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곤드레 (Cirsium setidens) 에탄올 추출물의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 억제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irsium setidens ethanolic extracts against alcoholic fatty liver injury in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6, 2016년, pp.420 - 428  

김은혜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자용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 종 흰 쥐 수컷을 정상 대조군 (C), 알코올 군 (E), 알코올 + 100 mg/kgBW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군 (E+LCS), 알코올 + 500 mg/kgBW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군 (E+HCS)으로 나누어 Lieber-DeCarli control diet 혹은 Lieber-DeCarli ethanol diet를 8주간 공급하였으며, 이때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은 액상 사료에 직접 섞어 공급하였다. 알코올과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식이 공급 종료 후 간 조직의 지방구 축적 정도를 살펴본 결과, E+LCS군과 E+HSC군은 E군에 비해 지방간 발생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정상 대조군인 C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비슷하게,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공급은 알코올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과 혈청의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혈청 AST와 혈청 ALT 활성도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공급은 p-AMPK과 p-ACC 단백질 수준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두 단백질 모두 E군에 비해 E+HSC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FAS mRNA와 SCD1 mRNA 수준은 E군에 비해 E+HS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은 간 조직에서 알코올 공급에 의해 증가된 $NF{\kappa}B$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NF{\kappa}B$의 표적 단백질인 $TNF{\alpha}$ 단백질 수준을 농도의존적으로 낮추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곤드레는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 발생 및 관련된 간 손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AMPK 활성 증가와 $NF{\kappa}B$ 활성 억제가 관여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irsium setidens ethanolic extract (CS) on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and associated injury. Methods: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either Lieber-DeCarli control (C) or ethanol (35.5% of total calories) liquid diet with 0 (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in vitro 연구를 통해 간 세포에 에탄올을 처리했을 때 AMPK 활성이 억제되고,17 알코올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쥐의 간 조직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 비해 AMPK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됨이 보고된 바 있어,18 알코올성 지방간 발생에 있어 AMPK의 역할이 주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이 간 조직의 AMPK 활성 및 알코올성 지방간과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곤드레란 무엇인가? 곤드레 (Cirsium setidens)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주로 해발 700 m 이상의 고지에서 자생하며, 맛이 담백하고 부드러워 나물 등의 요리에 흔히 사용되는 식재료이다. 또한, 고려엉겅퀴라고도 불리며 한방에서 염증, 부종, 고혈압 등의 여러 증상에 사용되어 왔다.
알코올성 간 손상의 지표로 활용되는 것은? 알코올성 지방간과 동반되는 간 손상의 지표로는 혈청 AST 및 혈청 ALT의 활성 증가와 간 조직에서의 TNFα의발현 증가가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는 알코올에 의한 혈청 AST와 혈청 ALT 농도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정상 대조군의 수준으로 낮추었으며, 간 조직에서의 TNFα 단백질 수준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곤드레의 잎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에는 무엇이 있는가? 6 곤드레의 잎 부분에는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리놀렌산, 리놀레산 등의 필수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칼륨 등 총 7가지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등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7 뿐만 아니라, pectolinarin을 비롯하여 luteolin, hispidulin, apigenin 등 여러 종류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8,9 이에 따라 곤드레의 생리 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0-12 특히, CCl4 로 유도된 간 손상 모델에서 곤드레 추출물 (500 mg/kgBW)의 투여시 간 손상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13 이와 비슷하게 D-galactosamine으로 유도된 간 손상 모델에서 곤드레 추출물 혹은 곤드레에서 추출한 pectolinarin의 투여 농도에 비례하여 간 손상 지표인 혈청 AST와 ALT 농도가 유의 적으로 감소함이 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2. Lee SM, Yoon DY, Paik JH, Hyun KR, Kang HR. Socioeconomic impacts of major health risk factor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regulatory policy repor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3. Purohit V, Gao B, Song BJ. Molecular mechanisms of alcoholic fatty liver. Alcohol Clin Exp Res 2009; 33(2): 191-205. 

  4. Deleuran T, Gronbaek H, Vilstrup H, Jepsen P. Cirrhosis and mortality risks of biopsy-verified alcoholic pure steatosis and steatohepatitis: a nationwide registry-based study. Aliment Pharmacol Ther 2012; 35(11): 1336-1342. 

  5. Haflidadottir S, Jonasson JG, Norland H, Einarsdottir SO, Kleiner DE, Lund SH, Bjornsson ES. Long-term follow-up and liverrelated death rate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and alcoholic related fatty liver disease. BMC Gastroenterol 2014; 14(1): 166. 

  6. Lee WB, Kwon HC, Cho OR, Lee KC, Choi SU, Baek NI, Lee KR.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Cirsium setidens Nakai and their cytotoxicity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Arch Pharm Res 2002; 25(5): 628-635. 

  7. Lee SH, Jin YS, Heo SI, Shim TH, Sa JH, Choi DS, Wang MH.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6; 38(4): 571-6. 

  8. Thao NT, Cuong TD, Hung TM, Lee JH, Na M, Son JK, Jung HJ, Fang Z, Woo MH, Choi JS, Min BS.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ioactive flavonoids in some selected Korean thistl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rch Pharm Res 2011; 34(3): 455-461. 

