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 노인의 삶의 질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1, 2014년, pp.75 - 85  

오지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individual factors, physiologic factors, symptoms, environmental factors, functional status and health perception predict the quality of life (QOL) for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o i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ilson과 Cleary[10]에 따르면 임상 전문가들은 진단적 기준에만 근거하여 증상과 질병 중심적인 생리적인 변수들의 영향만을 과도하게 측정할 뿐 환자가 지닌 기능 제한이나 환자의 지각된 건강 상태를 사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Wilson과 Cleary[10]가 제안한 모형은 환자의 기능 상태와 건강 지각 이라는 주요 잠재 변수도 함께 포함하여 5가지의 건강결과 측정치들(생리적 요인, 증상, 기능 상태, 건강 지각, 삶의 질)을 분류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임상적인 변수들 사이의 특별한 원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5가지의 건강 결과 측정치들과 함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간의 관계를 분류하고 분석하였는데, 개인적 요인은 개인에 대한 특이적 기술이며, Henderson등[17]의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인적 요인에는 인구학적 요인인 연령, 결혼 상태, 종교와 학력을 포함하였다.
  • 또한, Wilson과 Cleary 모형에서 증상은 비정상적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대한 환자의 지각으로서 주관적으로 정의되는 것이라고 하였다[18].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우울은 환자에게서 표현되는 주관적 증상의 범주에 넣고자 한다. 기능 상태는 어떤 일과 업무를 수행하는 개인의 능력이며[10], 이러한 기능 상태는 신체 활동의 특이적이고 일반적인 도구로 사정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퇴행성 관절염 노인들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서 퇴행성 관절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개인적 요인, 생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건강 지각 외에 증상과 기능 상태의 직·간접 경로를 포함시킨 모형을 가설적으로 구축하고 이 모형을 실제 대상자들에게 적용함으로써 퇴행성 관절염 노인에게 적합한 삶의 질 모형을 구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것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Wilson과 Cleary[10]의 삶의 질 모형을 토대로 하여 선행 연구를 근간으로 퇴행성 관절염 노인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영향 요인들을 종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 모형 구축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Wilson과 Cleary[10]가 제안한 삶의 질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퇴행성 관절염 노인을 위한 삶의 질 모형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 그러므로 본 연구의 표적 집단은 퇴행성 관절염 외래 환자의 빈도수가 제일 많은 경기도의 K시에 거주하는 노인들 중 노인 대부분이 많이 이용하는 K시의 보건소 한 곳과 세 곳의 노인정을 방문하는 노인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만 65세 이상의 퇴행성 관절염 노인으로 전문의로부터 최소 6개월 전에 방사선 촬영 후 슬관절, 고관절 및 기타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을 진단 받고 지속적인 통증이 있는 대상자로 보건소 및 노인정으로 자가 보행 방문이 가능한 대상자이다. 총 191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설문지 작성 중 연구 참여 중단을 원했던 대상자 5명과 불성실한 응답으로 분석이 불가능한 6명을 제외한 총 180명을 분석하였다.
  • Schulz 등[13]은 환자에게서 객관적으로 관찰되는 동반 질환의 수를 객관적 건강 측정치라고 하였으며, 이는 생리적 요인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생리적 요인에 유병기간, 동반질환의 수,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수술을 포함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증상에는 통증, 관절 강직과 우울을 분석하였는데 Wilson과 Cleary[10]도 비록 우울이 생리적 요인인지 심리적 기능 상태에 포함되는지 논란이 있으나 우울을 환자에 의해 표현되는 주관적인 증상이라고 정의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Wilson과 Cleary 모형을 기반으로 퇴행성 관절염 노인의 개인내의 특성들을 잘 반영해주는 개인적 요인, 사회적·환경적 지지를 반영해 주는 환경적 요인, 질환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는 생리적 요인, 증상, 기능 상태 그리고 건강 지각과 삶의 질 개념을 포함하고 있어 퇴행성 관절염 노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 모형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모형이다.
  • 기능 상태는 어떤 일과 업무를 수행하는 개인의 능력이며[10], 이러한 기능 상태는 신체 활동의 특이적이고 일반적인 도구로 사정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경험하는 질병 특이적인 신체 기능 제한 정도를 측정하였다. 건강 지각은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생리적 요인, 증상, 기능 상태와 복합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개인이 얼마나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지각하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egal NA, Wallace R. Tolerance of an aquatic power training program by older adults with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Arthritis. 2012;2012:895495. http://dx.doi.org/10.1155/2012/895495 

  2. Son CK, Doh SR, Jang YS, Kim EJ, Shin ES, Jin JH. 2011 Patient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3. Brady T. Strategies to support self-management in osteoarthritis: Five categories of interventions, including education. Orthopaedic Nursing. 2012;31(2):124-130. http://dx.doi.org/10.1097/NOR.0b013e31824fcf47 

  4. Alkan BM, Fidan F, Tosun A, Ardicoglu O. Quality of life and self-reporte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Modern Rheumatology. 2014;24(1):166-171. 

