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편의점 편의식 섭취 빈도에 따른 식습관 및 식품첨가물 관련 인식
Dietary Habits and Perception Toward Food Additiv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 at Convenience Stor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eongju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2, 2016년, pp.140 - 151  

배문경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 at convenience stores, dietary habits, and perception as well as knowledge of food additives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352 university students in Cheongju, Korea, and data was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주 지역의 남녀 대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식사용으로 편의점에서 편의식을 섭취하는 빈도를 조사하고, 편의점 편의식 섭취 빈도에 따라 대상자를 구분하여 식습관, 식품첨가물 관련 인식 및 지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식사대용 편의점 편의식 섭취 횟수에 서는 일주일에 2~3회 정도 이용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42.
  •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초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점 편의식 섭취 빈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식습관, 식품첨가물 관련 인식 및 지식을 평가하여 대학생의 편의점 편의식 섭취와 관련된 요인들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조사되었다.
  • 또한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들이 중·고등학생[20,21], 주부[22]를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주관적 인식과 편의식 섭취 빈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사용으로 편의점에서 편의식을 섭취하는 빈도를 조사하고, 편의점 편의식 섭취 빈도에 따른 식습관, 식품첨가물 관련 인식 및 지식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빈번한 편의점 편의식 섭취와 관련된 요인들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의식품이란?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산업발전은 식생활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식품산업의 발달과 편리성을 추구 하는 경향의 증가와 함께 편의식품의 보편화를 형성하였다. 편의식품은 미리 어느 정도의 처리가공을 거침으로써 간단한 조리절차에 의하여 먹을 수 있도록 가공된 식품으로[1], 가열하거나, 가열하지 않고 즉석에서 먹을 수 있는 식품을 칭한다[2]. 그러나 이러한 편의식품들은 고열량, 고지방, 고염 식이 대부분이고, 식이섬유, 비타민 C, 엽산, 칼슘, 철 등은 낮아, 이들의 지나친 섭취는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3-6].
편의점 편의식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에 사용되는 문항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편의점 편의식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에는 편의점에서 편의식을 이용하는 시간, 1회 소비금액, 편의점 편의식 섭취 이유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편의점 편의식 섭취빈도는 면류(라면, 우동 등), 김밥류(김밥, 삼각김밥 등), 샌드위치 및 버거류, 레토르트식품(떡볶이, 덮밥 등), 도시락, 냉동식품(냉동만두, 튀김 등)에 대해 주 1회를 기준으로 1점을 부여하여, 0점(거의 먹지 않음)부터 0.
대학생을 포함한 20대가 편의식품을 섭취하는 이유는? 하지만 대학생을 포함한 20대는 젊고 건강하다는 생각에 대부분 건강에 관한 관심이 낮고[10], 불규칙한 식사, 아침 결식, 잦은 외식 및 야식, 편의식품 이용 증가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보인다[9, 11-14]. 편의식품을 섭취하는 이유로는 빠르고 쉽게 식사를 해결하기 위함이었으며,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데워먹는 조리방법을 선호하였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Im JB, Seo BS, Lee HG, Chang YK. Life style and dietary pattern. J Korean Home Econ Assoc 1990; 28(3): 33-52 

  2. Lim YS, Park HR, Han GJ. Comparison of preference for convenience and dietary attitude in college students by sex in Seoul and Kyunggi-do area. J Korean Diet Assoc 2005; 11(1): 11-20. 

  3. Jung EY, Lim YH, Park MS, Kim MW. A survey of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2): 149-155. 

  4. Choi NJ. A study of nutrient content and consumption pattern of fast foods. Korean Consumer Agency; 2003 Mar. 

  5. Kim KN, Park EJ. Nutrient density of fast-food consum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ngju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3): 271-280. 

  6. Ji HJ, Kim SK, Yon MY, Hyun TS. Folate content of fast foods and processed foods. Korean J Nutr 2009; 42(4): 397-405. 

  7. Lee YS.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food additives on dietary life in Seoul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2010. 

  8. Kang HJ, Byun KW. Effect of two-year course of food and nutrition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food habits of junior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6): 750-759. 

  9. Kim MH, Kim H, Lee WK, Kim SJ, Yeon JY.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372-385. 

  10. Lee SL, Lee SH. Survey on health-related factor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2): 96-108. 

  11. Ko M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dietary habits and body compos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Nutr Res Pract 2007; 1(2): 131-142. 

  12. Kim KH.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2): 181-191. 

  13. Lee KA, Cho EJ, Yoon HS. A study o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Changwon and Masan area. J Korean Diet Assoc 2010; 16(3): 279-290. 

  14. Kim HK, Kim JH, Jung HK. A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habi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weight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Korean J Nutr 2012; 45(4): 336-346. 

  15. Moon SJ, Yoon HJ, Kim JH, Lee YJ.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convenience foods by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 Cult 1998; 13(3): 227-239. 

  16. Han MH, Cho KB, Lyu ES. Study on consumption patterns and degree of checking food-nutrition labeling of convenience foods at convenience stores by young adult worker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2): 309-317. 

  17. Kim SJ, Bu SY, Choi MK. Preference and the frequency of processed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3): 188-196. 

  18. You JS, Chin JH, Kim MJ, Chang KJ.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by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2008; 41(8): 818-831. 

  19. Park EJ. Perception and consumption status of food labeling of processed foods among college students in Daegu? Gyeo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3; 23(6): 671-680. 

  20. Kim EJ, Na HJ, Kim YN. Awareness on food additives and purchase of processed foods containing food additive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Human Ecol 2007; 16(1): 205-218. 

  21. Jung HY, Jung LH. Recognition of food additiv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09; 21(4): 1-17. 

  22. Han MY, Ahn MS. A study on the purchase action of processed foods and the recognition for food additives of urban housewives. Korean J Diet Cult 1998; 13(2): 119-126. 

  23.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Guideline for treatment of obesity.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p. 17-21. 

  24. Chang SO. The amount of sodium in the processed foods, the use of sodium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 and the acceptance of sodium reduced ramen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2006; 39(6): 585-591. 

  25. Kim JR. A report on quality examination of Triangular Kimbab at convenience stores. Korean Consumer Agency; 2013 Jul.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2015 Dec. Report No. 11702. 

  27. Chung EJ, Shim EG.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5): 578-588. 

  28. Choi JG, Shin MK, Seo ES. A study on self-evaluated obesity and food habits by residence type of college students in Ik-San area. Korean J Human Ecol 2004; 13(1): 97-110. 

  29. Choi MK, Jun YS, Park MK. A study on eating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of self-boarding and home with parents in Chungnam. J Korean Diet Assoc 2000; 6(1): 9-16. 

  30. Kim HC, Kim MR. Analysis on recognition, pract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s regarding food additives of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4; 24(5): 572-584. 

  31. Jeon SI. Problems in the delivery of food additives information and government strategies for the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6 No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