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과 업무스트레스 및 업무수행능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Stress from Work and Work Capability of New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4, 2014년, pp.628 - 638  

방순식 (삼육대학교 대학원) ,  김일옥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 among the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EFNSP), work capability and stress from work experienced by new clinical nurses. Method: This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224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수행 빈도와 수행자신감을 파악하고, 그들이 지각하는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업무수행능력, 업무스트레스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핵심기본간호술 교육 강화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빈도와 자신감이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업무수행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횡단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근무하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핵심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업무수행능력, 업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효율적인 신규간호사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핵심기본간호술 교육 강화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근무하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빈도를 조사하고, 그들이 지각하는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업무수행능력, 업무스트레스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 향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추후 핵심 기본간호술 교육 강화 중요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 따라서 핵심실기기본간호술 교육을 받고 졸업하여 임상현장에 투입된 신규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정도와 수행자신감이 간호업무에의 적응 정도를 평가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핵심실기수행능력과 임상적응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업무수행능력과 소진 및 이직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유도하는 업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핵심기본간호술교육 방안과 신규간호사의 업무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간호사가 받는 업무스트레스의 원인은 무엇인가? 신규간호사는 간호업무에서 요구되는 전문지식 및 기술, 3교대근무, 책임의 한계 증가, 복잡 미묘한 대인관계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여 업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Kim & Choi, 2003). 특히 3년 미만의 간호사는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Byeon, 2009)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과 실제 업무수행이 일치하지 않아 좌절감을 경험하고(Hwang, 2003), 환자와 보호자와의 갈등(Lee et al.
신규간호사들이 임상현장에 적응력을 높이기 위하여 간호업무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무지식 및 기술에 대한 충분한 습득과 연습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신규간호사는 간호업무에서 요구되는 전문지식 및 기술, 3교대근무, 책임의 한계 증가, 복잡 미묘한 대인관계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여 업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Kim & Choi, 2003). 특히 3년 미만의 간호사는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Byeon, 2009)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과 실제 업무수행이 일치하지 않아 좌절감을 경험하고(Hwang, 2003), 환자와 보호자와의 갈등(Lee et al., 2002) 등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한다. 스트레스 상태에 있는 간호사는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으로 기능이 저하되고 환자 간호 시에 잦은 실수를 하게 되고, 간호업무에 흥미를 상실하고 위축되며, 업무수행능력이 저하되고 직무만족도가 저하되어 소진상태에 이르게 되어 이직의도가 높다(Lee et al., 2002).
기본간호술이란 무엇인가? 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여러 가지 능력 중에서 가장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실무능력으로 간호사들이 어느 의료현장에서든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기술(Lee, Park, & Jung, 2012)을 의미한다. 기본간호술은 대학에서의 실습교육이 기초가 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KABON])에서 간호학과 졸업생들의 이론과 임상실습 교육 시 핵심적 간호수행능력을 확인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핵심기본간호술 항목 프로토콜 및 평가채점표를 개발하였다(KABO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derson, T., Linden, L., Allen, M., & Gibbs, E. (2009). New graduate RN work satisfaction after completing an interactive nurse residency.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9(4), 165-169. 

  2. Benner, P. (1984). From novice to expert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Bost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 Byeon, E. S.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wly graduated nurses' intention to turnover and job stress/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Faul. F., Erdfelder. E., Lang. A.-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5. Han, S. S., Sohn, I. S., & Kim, N. E. (2009).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78-887.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78 

  6.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2). A survey on distribution of hospital nursing personnels. Retrieved 2014. 6. 22. from http://www.khna.or.kr 

  7. Hwang, S. Y. (2003).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8. Jeong, M. S. (2008). A survey for examining the correlations among OSCE results, self-efficacy and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9. Kim, H. Y. (2012). The effect of precep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tress and clinical performance among new graduate nurse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10. Kim, M. J., & Koo, M. O.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2), 28-37. 

  11. Kim, M. S., & Choi, S. O. (2003). Concept analysi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9(1), 19-30. 

  12. Kim, Y. H., Hwang, S. Y., & Lee, A. Y. (2014). Perceived confidence in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37-46.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37 

  1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2). Evaluative items for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of accreditation for nursing education.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14. Korea Nurses Association. (2014). Contrary statement for increasing number students of nursing department 2015. Seoul: Retrieved 2014. 6. 22. from http://www.koreanurse.or.kr 

  15. Lee, E. J. (2002).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general hospital nurses' intention to leave the job.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Lee, S. J., Kang, M. K., Kwan, S. H., Song, K. H., Lee, J. H., & Choi, J. H., et al. (2002). A study on job stress between experienced versus new nurse.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6(1), 89-99. 

  17. Lee, W. H., & Kim, J.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6), 925-932. 

  18. Lee, S. K., Park, S. N., & Jung, S. H. (2012). Nursing co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fields of nursing practice for graduates in nursing.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4), 460-47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60 

  19. Lee, W. H., Kim, J. J., Yoo, S. J., Heo, H. K., Kim, K. S., Lim, S. M., et al. (1990). Development of work capability measur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Yonsei Nursing. 13(1), 17-29. 

  20. Park, J. Y. (2011).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competence of new staff nurse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1. Park, K. S. (2013).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22. Shin, Y. W., Lee, H. J., & Lim, Y. J. (2010).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1), 37-47. 

  23. Song, G. H. (2007). The conceptual structure of nursing experti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4. Yoo, K. H., Um, Y. R., Suh, Y. O., Song, R. Y., June, K. J., Cho, N, O., et al. (2000). The comparison between nursing graduates' performance and clinical nurses' performance of clinical competenc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1), 147-159. 

  25. Yoon, S. H. (2002). A stud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8(1), 5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