  5. Kim IJ, Kim HA, Seo YI, Jung YO, Song YW, Jeong JY, et al. Prevalence of knee pain and its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function in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A community based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1;26(9):1140-1146. http://dx.doi.org/10.3346/jkms.2011.26.9.1140 

  6. Ozcetin A, Ataoglu S, Kocer E, Yazici S, Yildiz O, Ataoglul A, et al.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knee osteoarthritis and fibromyalgia syndrome. The West Indian Medical Journal. 2007;56(2):122-129. 

  7. Papakostidou I, Dailiana ZH, Papapolychroniou T, Liaropoulos L, Zintzaras E, Karachalios TS, et 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ies: A prospective stud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12;13:116. http://dx.doi.org/10.1186/1471-2474-13-116 

  8. Zakaria ZF, Bakar AA, Hasmoni HM, Rani FA, Kadir S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ttending two primary care clinics in Malaysia: A cross-sectional study. Asia Pacific Family Medicine. 2009;8(1):10. http://dx.doi.org/10.1186/1447-056x-8-10 

  9. Blixen CE, Kippes C.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9;31(3):221-226. 

  10. Wilson IB, Cleary PD.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5;273(1):59-65. 

  11. Heo S, Moser DK, Riegel B, Hall LA, Christman N. Testing a published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ac Failure. 2005;11(5):372-379. 

  12. Phaladze NA, Human S, Dlamini SB, Hulela EB, Hadebe IM, Sukati NA, et al. Quality of life and the concept of "living well" with HIV/AIDS in sub-Saharan Afric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5;37(2):120-126. 

  13. Schulz T, Niesing J, Stewart RE, Westerhuis R, Hagedoorn M, Ploeg RJ, et al. The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2012;75(8):1547-1554.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12.05.028 

  14. Halvorsrud L, Kirkevold M, Diseth A, Kalfoss M. Quality of life model: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sick older adults.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010;24(4):241-259. 

  15. Creamer P, Lethbridge-Cejku M, Hochberg MC.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in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Rheumatology (Oxford, England). 2000;39(5):490-496. 

  16. Jakobsson U, Hallberg IR. Pain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people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or osteoarthriti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2;11(4):430-443. 

  17. Henderson WA, Martino AC, Kitamura N, Kim KH, Erlen JA. Symptom status predicts patient outcomes in persons with HIV and comorbid liver disease. AIDS Research and Treatment. 2012;2012:169645. http://dx.doi.org/10.1155/2012/169645 

  18. Sherbourne CD, Stewart AL.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1;32(6):705-714. 

  19. Penckofer S, Ferrans CE, Fink N, Barrett ML, Holm K. Quality of life in women follow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Nursing Science Quarterly. 2005;18(2):176-183. http://dx.doi.org/10.1177/0894318405274832 

  20. Park CS.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Chung-Ang University the Research Center for Data Science; 2013. 

  21. Bellamy N, Buchanan WW, Goldsmith CH, Campbell J, Stitt LW. Validation study of WOMAC: A health status instrument for measuring clinically important patient relevant outcomes to antirheumatic drug therapy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hip or knee. The Journal of Rheumatology. 1988;15(12):1833-1840. 

  22. Sheikh JI, Yesavage J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http://dx.doi.org/10.1300/J018v05n01_09 

  23. Ware J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instruments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s and other health care variables. Hyattsville, MD: DHEW Publication; 1979. 

  24. The WHOQOL Group.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5;41(10):1403-1409. 

  25.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3): 571-579. 

  26. Tessier A, Zavorsky GS, Kim do J, Carli F, Christou N, Mayo NE.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weight-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bariatric surgery candidates. Journal of Obesity. 2012;2012:713426. http://dx.doi.org/10.1155/2012/713426 

  27. Lee H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dissertation].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