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산지 및 품종에 따라 조제된 홍국균 균사체-고체발효 원두커피의 생리활성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Coffee Fermented Using Monascus purpureus Mycelium Solid-state Culture Depends on the Cultivation Area and Green Coffees Variety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1, 2014년, pp.79 - 86  

김훈 ((주)코시스바이오 기업부설연구소) ,  유광원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백길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신지영 ((주)코시스바이오 기업부설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커피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진균류 균사체의 고체배양을 이용하여 발효커피를 조제하였으며, 홍국균(Monascus sp.) 균사체를 이용하여 조제한 발효커피가 비발효 일반커피 또는 다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조제한 발효커피에 비해 생리활성이 우수하게 증진됨을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를 이용하여 각각 홍국균(M. purpureus, MP) 균사체를 고체배양한 발효커피로 조제하고 이들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기 다른 공급업체를 통하여 구입한 30종의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는 홍국균(MP) 균사체의 최적발효조건을 통해 배양되었으며, 동일조건에서 중배전 후 열수추출물로 조제되었다. 열수추출물 중에서 MP-Mandheling은 가장 우수한 추출수율을 나타내었으며(13.6-15.5%), MP-Robusta는 가장 우수한 총 폴리페놀 함량(3.03 mg GAE/100 mg) 및 ABTS 라디칼 억제능(27.11 mg AEAC/100 mg)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MP-Robusta는 $1,000{\mu}g/mL$의 시료농도에서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의 TNF-${\alpha}$ 생성을 가장 우수하게 억제하였을 뿐 아니라(LPS 유도군의 67.1% 억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항지질대사 활성을 나타내었다(분화 대조군의 22.2% 억제). 결론적으로, M. purpureus 균사체의 고체배양을 이용한 베트남산 로부스타 발효커피는 기능성 커피음료 및 기능성소재로의 활용등의 산업적인 응용에 좋은 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revious work, we fermented coffee beans using solid-state culture with various fungal mycelia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coffee. The coffee fermented with Monascus sp. showed a higher physiological activity than non-fermented coffee or other coffees fermented with mushroom my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홍국균 균사체-고체발효 원두커피의 다양한 생리활성의 증진을 확인한 이전의 연구결과(23)를 바탕으로, 홍국균 균사체의 고체발효를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에 적용하여 이들의 발효특성 및 각각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산업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KFDA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식품으로 사용이 허가된 홍국균 균사체(M. Purpureus, MP)를 이용하여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에 각각 고체발효시켜 각각의 홍국균 균사체(MP)-고체발효 커피생두를 조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P-고체발효 원두커피 열수추출물 30종이 LPS로 유도된 RAW 274.7 세포의 TNF-α, IL-6 및 NO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로 하였다.
  • ) 균사체를 이용하여 조제한 발효 커피가 비발효 일반커피 또는 다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조제한 발효커피에 비해 생리활성이 우수하게 증진됨을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를 이용하여 각각 홍국균(M. purpureus, MP) 균사체를 고체배양한 발효커피로 조제하고 이들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기 다른 공급업체를 통하여 구입한 30종의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 생두는 홍국균(MP) 균사체의 최적발효조건을 통해 배양되었으며, 동일조건에서 중배전 후 열수추출물로 조제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홍국균-고체 발효 원두커피의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다양한 유통경로를 통해 확보한 30여종의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에 홍국균의 고체배양을 통해 각각의 발효커피로 조제하고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홍국균-고체발효 커피를 선정하고, 이를 산업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홍국균 균사체-고체발효 원두커피의 다양한 생리활성의 증진을 확인한 이전의 연구결과(23)를 바탕으로, 홍국균 균사체의 고체발효를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에 적용하여 이들의 발효특성 및 각각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산업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KFDA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식품으로 사용이 허가된 홍국균 균사체(M.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홍국균-고체 발효 원두커피의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다양한 유통경로를 통해 확보한 30여종의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에 홍국균의 고체배양을 통해 각각의 발효커피로 조제하고 생리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홍국균-고체발효 커피를 선정하고, 이를 산업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4)Control is only saline without extrac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높은 이유는? 브라질, 콜롬비아 등 중미와 남미에서는 대부분의 아라비카가 생산되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로부스타가 주로 생산된다. 커피에는 다른 식품에 비해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 성분 함량이 높아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1,2). Kim 등(3)은 최근 시판 커피 한 컵에 함유된 caffeine과 chlorogenic acid 등의 생리활성 성분과 항산화활성에 대해 보고하였으며, Chu 등(4)은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lipophilic antioxidant와 chlorogenic acid 등이 커피생두보다 로스팅한 원두커피에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는 결과도 보고하였다.
커피 중 상업적으로 재배하는 품종들의 각 생산량 비율은 어떠한가? )와 로부스타(Coffea canephora) 및 리베리카(Coffea liberica)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향기와 맛이 좋아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는 아라비카종은 전 세계 산출량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은 30%의 대부분은 로부스타종이고, 리베리카종은 2-3%밖에 생산되지 않는다. 브라질, 콜롬비아 등 중미와 남미에서는 대부분의 아라비카가 생산되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로부스타가 주로 생산된다.
커피는 어떤 음료인가? 커피는 쓴맛, 떫은맛, 신맛, 단맛 등이 조화되어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음료로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음용되고 있는 기호식품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커피전문점 확산과 자가소비 증가 등 커피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커피는 꼭두서니과(Rubiaceae) 코페아속(Coffea)에 속하며, 상업적으로 재배하는 품종은 크게 아라비카 (Coffea arabica 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rezova V, Slebodova A, Stasko A. Coffee as a source of antioxidants: An EPR study. Food Chem. 114: 859-868 (2009) 

