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요양병원의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확보수준과 이직률이 입원환자의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Nurse, Nurses' Aid Staffing and Turnover Rate on Inpatient Health Outcom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1, 2014년, pp.21 - 30  

김윤미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이지윤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강현철 (호서대학교 정보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registered nurse/nurses' aid (RN/NA) staffing and turnover rate on inpatient health outcom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was done of national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incl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인력 확보수준을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구분하지 않고 환자 건강결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국내 선행 연구와 차별화하여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구분하여 각 인력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간호인력 이직률을 새롭게 추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건강결과 지표로 욕창에 관한 지표 2개,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관한 지표 3개로 세분하여 간호인력 확보수준과의 인과성을 보다 민감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 간호인력 확보수준을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구분하지 않고 환자 건강결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국내 선행 연구와 차별화하여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구분하여 각 인력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간호인력 이직률을 새롭게 추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건강결과 지표로 욕창에 관한 지표 2개,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관한 지표 3개로 세분하여 간호인력 확보수준과의 인과성을 보다 민감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장기요양영역에서 간호사 확보수준이 요양병원 환자 건강결과에 중요한 요인 임을 확인하고, 간호조무사가 간호사를 대체하고 있는 요양병원의 상황에서 환자 건강결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 확보수준 중심으로 접근하여 간호인력의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하는 과학적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간호사, 간호조무사 확보수준과 이직률이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국가단위의 요양기관 정보공개 자료를 분석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간호사, 간호조무사 확보수준과 이직률이 입원환자의 욕창,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의 환자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간호사 확보수준은 치매환자군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감퇴 환자비율, 고위험군 욕창 발생률, 욕창악화환자비율 등 3개 결과지표에 영향을 주고, 간호조무사의 확보수준은 저위험군 욕창발생률에 영향을 주며 간호인력 이직률은 5개 지표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요양병원의 간호사 확보수준이 환자 건강결과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또한, 건강결과 지표로 욕창에 관한 지표 2개,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관한 지표 3개로 세분하여 간호인력 확보수준과의 인과성을 보다 민감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장기요양영역에서 간호사 확보수준이 요양병원 환자 건강결과에 중요한 요인 임을 확인하고, 간호조무사가 간호사를 대체하고 있는 요양병원의 상황에서 환자 건강결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 확보수준 중심으로 접근하여 간호인력의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하는 과학적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요양병원 간호사, 간호조무사 확보수준과 이직률이 환자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ong HJ, Chae JM, Park J. Development of payment for performance model according to evaluation of benefit adequacy of long term care hospitals.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May. Report No.: F88-2013-45.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Evaluation report of long term care hospitals in third year. Seoul: Author; 2011. 

  3. Rantz MJ, Hicks L, Grando V, Petroski GF, Madsen RW, Mehr DR, et al. Nursing home quality, cost, staffing, and staff mix. The Gerontologist. 2004;44(1):24-38. 

  4. Comondore VR, Devereaux PJ, Zhou Q, Stone SB, Busse JW, Ravindran NC, et al. Quality of care in for-profit and not-for-profit nursing h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09;339:b2732. http://dx.doi.org/10.1136/bmj.b2732 

  5. Spilsbury K, Hewitt C, Stirk L, Bowman C.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staffing and quality of care in nursing home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1;48(6):732-750.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1.02.014 

  6. Castle NG, Anderson RA. Caregiver staffing in nursing homes and their influence on quality of care: Using dynamic panel estimation methods. Medical Care. 2011;49(6):545-552. http://dx.doi.org/10.1097/MLR.0b013e31820fbca9 

  7. Bostick JE, Rantz MJ, Flesner MK, Riggs CJ.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f staffing and quality in nursing hom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06;7(6):366-376. http://dx.doi.org/10.1016/j.jamda.2006.01.024 

  8. Arling G, Kane RL, Mueller C, Bershadsky J, Degenholtz HB. Nursing effort and quality of care for nursing home residents. The Gerontologist. 2007;47(5):672-682. 

  9. Zhang X, Grabowski DC. Nursing home staffing and quality under the nursing home reform act. The Gerontologist. 2004;44(1):13-23. 

  10. Lee JY, Park EK, Yoon JY, Song SH. The current status of long-term care hospital.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7 December. Report No.: K42-2007-51. 

  1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Information of benefit criteria [Internet]. 2010 [cited 2013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30010000000. 

  12. Lee JY, Kim EY, Cho E. Factors impacting the physical function of older adults in Korea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6):780-787. http://dx.doi.org/10.4040/jkan.2011.41.6.780 

  13. Yoon JY, Lee JY, Bowers BJ, Zimmerman DR.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urinary incontinence care quality in long-term care hospitals: A longitudinal correl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12):1544-1551.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2.07.011 

  14. Lee SH.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service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3):409-421. http://dx.doi.org/10.4040/jkan.2009.39.3.409 

  15. Zinn JS, Weech RJ, Brannon D. Resource dependence and institutional elements in nursing home TQM adoption. Health Services Research. 1998;33(2 Pt 1):261-273. 

  16. Mukamel DB, Spector WD, Limcangco R, Wang Y, Feng Z, Mor V. The costs of turnover in nursing homes. Medical Care. 2009;47(10):1039-1045. http://dx.doi.org/10.1097/MLR.0b013e3181a3cc62 

  17. Katz MH. Multivariable analysis: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London,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8. Collier E, Harrington C. Staffing characteristics, turnover rates, and quality of resident care in nursing facilities.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2008;1(3):157-170. http://dx.doi.org/10.3928/00220124-20091301-03 

  19. Corazzini KN, Anderson RA, Rapp CG, Mueller C, McConnell ES, Lekan D. Delegation in long-term care: Scope of practice or job description? The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2010;15(2):Manuscript 4. http://dx.doi.org/10.3912/OJIN.Vol15No02Man04 

  20. Flynn L, Liang Y, Dickson GL, Aiken LH.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on quality outcom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0;58(12):2401-2406.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0.03162.x 

  21. Zinn JS, Aaronson WE, Rosko MD. Variations in the outcomes of care provided in Pennsylvania nursing homes. Facility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Medical Care. 1993;31(6):475-487. 

  22. Castle NG. Nursing homes with persistent deficiency citations for physical restraint use. Medical Care. 2002;40(10):868-878. http://dx.doi.org/10.1097/01.mlr.0000027357.74348.20 

  23. Harrington C, Swan JH. Nursing home staffing, turnover, and case mix.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2003;60(3):366-392; discussion 393-369. http://dx.doi.org/10.1177/1077558703254692 

  24. Bostick JE. Relationship of nursing personnel and nursing home care quality.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4;19(2):130-136. 

  25. Hendrix TJ, Foreman SE. Optimal long-term care nurse-staffing levels. Nursing Economics. 2001;19(4):164-175. 

  26. Castle NG, Engberg J. Staff turnover and quality of care in nursing homes. Medical Care. 2005;43(6):616-6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