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혁신의 원천에 따른 고용효과에 관한 연구
Does the Inward Technology Drive Job Growth?: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Sources on the Employment of Firms in Korea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1 no.2, 2018년, pp.767 - 787  

서일원 (The Bartlett School of Planning, University College Lond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술혁신의 일자리 창출효과에 관해 산업조직론적인 관점에서 내/외부 기술소스가 고용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간 과학기술 사업화정책은 공공부문이 생산한 기술을 기업이 흡습하여 기술력이 향상되면 부가가치가 창출되어 결과적으로 고용으로 이어진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으나, 실증적인 검증과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이에,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들의 재무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공기술의 이전여부에 따라 기업의 고용지표를 비교하고 인과관계에 관해 분석한다. 성향점수기법을 활용하여 외부기술을 도입한 그룹과 자체 연구개발을 추진한 기업을 비교한 결과, 연구개발 전담인력과 기업 전체 고용인원 면에서 외부기술 도입그룹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분석파트에서 매개효과 모형을 이용해 연구개발 투자가 고용효과로 전환되는 인과적 영향을 파악한 결과, 외부기술 도입그룹의 전환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외부로부터 기술을 도입한 기업들은 기술을 내재화하는 과정, 후속개발 등에 추가적인 자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고용효과 측면에서 볼 때, 이 결과는 기업이 외부로부터 기술을 도입하면 자체적인 투입요인(연구인력, 총 고용)을 줄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달리, 분석대상 기업들은 둘 사이의 관계를 보완적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chnology-driven innovation and job-creation has each been the subject of much scholarly attention, but have largely been considered separately rather than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While the previous literature on economics pinpointed the macro effects on industry-level, this study explor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업의 혁신활동과 관련한 기존의 통계들에 비해 본 연구에서 구축한 데이터는 기업회계기준에 입각한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기업경영활동에 대한 객관성과 일관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그간 혁신활동에 관한 데이터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다. 그동안 기업의 혁신활동 분석은대표적으로 오슬로 메뉴얼을 기반으로 한 한국기업혁신조사, 중소기업청에서 발간하는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를 활용했다(문성배 외, 2006; 박성근・김병근, 2011).
  • 이를 위해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최소 기업부설을 보유한)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활동과 고용현황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에 대한 공공기술의 투입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정량적 평가점수에 의한 상호비교방식으로 분석한다. 또한, 기술의 사업화 프로세스별 차이가 고용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기업성장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공공기술 활용기업의 특징이 고용에 미친 영향에대해 살펴본다.
  • 본 연구는 기술혁신과 고용사이의 다면적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술혁 신의 소스가 기업 수준의 고용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하였다. 첫째로, 외부 요인들을통제한 뒤 외부기술의 활용여부를 기준으로 성향점수를 측정하였다.
  • 이에 반해, 슘페터를 중심으로한 산업조직론적인 관점에서는 동일 산업 내에 속한 기업들이라도 혁신의 속도는 다르고, 혁신으로 야기되는 기업들간 생산성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혁신적 파괴가 내생적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문성배 외, 2006; 하태정・문선웅, 2013). 본 연구는 산업조직론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연구활동 성과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피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의 동력이 되는 연구개발 활동의 내/외부 기술의 출처에 따라 외부유입기술과 자체개발 기술로 구분하여 각 유형에 따른 기술소스와 연구개발 활동 간의 조합이 기업의 고용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한다(Teece, 2006; Teirlinck et al., 2010; Teirlinck and Poelmans, 2012; 박정수・최은영, 2015). 이를 위해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최소 기업부설을 보유한)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활동과 고용현황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에 대한 공공기술의 투입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정량적 평가점수에 의한 상호비교방식으로 분석한다.
  • 따라서 기술의 도입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타 변수들에 비해 강력하지 않다는 가설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의 출처에따라 기업의 내재화 과정에서 고용효과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두 번째 가설은 성향분석 결과 도출된 비교가능집단을 대상으로 각각 연구역량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효과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각 지식 소스별로 연구혁신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때 가정은 연구역량은 기업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연구활동은 이 과정을매개(Mediate)한다는 점이다. 연구모형에서 논의대상으로 삼고 있는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기업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기술력확보를 위한 조직(연구전담조직 및 인력)을 유지하고 투자(연구비 투입)함으로써 기술혁신역량을 유지 및 제고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술 변화에 따른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어떻게 이동하였는가? 예를 들어, 최근 적층제조기술(3D 프린팅)의 혁신적인 발전은 제조 단계의 절삭/연삭 공정의 원가를 영(0)에 수렴하도록 하였고, 맞춤형 생산기술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종제품 생산에 따른 공정전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가치사슬 자체를 변화시켰다. 이에 따라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생산자 중심에서 고객중심으로, 디자인/서비스업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생산설비도 저개발 국가로 이전되는(Off-shoring) 양상으로 이어졌다(Yayboke and Rice, 2017).
요소기술의 발전이 생산함수 자체를 변화시킨 예는 무엇인가? 공급함수의 관점에서 본다면 로보틱스, 유전자공학, 인공지능, IoT센서,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과 같은 요소기술들의 발전은 기존 산업들의 요소가격뿐만 아니라 생산함수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Koellinger, 2008). 예를 들어, 최근 적층제조기술(3D 프린팅)의 혁신적인 발전은 제조 단계의 절삭/연삭 공정의 원가를 영(0)에 수렴하도록 하였고, 맞춤형 생산기술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종제품 생산에 따른 공정전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가치사슬 자체를 변화시켰다. 이에 따라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생산자 중심에서 고객중심으로, 디자인/서비스업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생산설비도 저개발 국가로 이전되는(Off-shoring) 양상으로 이어졌다(Yayboke and Rice, 2017).
역사적으로 기술의 급격한 변화가 촉발한 노동환경의 변화가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2012). 역사적으로 기술의 급격한 변화가 촉발한 노동환경의 변화는 급격한 일자리의 축소와 확대를 가져왔고 1, 2, 3차 산업혁명을 거치며반복되는 패턴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노동인력은 자본력으로 대체되었으며 저숙련 노동자들의 일자리 상실에 대한 우려는 영국의 러다이트 운동과 같은 조직적 반발로 이어졌다(조승모, 2016; 하태정・문선웅,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규호 (2006), "기술혁신과 고용창출", 경제분석, 12(1): 53-75. 