  2. Esquivel P, Jimenez VM. Functional properties of coffee and coffee by-products. Food Res. Int. 46: 488-495 (2012) 

  3. Kim MJ, Park JE, Lee JH, Choi NR, Hong MH, Pyo YH. Antioxidant capacity and bioactive composition of a single serving size of regular coffee varietie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99-304 (2013) 

  4. Chu YF, Brown PH, Lyle BJ, Chen Y, Black RM, Williams CE, Lin YC, Hsu CW, Cheng IH. Roasted coffees high in lipophilic antioxidants and chlorogenic acid lactones are more neuroprotective than green coffees. J. Agr. Food Chem. 57: 9801-9808 (2009) 

  5. Eskelinen MH, Ngandu T, Tuomilehto J, Soininen H, Kivipelto M. Midlife coffee and tea drinking and the risk of late-life dementia: a population-based CAIDE study. J. Alzheimer's Dis. 16: 85-91 (2009) 

  6. Hu G, Bidel S, Jousilahti P, Antikainen R, Tuomilehto J. Coffee and tea consumption and the risk of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2: 2242-2248 (2007) 

  7. Chu YF, Chen Y, Black RM, Brown PH, Lyle BJ, Liu RH, Ou B. Type 2 diabetes-related bioactivities of coffee: Assessment of antioxidant activity, NF-B inhibition, and stimulation of glucose uptake. Food Chem. 124: 914-920 (2011) 

  8. Choi EY, Jang JY, Cho YO. Coffee intake can promot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with increasing MDA level and decreasing HDL-cholesterol in physically trained rats. Nutr. Res. Pract. 4: 283-289 (2010) 

  9. Chou T. Wake up and smell the coffee. Caffeine, coffee and the medical consequences. West J. Med. 157: 544-553 (1992) 

  10. Klatsky AL, Morton C, Udaltsova N, Friedman GD. Coffee, cirrhosis, and transaminase enzymes. Arch. Intern. Med. 166: 1190-1195 (2006) 

  11. Lopez-Garcia E, van Dam RM, Willett WC, Rimm EB, Manson JE, Stampfer MJ, Rexrode KM, Hu FB. Coffee consump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and women: a prospective cohort study. Circulation 113: 2045-2053 (2006) 

  12. Kang KJ, Choi SS, Han HK, Kim KH, Kwon SS. Effects of instant coffee on weight, plasma lipids, leptin, and fat cell size in rats fed on a high 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78-483 (2004) 

  13. Mackay DC, Rollins JW. Caffeine and caffeinism. J. R. Nav. Med. Serv. 75: 65-67 (1989) 

  14. Yano K, Rhoads GG, Kagan A. Coffee, alcohol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Japanese men living in Hawaii. N. Engl. J. Med. 297: 405-409 (1977) 

  15. LaCroix AZ, Mead LA, Liang KY, Thomas CB, Pearson TA. Coffee consumption and the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N. Engl. J. Med. 315: 977-982 (1986) 

  16. Donahue RP, Orchard TJ, Stein EA, Kuller LH. Lack of an association between coffee consumption and lipoprotein lipids and apolipoproteins in young adults: The Beaver County Study. Prev. Med. 16: 796-802 (1987) 

