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B형간염환자의 평생건강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Providers' Counseling Manual in Mobile Application for Lifelong Health Car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1, 2014년, pp.108 - 117  

양진향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  이혜옥 ,  유경희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health care providers' counseling manual in mobile application for lifelong health car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Methods: The mobile application was developed using a prototyping approach and system developing life cyc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술이 과업과 적합도가 높을 때 사용도 증가하고성과도 높아질 수 있다는 과업-기술 적합이론(Kim, Kwak, &Lee, 2012)에 따라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을 모바일 앱 형태로 개발하여 활용도와 성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평생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을 개발하여 간호사들에게 4주간 적용한 후 질병관련 전문지식과 상담자 자기효능감 정도의 변화를 단일군 전후설계로 확인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평생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을 개발하여 간호사들에게 적용한 후 질병관련 전문지식과 상담자 자기효능감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이다. 본 연구의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은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은 모바일 앱의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건강관리자의 상담능력을 개발함으로써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형성을 통하여 질병특성 및 건강관리양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중재활동을 수행하여 대상자의 평생 건강관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의 목표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평생건강관리를 위해 건강관리자의 효과적인 건강 상담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먼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여 질병특성 및 건강관리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개별 특성에 따른 중재활동을 수행하여 대상자의 평생건강관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는 개발된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을 B형 간염환자 간호를 담당하는 간호사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질병관련 전문지식과 상담자자기효능감 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달성되었다고 볼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일선 간호사들이 만성 B형 간염환자들의 평생 건강관리를 효과적으로 담당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을 모바일 앱의 형태로 구현하여 활용하도록 하고, 나아가 이러한 상담매뉴얼 적용이 사용자인 간호사들의 질병관련 전문지식과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모바일 앱을 통한 건강관리자의 상담능력향상과 효과적인 활용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은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은 모바일 앱의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건강관리자의 상담능력을 개발함으로써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형성을 통하여 질병특성 및 건강관리양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중재활동을 수행하여 대상자의 평생 건강관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B형간염 환자의 평생 건강관리를 위해 대상자별 특성에 맞춘 상담중심의 건강관리자용 매뉴얼을 모바일 앱으로 개발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의 목표는 만성 B형간염 환자의 평생건강관리를 위해 건강관리자의 효과적인 건강 상담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먼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여 질병특성 및 건강관리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개별 특성에 따른 중재활동을 수행하여 대상자의 평생건강관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는 개발된 건강관리자용 상담매뉴얼을 B형 간염환자 간호를 담당하는 간호사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질병관련 전문지식과 상담자자기효능감 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달성되었다고 볼수 있다. 이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인력에게 실무적 역량강화를 위하여 상담매뉴얼을 적용한 연구(Choi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무엇을 유추할 수 있는가? 최근 모바일(Mobile)을 이용한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 개발이 증가하여 사용자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Kim, Koo, Han, & Chang, 2011). 이러한 모바일 앱 활용의 효율성으로 인해 현재 1.6%를 차지하고 있는 의료용 앱이 2015년에는 36.8%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Sim, Seo, Kim, Kim, & Sung, 2012). 의료용 앱은 일반인이나 환자 뿐 아니라 이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의료인에게도 활용도가 높은 정보기술이다.
B형간염 바이러스의 특징은? B형간염 바이러스는 흡연 다음으로 높은 발암인자일 뿐 아니라 원발성 간세포암의 75-90%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American Cancer Society [ACS], 2005),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가 간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는 정상인에 비해 30-100배 높다(Suh, 2008).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5천만명이 만성 B형간염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마다 약 62만 명이 B형간염과 관련된 간질환으로 사망한다(Weinbaum et al.
전 세계적으로 만성 B형간염의 환자 수는? B형간염 바이러스는 흡연 다음으로 높은 발암인자일 뿐 아니라 원발성 간세포암의 75-90%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American Cancer Society [ACS], 2005),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가 간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는 정상인에 비해 30-100배 높다(Suh, 2008).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5천만명이 만성 B형간염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마다 약 62만 명이 B형간염과 관련된 간질환으로 사망한다(Weinbaum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izadeh, A. H., Ranjbar, M., & Yadollahzadeh, M. (2008). Patient concerns regarding chronic hepatitis B and C infection. Eastern Mediterranean Health Journal, 14(5), 1142-1147. 

