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거주 20대·30대 직장인의 편의점 편의식 이용 및 식품영양표시 확인 정도
Study on Consumption Patterns and Degree of Checking Food-Nutrition Labeling of Convenience Foods at Convenience Stores by Young Adult Worker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2, 2014년, pp.309 - 317  

한민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기보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거주 20~30대 직장인을 일대일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여 편의점 편의식의 이용실태와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확인 정도를 통해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편의식 이용 빈도는 일주일에 1~2회가 31.7%, 한 달에 1~2회가 29.8% 순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 20대는 일주일에 3~4회와 일주일에 1~2회가 30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주거형태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취가 자택보다 유의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에서 미혼이 기혼보다 이용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편의점 편의식은 컵라면 79.6%, 김밥 76.4%, 라면 57.7%, 샌드위치 52.4%로 나타났다. 식품표시 확인 정도는 유통기한이 4.02/5.00점, 내용량 3.23/5.00점, 조리방법 2.99/5.00점 순이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유통기한 및 제조일자, 원산지를 확인하는 정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으며 30대가 20대보다 제조사를 확인하는 정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고, 유통기한 및 제조일자 항목에서는 20대가 30대보다 확인 정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그리고 미혼이 기혼보다 유통기한 및 제조일자, 식품보관 시 주의사항을 확인하는 정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표시 확인 정도는 열량 3.06/5.00점, 트랜스지방 2.84/5.00점, 나트륨 2.80/5.00점, 콜레스테롤 2.76/5.00점 순이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전체 점수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고 20대가 30대보다 열량, 탄수화물, 지방, 포화지방, 나트륨 확인하는 정도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문직이 자영업보다 탄수화물, 당,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을 확인 정도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고, 칼로리는 전문직이 자영업, 판매/서비스직에 비해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또한 관리/사무직, 자영업, 판매/서비스직에 비해 전문직에서 식이섬유와 단백질을 확인하는 정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venience foods at convenience stores, by examining consumption patterns, as well as the degree of checking food-nutrition labeling. In this study, 208 workers in Busan in their 20s or 30s were surveyed using 1:1 interview questionnaires. The weekly u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30대의 편의점 편의식 이용태도와 식품영양표시의 확인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편의점 편의식 소비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젊은 직장인들이 건강한 식생활 관리를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부산거주 20∼30대 직장인을 일대일 설문지 조사 법을 이용하여 편의점 편의식의 이용실태와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확인 정도를 통해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20대 및 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관공서, 사무실, 식당 등을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조사대상자에게 동의를 구한 후, 동의에 응한 대상자 208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이들에게 직접 자가 기록을 하게 하였다. 총 배부된 설문지 208부(회수율 100%)를 모두 회수하였으며 편의점 식품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서 5개의 업체에서 운영하는 편의점 8곳을 방문하여 식품의 종류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GERI. 2011. Value and lifestyle of 20s in Korea. LG Business Insight 1158: 17-31. 

  2. LGERI. 2012. The value and lifestyle of Koreans at their 30s leading the culture and consumption. LG Business Insight 1201: 2-13. 

  3. Song HS. 2009. Leisure-related consumption patterns of male working class in their 20s and 30s.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1-2. 

  4. Kim ES, Jung BM, Chun HJ. 2001. The survey of meal habits for the urban salaried workers. Korean J Soc Food & Cookery Sci 17: 91-104. 

  5. Choi MK, Kim JM, Kim JG. 2003.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health of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18: 45-55. 

  6. Lee J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2: 534-544. 

  7. Kim JY, Song HJ, Park SS. 2005. Segmentation of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by lifestyle: the case of S department store in Kang-Nam, Seoul. J Foodservice Management 8: 137-154. 

  8. Korea Association of Convenience Stores. 2011. CVS composition of store/ statistics-operation period (annual operation) Available from http://cvs.or.kr/kacs.php?modec1& cate3/16. 

  9. Seo KA, Song JE, Han JS. 1993. A study on the pattern of shopping, the level of customers cogni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foods sold in "24-hour market store" in Taegu c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 73-81. 

  10. Im JB, Seo BS, Lee HG, Chang UK. 1990. Life style and dietary pattern. J Korean Home Econ Assoc 28: 33-50. 

  11. Moon SJ, Yoon HJ, Kim JH, Lee YJ. 1998.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convenience foods by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13: 227-239. 

  12.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 181-191. 

  13. Lim YS, Park HR, Han GJ. 2005. Comparison of preference for convenience and dietary attitude in college students by sex in Seoul and Kyunggi-do area. J Korean Diet Assoc 11: 11-20. 

  14. Lee HJ. 2008. A study on necessity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food additives used for convenience foods. M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p 25-41. 

  15. Jung YH, Ko SJ, Lim HJ. 2010. The socioeconomic cost of adolescent obesi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0: 195-219. 

  16. Guthrie JF, Fox JJ, Cleveland LE, Welsh S. 1995. Who uses nutritional labeling and what effects does label use have on diet quality? J Nutr Edu 27: 163-172. 

  17. Kim SY, Nayga RM, Capps O. 2001. Food label use, self selectivity, and diet quality. J Consum Aff 35: 346-363. 

  18. Perez-Escamilla R, Haldeman R. 2002. Food label use modifies association of income with dietary quality. Korean J Nutr 35: 346-363. 

  19. Choi MS. 2008. Investigation of salt intake recognition and dietary habits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2-3. 

  20. Chung EJ, Shim EG. 2008.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78-588. 

  21. Lee SS, Park KY. 199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using convenience store. The Academic J Kon-Kuk University 39: 353-369. 

  22. Lee KJ, Lee YH. 2004. Consumer's recognition and using state about food-nutrition labeling system among twent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54-63. 

  23.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2: 519-533. 

  24. Lee HY, Kim MK. 2008.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Korean J Nutr 41: 839-850. 

  2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Food Code. Seoul, Korea. p 218. 

  26. Trend monitor. 2011. CVS home meal replacement U&A survey. Research Report. Available from http://www.trend monitor.co.kr/html/01_trend/01_korea_view.asp?IDX755 &period&TopSearchList&TopSearchTextconvenience store & LeftCategory&GotoPage1. p 2-35. 

  27. Kim YJ, Jeon ER, Yoo MJ, Jung LH. 2012.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ing syste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96-806. 

  28. Ahn SJ. 1989. A study on images and consumption about instant food of homemakers in Kyung-ki do area. Korean J Food Culture 5: 75-90. 

  29. Kwon KI, Yoon SW, Kim SJ, Kang HN, Kim HN, Kim JY, Kim SY, Kim KL, Lee JH, Jung SM, Ock SW, Lee EJ, Kim JW, Kim MC, Park HK. 2010. A survey on customers' perceptions of nutrition labeling for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Korean J Nutr 43: 181-188. 

  30. Neuhouser ML, Kristal AR, Pattersom RE. 1999. Use of food nutrition labels is associated with lower fat intake. J Am Diet Assoc 99: 45-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