  17. de Roos B, Sawyer JK, Katan MB, Rudel LL. Validity of animal models for the cholesterol-raising effects of coffee diterpenes in human subjects. Proc. Nutr. Soc. 58: 551-557 (1999) 

  18. Blanc PJ, Loret MO, Santerre AL, Pareilleux A, Prome D, Prome JC, Laussac JP, Goma G. Pigments of Monascus. J. Food Sci. 59: 862-864 (1994) 

  19. Ma J, Li Y, Ye Q, Li J, Hua Y, Ju D, Zhang D, Cooper R, Chang M. Constituents of red yeast rice, a traditional Chinese food and medicine. J. Agr. Food Chem. 48: 5220-5225 (2000) 

  20. Endo A. Monacolin-K, a new hypocholesterolemic agent produced by Monascus species. J. Antibiot. 32: 852-854 (1979) 

  21. Manzoni M, Rollini M. Biosynthesis and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statins by filamentous fungi and application of these cholesterol-lowering drugs. Appl. Mocrobiol. Biotechnol. 58: 555-564 (2002) 

  22. Wang IK, Lin-Shiau SY, Chen PC, Lin JK. Hypotriglyceridemic effect of Anka (a fermented rice product of Monascus sp.) in rats. J. Agr. Food Chem. 48: 3183-3189 (2000) 

  23. Shin JY, Kim H, Kim DG, Baek GH, Jeong HS, Yu KW.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offee roasted from fermented green coffee beans with fungal mycelia in solid-state cul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87-496 (2013) 

  24.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 Food. Chem. 46: 4113-4117 (1998) 

  25.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006) 

  26. Fox JB. Kinetics and mechanisms of the Griess reaction. Anal. Chem. 51: 1493-1502 (1979) 

  27. Ishiya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 1518-1520 (1996) 

  28. Hecimovic I, Belscak-Cvitanovic A, Horzic D, Komes D. Comparative study of polyphenols and caffeine in different coffee varieties affected by the degree of roasting. Food Chem. 129: 991-1000 (2011) 

  29. Yen WJ, Wang BS, Chang LW, Duh PD. Antioxidant properties of roasted coffee residues. J. Agr. Food Chem. 53: 2658-2663 (2005) 

  30. Sato Y, Itagaki S, Kurokawa T, Ogura J, Kobayashi M, Hirano T, Sugawara M, Iseki K.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properties of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Int. J. Pharm. 403: 136-138 (2011) 

  31. Trugo LC, Macrae R. A study of the effect of roasting on the chlorogenic acid composition of coffee using HPLC. Food Chem. 15: 219-229 (1984) 

  32. Trugo LC, Macrae R. Chlorogenic acid composition of instant coffee. Analyst 109: 263-266 (1984) 

  33. Clifford MN, Jarvis T. The chlorogenic acids content of green robusta coffee beans as a possible index of geographic origin. Food Chem. 29: 291-298 (1988) 

  34. Cho W, Nam JW, Kang HJ, Windono T, Seo EK, Lee KT. Zedoarondiol isolated from the rhizoma of Curcuma heyneana is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iNOS,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via the downregulation of NF-B pathway in LPS-stimulated murine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9: 1049-1057 (2009) 

  35. Yun HJ, Heo SK, Yi HS, Kim CH, Kim BW, Park SD. Antiinflammatory effect of Injinho-tang in RAW 264.7 cells. Kor. J. Herbology 23: 169-178 (2008) 

  36. Seymour RM, Henderson B. Pro-inflammatory-anti-inflammatory cytokine dynamics mediated by cytokine-receptor dynamics in monocytes. IMA J. Math. Appl. Med. Biol. 18: 159-192 (2001) 

  37. Cho AS, Jeon SM, Kim MJ, Yeo JY, Seo KI, Choi MS, Lee MK. Chlorogenic acid exhibits anti-obesity property and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obese mice. Food Chem. Toxicol. 48: 937-943 (2010) 

  38. Hsu CL, Huang SL, Yen GC. Inhibitory effect of phenolic acids on the prolife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in relation to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4: 4191-4197 (2006) 

  39. Endo A. Monacolin K, a new hypocholesterolemic agent that specifically inhibits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 J. Antibiot. 33: 334-336 (1980) 

  40. Endo A, Hasumi K, Negishi S. Monacolin J and L, new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produced by Monascus ruber. J. Antibiot. 38: 420-422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