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최근 방공식별구역 운영 개념과 현황 분석
Analysis concerning the latest operating concept and status for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ADIZ) 원문보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v.8 no.4, 2014년, pp.44 - 51  

김동수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NCW학과) ,  홍성표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NCW학과) ,  정맹석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NCW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analyzes the latest operating concept and status for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ADIZ) researching overseas ADIZ CONOPS, international legal basis for ADIZ, the intention & background of proclamation for Chin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CADIZ). Firstly, ADIZ is lawful concern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일본의 조어도 영유권을 무력화하고 이를 분쟁화하며, 중국의 주장을 강요하고자 하는 의지를 과시 하고자는 것이다.[9] 조어도 분쟁은 2010년 이후 격화되어 왔다.
  • 그러나 방공식별구역 관련 국제조약이 존재하지 않아 방공식별구역의 설정·운용에 대한 적법성이 논란이 되고 있지만 국가 안보와 권익에 따라 동 구역은 지속적으로 신설·확장·조정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방공식별구역의 운영추세와 법적 지위, 그리고 최근 선포되어 운영 중인 중국 방공식별구역에 대한 중국의 선포 의도, 정당성 확보를 위한 법리적 해석과 대응방안 등을 분석하여 발전하는 방공식별구역의 운영 현황과 개념을 고찰하고자 한다.
  • 무엇보다 미국은 지역 해양 분쟁에 있어 중국이 직접적인 군사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개입을 하지 않겠다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직접적인 군사적 공격이 아닌 방공식별구역 설정과 같이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여 지역 해양문제를 유리하게 해결하고자 할 것이다. 특히, 방공식별 구역 설정과 같은 조치는 자신의 힘을 과시하고 해양 권익에 대한 주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상대의 군사적 도발을 유발시켜 군사적 충돌을 야기하고 군사적 충돌의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방책을 제공할 수 있다.
  • 이에 중국은 미국의 아시아 중시정책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지역 해양 분쟁에서 보다 공세적인 정책을 통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여 지역내 정치·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미국의 주도권을 약화시키고자 한다.
  • 첫째,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 제 58조 1항과 3항 그리고 제 301조를 원용하여 해당 협약의 법리적 해석을 달리하는 유엔해양법협약의 해석론에만 의존하자니 해양강국의 해석과 너무 충돌하여 다른 정당화 방안을 국가 관행에서 찾은 결과 특히 조어도를 포함하는 상공에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한 것 이라 평가할 수 있다. 중국은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이 채택된 이후 배타적경제수역의 법적 성격과 관련 조문의 해석을 이용해 특히 군용기의 군사활동을 규제하고자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2001년 4월 1일 중·미 항공기간의 하이난섬 충돌사건시 연안국의 배타적경제수역 상공에서의 타국 군용기의 정찰비행까지 금지시킬 수 있는 법적 권한에 대해 당시 미국과 중국은 관련 국제법의 해석에서 이견을 견지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