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쥐에서 감귤과피 추출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작용
Protective Effect of Citrus unshiu Peel Extract on Ethanol-Induced Fatty Liver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2, 2014년, pp.187 - 193  

김주연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인욱 (한국식품연구원) ,  노상규 (국립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생리활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감귤과 피 추출물의 급여가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지방간 유도식이인 Lieber-DeCarli 액체식이를 공급하였으며,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control), 대조군과의 열량 차이를 에탄올로 보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에탄올군(ethanol), 에탄올군과 동일한 식이와 감귤과피 농축액을 마리당 1 mL 혼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군으로 하여 그룹당 8마리씩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 시작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 혈액 채취 직후 적출하였다. 체중증가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에탄올군,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액의 중성지방 농도는 대조군, 에탄올군, 감귤박 추출물 투여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혈중 ALT, AST, ALP의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감귤과피 추출물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영상촬영을 통한 간 조직의 지방구 양은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의 간 조직에서 지방구가 축적되어 크기가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서 대조군 수준으로 작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간조직의 총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알코올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의 주요 지방 종류별 총지방산 비교에서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분획의 대부분의 지방산 함량이 에탄올군에 비해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대조군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과피 추출물이 알코올의 섭취로 인해 증가된 간 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고, 간조직의 지방간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감귤과피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알코올에 의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간 기능을 개선시켜 지방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여 앞으로 감귤과피가 지방대사 개선 식품소재로서 이용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Citrus unshiu peel extract (CPE) affects fat accumulation in livers of rats fed an ethanol-containing liquid diet. Initiall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housed individually in stainless steel, wire-bottomed cages with free access to a Lieber-Decarli contr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생리활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감귤과피 추출물의 급여가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알코올성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지방간 유도식이인 Lieber-DeCarli 액체식이를 공급하였으며,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control), 대조군과의 열량 차이를 에탄올로 보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에탄올군(ethanol), 에탄올군과 동일한 식이와 감귤과피 농축액을 마리당 1 mL 혼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감귤과피 추출물 투여군으로 하여 그룹당 8마리씩 6주간 사육하였다.
  • Moon 등(35)은 알코올을 투여한 군에서는 지방구가 증가하는 반면 감귤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군에서는 지방구의 축적이 완화되었다고 보고하였고, Seo 등(36)은 알코올만 투여한 군에 비해 naringin을 함께 투여한 군에서 간세포에 축적되는 지방구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감귤과피 추출물에 함유된다양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알코올을 섭취한 동물의 간지질 함량을 개선하여 간 조직 지방질 축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 이러한 감귤은 식품산업에 있어서 대부분이 감귤 주스나 감귤을 원료로 한 음료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과즙으로서의 효율성이 약한 과피는 연간 15만 톤 이상이 부산물로 남기 때문에(17), 감귤과피를 이용한 효율적 이용이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흰쥐를 이용하여 최근 다양한 생리활성 함유로 주목받고 있는 감귤과피 추출물(citrus peel extract)의 지속적인 공급이 알코올 과다 공급으로 유도한 지방간의 지방 축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가설 설정

  • 2)Values in a row not sharing a common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성 지방간은 무엇인가? 알코올성 지방간(alcoholic fatty liver)은 과음으로 인해중성지방이 간 조직에 축적되는 질환이다(2). 알코올은 당대사와 지방대사에 영향을 미쳐 간세포의 NADH/NAD+ 비율과 지방 합성에 필요한 전구체 증가를 유도하여 중성지방의합성은 증가시키고 분해는 감소시킨다(2-5).
2009년 통계에 따른 감귤의 연간 생산량과 1인당 연간 소비량은? 감귤(Citrus unshiu)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겨울철 과수이다. 2009년 통계에 따르면 연간 생산량이 약 72만 톤으로 전체 과실 중 30%를 차지하여 1인당 연간 소비량이 약 14.8 kg에 이른다. 감귤은 비타민 C, 유기산, 당류 등의 일반 성분 외에 플라보노이드, carotenoids, coumarins, phenylpropanoids, limonoids 등의 생리적으로 활성을 띠는 약 60여 종의 활성물질을 함유하며, 이 중에는 감귤 특유의 hesperidin, naringin, tangeretin, mobiletin 등도 다량 있다(7).
감귤은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는가? 8 kg에 이른다. 감귤은 비타민 C, 유기산, 당류 등의 일반 성분 외에 플라보노이드, carotenoids, coumarins, phenylpropanoids, limonoids 등의 생리적으로 활성을 띠는 약 60여 종의 활성물질을 함유하며, 이 중에는 감귤 특유의 hesperidin, naringin, tangeretin, mobiletin 등도 다량 있다(7). 감귤의 껍질에도 carotenoids, bioflavonoids, terpenes류 등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Rehm J, Mathers C, Popova S, Thavorncharoensap M, Teerawattananon Y, Patra J. 2009. Global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and economic cost attributable to alcohol use and alcohol-use disorders. Lancet 373: 2223-2233. 