  9. Jeong DM, Jung HA, Choi JS. Comparative antioxidant activity and HPLC profiles of some selected Korean thistles. Arch Pharm Res 2008; 31(1): 28-33. 

  10. Lee JH, Jung HK, Han YS, Yoon YM, Yun CW, Sun HY, Cho HW, Lee SH. Antioxidant effects of Cirsium setidens extract on oxidative stress in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Mol Med Rep 2016; 14(4): 3777-3784. 

  11. Chung MJ, Lee S, Park YI, Lee J, Kwon KH. Neuroprotective effects of phytosterols and flavonoids from Cirsium setidens and Aster scaber in human brain neuroblastoma SK-N-SH cells. Life Sci 2016; 148: 173-182. 

  12. Ahn MJ, Hur SJ, Kim EH, Lee SH, Shin JS, Kim MK, Uchizono JA, Whang WK, Kim DS. Scopoletin from Cirsium setidens Increases Melanin Synthesis via CREB phosphorylation in B16F10 cells. Korean J Physiol Pharmacol 2014; 18(4): 307-311. 

  13. Yoo YM, Nam JH, Kim MY, Choi J, Park HJ. Pectolinarin and pectolinarigenin of cirsium setidens prevent the hepatic injury in rats caused by D-galactosamine via an antioxidant mechanism. Biol Pharm Bull 2008; 31(4): 760-764. 

  14. Yoo YM, Nam JH, Kim MY, Choi J, Park HJ. Pectolinarin and pectolinarigenin of Cirsium setidens prevent the hepatic injury in rats caused by D-galactosamine via an antioxidant mechanism. Biol Pharm Bull 2008; 31(4): 760-764. 

  15. Long YC, Zierath JR. AMP-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in metabolic regulation. J Clin Invest 2006; 116(7): 1776-1783. 

  16. Towler MC, Hardie D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metabolic control and insulin signaling. Circ Res 2007; 100(3): 328-341. 

  17. You M, Matsumoto M, Pacold CM, Cho WK, Crabb DW. The role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the action of ethanol in the liver. Gastroenterology 2004; 127(6): 1798-1808. 

  18. Garcia-Villafranca J, Guillen A, Castro J. Ethanol consumption impairs regulation of fatty acid metabolism by decreasing the activity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rat liver. Biochimie 2008; 90(3): 460-466. 

  19. Mathews S, Xu M, Wang H, Bertola A, Gao B. Animals models of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Animal models of alcoholinduced liver disease: pathophysiology, translational relevance, and challenge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14; 306(10): G819-G823. 

  20. Steinberg GR, Kemp BE. AMPK in health and disease. Physiol Rev 2009; 89(3): 1025-1278. 

  21. Noh H, Lee H, Kim E, Mu L, Rhee YK, Cho CW, Chung J. Inhibitory effect of a Cirsium setidens extract on hepatic fat accumulation in mice fed a high-fat diet via the induction of fatty acid betaoxidation.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3; 77(7): 1424-1429. 

  22. Viollet B, Lantier L, Devin-Leclerc J, Hebrard S, Amouyal C, Mounier R, Foretz M, Andreelli F. Targeting the AMPK pathway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Front Biosci (Landmark Ed) 2009; 14: 3380-3400. 

  23. Steinberg GR, Kemp BE. AMPK in health and disease. Physiol Rev 2009; 89(3): 1025-1078. 

  24. Noh H, Lee H, Kim E, Mu L, Rhee YK, Cho CW, Chung J. Inhibitory effect of a Cirsium setidens extract on hepatic fat accumulation in mice fed a high-fat diet via the induction of fatty acid betaoxidation.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3; 77(7): 1424-1429. 

  25. Lee YJ, Kim DB, Lee JS, Cho JH, Kim BK, Choi HS, Lee BY, Lee OH.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wild herbs mainly cultivated in Korea. Molecules 2013; 18(10): 12937-12950. 

  26. Ding RB, Tian K, Huang LL, He CW, Jiang Y, Wang YT, Wan JB. Herbal medicines for the prevention of alcoholic liver disease: a review. J Ethnopharmacol 2012; 144(3): 457-465. 

  27. You M, Liang X, Ajmo JM, Ness GC. Involvement of mammalian sirtuin 1 in the action of ethanol in the liver.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8; 294(4): G892-G898. 

  28. Nagata K, Suzuki H, Sakaguchi S. Common pathogenic mechanism in development progression of liver injury caused by nonalcoholic or alcoholic steatohepatitis. J Toxicol Sci 2007; 32(5): 453-468. 

  29. McClain CJ, Hill DB, Song Z, Deaciuc I, Barve S. Monocyte activation in alcoholic liver disease. Alcohol 2002; 27(1): 53-61. 

  30. Lee SH, Heo SI, Li L, Lee MJ, Wang MH.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Cirsium setidens Nakai against CCl4-induced liver damage. Am J Chin Med 2008; 36(1): 107-114. 

  31.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US). Guidance for industry: estimating the maximum safe starting dose in initial clinical trials for therapeutics in adult healthy volunteers. Rockville (MD):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2005. 

  32. Reagan-Shaw S, Nihal M, Ahmad N. Dose translation from animal to human studies revisited. FASEB J 2008; 22(3): 659-6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