  2. American Cancer Society. (2005). California cancer facts & figures 2005. Retrieved August 27, 2009, from http://www.ccrcal.org/PDF/ACS2005.pdf 

  3. Burke, N. J., Bird, J. A., Clark, M. A., Rakowski, W., Guerra, C., Barker, J. C., et al. (2009).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self-efficacy. Health Education & Behavior, 36(5 Suppl), 111S-128S. 

  4. Choe, J. H., Chan, N., Do, H. H., Woodall, E., Lim, E., & Taylor, V. M. (2005). Hepatitis B and liver cancer beliefs among Korean immigrants in Western Washington. Cancer, 104(12), 2955-2958. 

  5. Choi, K. W., Lim, J. Y., & Kim, E. J. (2012).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manual for community-based visiting nursing.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12(9), 226-233. 

  6. Chung, Y. C. & Park, H. A. (2000). Development of a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6(1), 53-66. 

  7. Clark, N. M., & Dodge, J. A. (1999). Exploring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disease management. Health Education & Behavior, 26(1), 72-89. 

  8. Dinkmeyer, D., & Sperry, L. (2000).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 integrated individual psychology approach (3rd ed.). Columbus, OH: Merrill/Prentice-Hall. 

  9. Doll, W. J., & Torkzadeh, G. (1998). The measurement of end-user computing satisfaction. MIS Quarterly, 12(2), 257-274. 

  10. Gifford, A. L., & Groessl, E. J. (2002).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and adherence to HIV medications. Journal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s, 31(Suppl 3), S163-S166. 

  11. Hepatitis B Foundation. (2009). What is hepatitis B? Retrieved September 15, 2013, from http://www.hepb.org/hepb 

  12. Kim, C. H., Kwak, H., & Lee, S. W. (2012). An longitudinal empirical study on the growth of mobile app providers in healthcare industry: task-technology fit and real option perspectives. Daehan Journal of Business, 25(8), 3417-3433. 

  13. Kim, E. J., Koo, M. J., Han, W. C., & Chang, Y. H. (2011). An implementation of obesity level management based on android smart phone.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ummer Conference Proceeding, 19(2), 389-392. 

  14. Konzag, T. A., Rubler, D., Bloching, M., Bandemer-Greulich, U., Fikentscher, E., & Frommer, J. (2006). Counselling versus a self-help manual for tinnitus outpatients: a comparison of effectiveness. HNO, 54(8), 599-604. 

  15. Lee, J. W., Kim, J. D., & Ji, A. (2010). A present condition of smartphone health application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Conference Proceeding, 2010(10), 210-211. 

  16. Lee, K. J., Park, S. H., & Park, K. O. (2012). Health counselling and psychology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7. Lee, Y. J. (2011).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in charge of counselling work for training.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11(5), 358-368. 

  18. Levy, A. R., Kowdley, K. V., Iloeje, U., Tafesse, E., Mukherjee, J., Gish, R., et al. (2008). The impact of chronic hepatitis B on quality of life: A multinational study of utilities from infected and uninfected persons. Value in Health, 11, 527-538. 

  19. Park, H. A. (2003).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program for the disabled, Health Promotion Fu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20. Park, H. A., Kim, H. J., Song, M. S., Song, T. M., & Chung, Y. C. (2002). Development of a web-bas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8(3), 37-45. 

  21. Park, M. J. (2002). Knowledge,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n hepatitis in hepatitis B carri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2. Sim, Y. B., Seo, Y. J., Kim, J. M., Kim, S. H., & Sung, D. H. (2012).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 to use the medical application(M-APP) of smart phone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2(2), 249-262. 

  23. Suh, D. J. (2008). Current treatment in chronic hepatitis B.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14(5S), S39-S43. 

  24. Weinbaum, C. M., Williams, I., Mast, E. E., Wang, S. A., Finelli, L., Wasley, A., et al. (2008). Recommendations for identification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of person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7(RR-8), 1-20. 

  25. Yang, J. H.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to promote self manag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2), 259-269. 

  26. Yang, J. H., Cho, M. O., & Lee, H. O. (2009).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ing patterns of health care behavior among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05-817. 

  27. Yang, M. H., & Kim, S. H.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scale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2(5), 1629-1644. 

  28. Yang, M. J., Gao, H. Y., Lee, D. H., & Kim, Y. H. (2012). Development a counseling manual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2, 1-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