  2. Neuman MG, French SW, Casey CA, Kharbanda KK, Nanau RM, Rasineni K, McVicker BL, Kong V, Donohue TM Jr. 2013. Changes in the pathogenesis of alcohol-induced liver disease - Preclinical studies. Exp Mol Pathol 95: 376-384. 

  3. Reuben A. 2008. Alcohol and the liver. Curr Opin Gastroenterol 24: 328-338. 

  4. Lieber CS. 2004. Alcoholic fatty liver: its pathogenesis and mechanism of progression to inflammation and fibrosis. Alcohol 34: 9-19. 

  5. Siegmund SV, Brenner DA. 2005. Molecular pathogenesis of alcohol-induced hepatic fibrosis. Alcohol Clin Exp Res 29: 102S-109S. 

  6. Nagata K, Suzuki H, Sakaguchi S. 2007. Common pathogenic mechanism in development progression of liver injury caused by non-alcoholic or alcoholic steatohepatitis. J Toxicol Sci 32: 453-468. 

  7. Chung SK, Kim SH, Choi YH, Song EY, Kim SH. 2000. Status of citrus fruit production and view of utilization in Cheju. Food Ind Nutr 5: 42-52. 

  8. Lee MH, Hur D, Jo DJ, Lee GD, Yoon SR. 2007. Flavonoids compon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itrus peel hydrolys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58-1364. 

  9. Son HS, Kim HS, Kwon TB, Ju JS. 1992. Isolation, purification and hypotensive effects of bioflavonoids in Citrus sinensis. J Korean Soc Food Nutr 21: 136-142. 

  10. Park HJ, Jung UJ, Cho SJ, Jung HK, Shim S, Choi MS. 2013. Citrus unshiu peel extract ameliorates hyperglycemia and hepatic steatosis by altering inflammation and hepatic glucose- and lipid-regulating enzymes in db/db mice. J Nutr Biochem 24: 419-427. 

  11. Iwata E, Hotta H, Goto M. 2012. Hypolipidemic and bifidogenic potentials in the dietary fiber prepared from Mikan (Japanese mandarin orange: Citrus unshiu) albedo. J Nutr Sci Vitaminol 58: 175-180. 

  12. Monfote MT, Trovato A, Kirjavanine S, Forestieri AM, Galati EML, Curto TB. 1995. Biological effects of hesperidin a citrus flavonoid: hypolipidemic activity on experimental hypercholesterolemia in rat. Farmaco 50: 595-599. 

  13. Xu GH, Chen JC, Liu DH, Zhang YH, Jiang P, Ye XQ. 2008. Minerals,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itrus peel extract by hot water. J Food Sci 73: C11-C18. 

  14. Yang X, Kang SM, Jeon BT, Kim YD, Ha JH, Kim YT, Jeon YJ. 201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flavonoid compound from citrus-processing by-product. J Sci Food Agric 91: 1925-1927. 

  15. Lee S, Ra J, Song JY, Gwak C, Kwon HJ, Yim SV, Hong SP, Kim J, Lee KH, Cho JJ, Park YS, Park CS, Ahn HJ. 2011.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romote immune-mediated inhibition of tumor growth in a murine renal cell carcinoma model. J Ethnopharmacol 133: 973-979. 

  16. Yoshigai E, Machida T, Okuyama T, Mori M, Murase H, Yamanishi R, Okumura T, Ikeya Y, Nishino H, Nishizawa M. 2013. Citrus nobiletin suppresse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expression in interleukin-1 $\beta$ -treated hepatocyt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439: 54-59. 

  17. Kang HJ, Chawla SP, Jo C, Kwon JH, Byun MW. 2006.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powder from citrus peel. Bioresource Technology 97: 614-620. 

  18. Lieber CS, DeCarli LM. 1986. The feeding of ethanol in liquid diets. Alcohol Clin Exp Res 10: 550-553. 

  19. Park HY, Park Y, Lee Y, Noh SK, Sung EG, Choi I. 2012.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citrus peel (Citrus unshiu) on suppressing alcohol-induced fatty liver in rats. Food Chem 130: 598-604. 

  20. Folch PJ, Lees M, Sloane-Stanley GM.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1. Agren JJ, Julkunen A, Penttila I. 1992. Rapid separation of serum lipids for fatty acid analysis by a single aminopropyl column. J Lipid Res 33: 1871-1876. 

