958),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 58-64. 

  18. Heo, J. Y., Yoo, S. H. and Kwak, S. J. (2010), "The Role of the Oil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Sources, Part B: Economics, Planning, and Policy, 5: 327-336. 

  19. Miller, R. E. and Blair, P. D. (1985),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New Jersey: Prentice-Hall. 

  20. Miller, R. E., Polenske, K. R. and Rose, A. Z. (1989), Frontiers of Input-output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1. Oosterhaven, J. (1996), "Leontief versus Ghoshian Price and Quantity Model", Southern Economic Journal, 62: 750-759. 

  22. Timothy, C. S. (2000), "Structural Unemployment and Technological Change in Canada, 1990-1999", Canadian Public Policy - Analyse de Politiques, 36: 109-123. 

  23. Sven, W. (2011), "Production and Employment Impacts of Biotechnology-Input-output Analysis for Germany",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8(7): 1200-1209. 

  24. Lei, Y., Cui, N. and Donyan, P. (2013), "Economic and Social Effects Analysis of Mineral Development in China and Policy Implications", Resources Policy, 38: 448-457. 

  25. Yoo, S. -H. and Yoo, T. -H. (2009), "The Role of the Nuclear Power Generation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Progress in Nuclear Energy, 51: 86-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