  2. 김상호.임현준 (2006), "총요소생산성 향상이 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연구, 54(1): 5-32. 

  3. 김호영.어승섭.전영두.유승훈 (2014),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7(4): 651-672. 

  4. 문성배.전현배.이은민 (2006), "ICT 기업의 혁신활동과 고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 박성근.김병근 (2011), "한국의 서비스업에서 기술혁신전략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기업수준의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4(2): 223-245. 

  6. 박정수.최은영 (2015), "기술혁신성과에 있어서 R&D 협력과 내부 R&D 투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23(1): 61-86. 

  7. 서일원 (2017), "기술수요자 관점의 공공기술사업화 추진성과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20(3): 664-683. 

  8. 안준모 (2015), "유출-개방형 기술혁신으로서의 기술사업화 정책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8(4): 561-589. 

  9. 오인하 (2011), "부품소재산업 정부지원의 고용효과에 관한 분석", 생산성논집 (구 생산성연구), 25(3): 199-229. 

  10. 윤요한.김윤배.강지석.정가섭 (2015), "출연(연)의 기술이전.사업화 추적조사를 통한 영향요인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41(1): 105-114. 

  11. 윤윤규.고영우 (2011), "정부 R&D 지원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 동남권 지역산업진흥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19(1): 29-53. 

  12. 이건범.김경환.박후근 (2015),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을 통한 창업성공요인 연구", 생산성논집 (구 생산성연구), 29(1): 115-142. 

  13. 이병헌.김선영 (2009), "기술혁신 지원사업이 중소.벤처기업 경영 및 고용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17: 321-343. 

  14. 임정환.임인종.이상명 (2014), "하이테크산업에서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전자부품연구원과 프로브카드회사의 협력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7(3): 490-518. 

  15. 조승모 (2016), "기업 생존분석을 통한 네오 러다이트 운동의 지속성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 상장 ICT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7(1): 689-708. 

  16. 최석준.김상신 (2009),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 효과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0(1): 200-208. 