  22. Noh SK, Koo SI, Jeon IJ. 1999. Estrogen replacement in ovariectomized rats increases the hepatic concentration and biliary secretion of alpha-tocopherol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J Nutr Biochem 10: 110-117. 

  23. Slover HT, Lanze E. 1979. Quantitative analysis of food fatty acids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J Am Oil Chem Soc 56: 933-943. 

  24. Pikaar NA, Wedel M, van der Beek EJ, van Dokkum W, Kempen HJ, Kluft C, Ockhuizen T, Hermus RJ. 1987. Effects of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on the platelet aggregation fibrinolysis, and blood lipids. Metabolism 36: 538-543. 

  25. Lieber CS, DeCarli LM. 1974. An experimental model of alcohol feeding and liver injury in the baboon. J Med Prim 3: 153-163. 

  26. Nam KS, Kim JY, Noh SK, Park JH, Sung EG. 2011. Effect of sweet persimmon wine on alcoholic fatty liver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48-1555. 

  27. Zeman FJ. 1991. Liver disease and alcoholism. In Clinical Nutrition and Dietetics. 2nd ed. Macmillan Publ, New York, NY, USA. p 517-553. 

  28. Jung UJ, Lee MK, Park YB, Kang MA, Choi MS. 2006. Effects of citrus flavonoids on liipid metabolism and glucose- regulating enzyme mRNA level in type-2 diabetic mice. Int J Biochem Cell Biol 38: 1134-1145. 

  29. Kim SJ, Kim J, Kim HJ, Kim SH, Lee SH, Park YS, Park BK, Kim BS, Kim SK, Yoon SI, Choi CS, Jung JY. 2008. Effect of naringin on lipid metabolism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 J Fd Hyg Safety 23: 297-303. 

  30. Noh SK, Koo SI. 2004. Milk sphingomyelin is more potent inhibitor than egg sphingomyelin of intestinal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alpha$ -tocopherol in rats. J Nutr 134: 2611-2616. 

  31. Yugarani T, Tan BK, Das NP. 1993. The effect of tannic acid on serum lipid parameters and tissue lipid peroxides in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and Wistar Kyoto rats. Planta Med 59: 28-31. 

  32. Shin HK, Seo YJ, Kim JY, Kim CS, Noh SK. 2007. Onion favorably affects serum markers of ethanol-induced fatty liver in rats. Korean J Food Preserv 14: 662-668. 

  33. Park PS, Lee BR, Lee MY. 1996. Effects of onion juice on ethanol-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3: 750-756. 

  34. Yoon OH, Kang BT, Lee JW, Kim KO. 2008. Effect of plum wine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pid peroxidation of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22-427. 

  35. Moon SW, Kang SH, Jin YJ, Park JG, Lee YD, Lee YK, Park DB, Kim SJ. 2004. Fermentation of Citrus unshiu Mar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69-676. 

  36. Seo HJ, Jeong KS, Lee MK, Park YB, Jung UJ, Kim HJ, Choi MS. 2003. Role of naringin supplement in regulation of lipid and ethanol metabolism in rats. Life Sci 73: 933-946. 

  37. Lieber CS. 1994. Alcohol and the liver. Gastroenterology 106: 1085-1105. 

  38. Moncade C, Torres V, Barghese G, Albano E, Isrsel Y. 1994. Ethanol-derived immuno reactive species formed by radical mechanisms. Mol Pharmacol 46: 786-791. 

  39. Anila L, Vijayalakshmi NR. 2002. Flavonoids from Emblica officinalis and Mongifera indica - effectiveness for dyslipidemia. J Ethnopharmacol 79: 81-87. 

  40. Cha JY, Cho YS, Kim IS, Anno N, Rahman SH, Yanagita T. 2001. Effect of hesperetin, a citrus flavonoid, on the liver triacylglycerol content and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ctivity in orotic acid-fed rats. Plant Food Human Nutr 56: 1-10. 

  41. Bok SH, Lee SH, Yark YB, Bae KH, Son KH, Jeong TS, Choi MS. 1999. Plasma and hapatic cholesterol and hepatic activities of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and acyl CoA:cholesterol transferase are lower in rats fed citrus peel extract or a mixture of citrus bioflavonoids. J Nutr 127: 1282-1285. 

  42. Bose M, Lambert JD, Ju J, Reuhl KR, Shapses SA, Yang CS. 2008. The major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 3-gallate, inhibits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fatty liver disease in high-fat-fed mice. J Nutr 138: 1677- 1683. 

  43. Gnoni GV, Paglialonga G, Siculella L. 2009. Quercetin inhibits fatty acid and triacylglycerol synthesis in rat-liver cells. Eur J Clin Invest 39: 761-7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