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한 뒤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한 후 특성을 검토한 결과, 막걸리 조 다당체(RWW)의 neutral sugar 함량은 87.3%, uronic acid 함량은 2.5%, protein 함량은 10.2%이었다. RWW는 인체 초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마우스 RAW 264.7 macrophage에서 세포증식 및 면역유도 cytokine 분비활성을 나타내었다. RWW를 1, 10, $100{\mu}g/mL$ 농도로 macrophage에 처리하여 면역자극을 유도한 결과 모든 처리 농도에서 IL-6, IL-12, TNF-${\alpha}$의 분비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막걸리 유래 다당체는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와 macrophage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RWW를 통해 cytokine 분비를 유도, 조절함으로써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makgeolli were investigated. Crude polysaccahrides from makgeolli (RWW) were isolated by hot water extraction ($100^{\circ}C$, 30 min), ethanol precipitation (four volumes of 95% ethanol), dialysis (MWCO: 6,000~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로부터 다당체를 분리하여 성분분석 및 각종 면역자극 활성 특히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면역자극활성제로서의 막걸리 다당체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한 뒤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한 후 특성을 검토한 결과, 막걸리 조 다당체(RWW)의 neutral sugar 함량은 8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의 다른 이름은? 막걸리는 우리나라 고유의 술로서 천년 이상 제조되어 왔으며 탁주 또는 농주라고도 한다(1). 곡물을 누룩으로 발효하고 여과하지 않아 발효에 관여한 효모나 유산균 등을 포함한 발효산물 전체를 음용하는 세계 유일의 술이다(2).
막걸리는 어떠한 제조과정으로 인해 세계 유일의 술로 명명되는가? 막걸리는 우리나라 고유의 술로서 천년 이상 제조되어 왔으며 탁주 또는 농주라고도 한다(1). 곡물을 누룩으로 발효하고 여과하지 않아 발효에 관여한 효모나 유산균 등을 포함한 발효산물 전체를 음용하는 세계 유일의 술이다(2). 막걸리는 알코올 함량이 6~8%로 비교적 낮으며 단백질,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고 비타민 B 복합체, 다양한 유기산과 이노시 톨, 아세틸콜린, 리보플라빈 등의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 및 10여종의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
막걸리는 영양학적인 가치 외에 어떤 효능을 갖는가? 막걸리는 알코올 함량이 6~8%로 비교적 낮으며 단백질,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고 비타민 B 복합체, 다양한 유기산과 이노시 톨, 아세틸콜린, 리보플라빈 등의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 및 10여종의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 막걸리는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 중 하나로 영양학적인 가치 외에 항암, 항염증, 심혈관계질환 개선, 전지 방세포 분화 억제 등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된바있으나(4-7), 막걸리에서 유래된 다당체의 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 HK, Lee JY, Seo WT, Kim MK, Cho K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 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4(4): 728-735. 

  2. Lee SJ, Shin WC. 2011.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Makgeolli (Korean Paradox). Food Sci Ind 44: 2-11. 

  3. Kim JY, Sung KW, Bae HW, Yi YH. 2007.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66-271. 

  4. Shin MO, Kang DY, Kim MH, Bae SJ.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8-293. 

  5. Lee SJ, Kim GW. 2010. Hypolipidemic effect of hexane fraction from Rhizopus oryzae KSD-815 throug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 761-765. 

  6. Lee SJ, Kim JH, Jung YW, Park S, Shin WC, Park CS, Hong S, Kim GW. 2011. Compositions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7. Shin MO, Kim MH, Bae SJ. 2010. The effect of Makgeolli on blood flow, serum lipid improvement and inhibition of ACE in vitro. J Life Sci 20: 710-716. 

  8. Park SY, Lee J, Yu KW, Han NS, Lee H, Koh JH, Shin KS. 2006.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in grape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32-1236. 

  9. Hwang YC, Shin KS. 2008.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Korean persimmo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20-227. 

  10. Park HR, Lee MS, Jo SY, Won HJ, Lee HS, Lee H, Shin KS. 2012.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and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28-234. 

  11. Kim MK, Jung EY, Lee HS, Shin KS, Kim YK, Ra KS, Park CS, Woo MJ, Lee SH, Kim JS, Suh HJ. 2009. Isolation of strain for the preparation of the fermented antler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37-1242. 

  12. Bae SH, Jung EY, Kim SY, Shin KS, Suh HJ. 2010.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akju. J Food Biochem 34: 233-248. 

  13. Bae SH, Choi JW, Ra KS, Yu KW, Shin KS, Park SS, Suh HJ. 2012.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enzyme-treated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Makgeolli) hydrolysates. J Sci Food Agric 92: 1765-1770. 

  14.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5. Bitter T, Muir HM. 1962. A modified uronic acid carbazole reaction. Anal Biochem 4: 330-334. 

  16.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17. Kabat EA, Mayer MM. 1965.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nd ed. Thormas Publisher, Springfield, IL, USA. p133-240. 

  18. Holers VM. 2003. The complement system as a therapeutic target in autoimmunity. Clin Immunol 107: 140-151. 

  19. Satio H, Tomioka H, Sato K. 1988. PSK, a polysaccharide from Coriolus versicolor, enhances oxygen metabolism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and the host resistance to listerial infection. J Gen Microbiol 134: 1029-1035. 

  20. Lee SJ, Rim HK, Jung JY, An HJ, Shin JS, Cho CW, Rhee YK, Hong HD, Lee KT. 2013.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Cheonggukjang. Food Chem Toxicol 59: 476-484. 

  21. Birk RW, Gratchev A, Hakiy N, Politz O, Schledzewski K, Guillot P, Orfanos CE, Goerdt S. 2001. Alternative activation of antigen-presenting cells: concepts and clinical relevance. Hautarzt 52: 193-200. 

  22. Wang H, Actor JK, Indrigo J, Olsen M, Dasgupta A. 2003. Asian and Siberian ginseng as a potential modulator of immune function: an in vitro cytokine study using mouse macrophage. Clin Chim Acta 327: 123-128. 

  23. Ohta Y, Lee JB, Hayashi K, Fujita A, Park DK, Hayashi T. 2007. In vivo anti-influenza virus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cidic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Cordyceps militaris grown on germinated soybeans. J Agric Food Chem 55: 10194-10199. 

  24. Sundquist M, Johansson C, Wick MJ. 2003. Dendritic cells as inducers of antimicrobial immunity in vivo. Apmis 111: 715-724. 

  25. Jeong HJ, Chung HS, An HJ, Seo SW, Kim TG, Won JH, Shin JY, Ahn KS, Kim HM. 2004.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the herbal combination bouum-myunyuk-dan. Biol Pharm Bull 27: 29-33. 

  26. Yoon TJ, Yu KW, Shin KS, Suh HJ. 2008. Innate immune stimulation of exo-polymers prepared from Cordyceps sinensis by submerged culture. Appl Microbiol Biotechnol 80: 1087-10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