  17. 최종인.양영석 (2010), "공공 R&D 기관의 효과적인 기술 사업화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1(1): 287-294. 

  18. 하태정.문선웅 (2013), "기술혁신 지원사업이 중소.벤처기업 경영 및 고용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21(1): 1-26. 

  19. 한국고용정보원 (2011), "전통발효식품산업 지원 정책의 고용영향평가", 연구사업보고서. 

  20. 한국노동연구원 (2016), R&D사업화를 통한 민간R&D투자 촉진방안 고용영향평가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1. Acemoglu, D. (2003), "Labor-and Capital-Augmenting Technical Change", Journal of the European Economic Association, 1(1): 1-37. 

  22. Aghion, P. and Howitt, P. (1998), "Market Structure and the Growth Process", Review of Economic Dynamics, 1(1): 276-305. 

  23. Arthur, W. B. (2011), "The Second Economy", McKinsey Quarterly, 4: 90-99. 

  24. Baron, R. M. and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25. Blanchflower, D. G., Millward, N. and Oswald, A. J. (1991), "Unionism and Employment Behaviour", The Economic Journal, 101(407): 815-834. 

  26. Brouwer, E., Kleinknecht, A. and Reijnen, J. O. (1993), "Employment Growth and Innovation at the Firm level", Journal of Evolutionary Economics, 3(2): 153-159. 

  27. Case, S. (2017), The Third Wave: An Entrepreneur's Vision of the Future, Simon and Schuster. 

  28. Gali, J. (1999), "Technology, Employment, and the Business Cycle: Do Technology Shocks Explain Aggregate Fluctuations?", American Economic Review, 89(1): 249-271. 

  29.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ew York: Guilford Press. 

  30. Kim, B. G. and Kim, K. H. (2010), "The Role of Manufacturing-specific Technology in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Hours Worked in Korea", Global Economic Review, 39(2): 197-214. 

  31. Klette, J. and Forre, S. E. (1998), "Innovation and Job Creation in a Small Open Economy-Evidence from Norwegian Manufacturing Plants 1982-92",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5(2-4): 247-272. 

  32. Koellinger, P.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Empirical Evidence from e-business in Europe", Research Policy, 37(8): 1317-1328. 

  33. Machin, S. and Wadhwani, S. (1991), "The Effects of Unions on Organisational Change and Employment", The Economic Journal, 101(407): 835-854. 

  34. MacKinnon, D. P., Coxe, S. and Baraldi, A. N. (2012), "Guidelines for the Investigation of Mediating Variables in Business Research",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7(1): 1-14. 

  35. Sargent, T. C. (2000), "Structural Unemployment and Technological Change in Canada, 1990-1999", Canadian Public Policy/Analyse de Politiques, S109-S123. 

  36. Schwab, K.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own Business. 

  37.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38. Teece, D. J. (2006), "Reflections on Profiting from Innovation", Research Policy, 35(8): 1131-1146. 

  39. Teirlinck, P. and Poelmans, E. (2012), "Open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in Small-sized R&D Active Companies in the Chemical Industry: the Case of Belgium", Journal of Business Chemistry, 9(3): 117-132. 

  40. Teirlinck, P., Dumont, M. and Spithoven, A. (2010), "Corporate Decision-making in R&D Outsourcing and the Impact on Internal R&D Employment Intensity",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9(6): 1741-1768. 

  41. Thurik, A. (2009), "Entreprenomics: Entrepreneurship, Economic Growth and Policy", Entrepreneurship, Growth and Public Policy, 219-249. 

  42. Van Reenen, J. (1997), "Employ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Evidence from UK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Labor Economics, 15(2): 255-284. 

  43. Vivarelli, M. (2014), "Innovation, Employment and Skills in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A Survey of Economic Literature", Journal of Economic Issues, 48(1): 123-154. 

  44. Westlake, S., Marston, L. and Bravo-Biosca, A. (2012), Plan I: The Case for Innovation-led Growth, Nesta. 

  45. Yayboke, E. and Rice, C. (2017), Innovation-Led Economic Growth: Transforming Tomorrow's Developing Economies through Technology and Innovation, ROWMAN & LITTLEFIEL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