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이용한 뇌졸중 지식 취약군 규명
Identification of Subgroups with Lower Level of Stroke Knowledge Using Decision-tree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1, 2014년, pp.97 - 107  

김현경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정석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강현철 (호서대학교 정보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levels of stroke knowledge and identify subgroups with lower levels of stroke knowledge among adults in Korea.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in 2012. A national sample of 990 Koreans aged 20 to 74 years participat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무를 키우는 방법들 중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는 연속형과 이산형 종속변수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식 노드(child node) 간에는 최대한 이질적이 되고 자식 노드 내에서는 최대한 동질적이 되도록 부모 노드(parent node)를 분리함으로써 노드 내 동질성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방식이다[27]. 본 연구는 뇌졸중의 위험인자, 뇌졸중 경고증상 및 뇌졸중 발생 시의 대처행동에 대한 지식이 낮은 집단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를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조합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CART 방법을 사용하였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위하여 목표변수가 연속형인 뇌졸중 위험인자에 대한 지식과 뇌졸중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은 회귀나무(regression tree), 목표변수가 이산형인 뇌졸중 대처행동에 대한 지식은 분류나무(classification tree)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각각 17개의 예측변수들을 투입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뇌졸중 위험인자, 경고증상 및 대처행동에 관한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관련 지식이 취약한 집단을 규명한 전국 단위의 조사 연구이다. 연구 결과, 10개 뇌졸중 위험인자에 대한 평균 지식점수는 7.
  • 본 연구는 일대일 개별면접을 통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뇌졸중 관련 지식 정도를 살펴보고 지식이 낮은 취약군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인의 뇌졸중 위험인자, 경고증상 및 대처행동에 관한 지식정도를 살펴보고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관련 지식이 취약한 집단을 규명한 전국 단위의 조사 연구로서, 뇌졸중의 예방과 뇌졸중 발생 시의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에 관한 대국민 교육 및 홍보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위험인자, 경고증상, 또는 대처행동에 대한 지식 취약군을 확인하는 모형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다 정교한 방법으로 권고되는 10-fold 교차타당성 평가(cross validation)를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자료를 서로 겹치지 않는 10개의 집단으로 분할한 후, 한 개의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9개 집단의 자료(훈련자료)로 모형을 구축하고, 제외된 한 개의 집단(검증자료)에 구축된 모형의 예측력을 평가하는 과정을 총 10회 반복하는 것으로, 이렇게 구한 10개의 위험추정치를 전체 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한 모형의 위험추정치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을 경우 모형의 안정성이 보장된다고 평가하는 방법이다[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 중 뇌졸중 지식이 취약한 집단을 확인함으로써 뇌졸중 예방과 적절한 대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즉,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하는 단편적인 변인들을 각각 적용하여 지식취약군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이론적인 접근일 수 있으며, 대상자가 존재하는 현실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뇌졸중 지식 취약군을 규명하기 위하여 신뢰성 있는 전문조사기관인 한국갤럽을 통해 인구비례할당 추출 및 계통표집을 실시하여 대표성 있는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에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하여 뇌졸중 지식 상태에 따른 집단들을 분류하고 각 집단의 주요 속성을 파악하였다.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 먼저 뇌졸중 위험인자에 관한 지식이 취약한 집단은 뇌졸중 가족력이 없고, 음주량이 하루 2잔 이하이며, 기타 시도에 거주하는 32세 이하의 남성과 뇌졸중 가족력이 없는 32세 이하의 여성으로 확인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뇌졸중 관련 지식 정도를 살펴보고, 분류 문제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분석[19,20]을 이용하여 뇌졸중 지식이 취약한 구체적인 집단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인의 뇌졸중에 대한 인식 증가 및 적절한 대처행동에 관한 대국민 교육 및 중재를 위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에게 뇌혈관질환이란? 한국인의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자 수는 최근 감소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사망원인 제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뇌졸중은 단일질환으로는 사망원인 제1위에 해당되는 고위험 질환이다[1]. 우리나라의 뇌졸중 환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2011년도 급성기 뇌졸중 수진자 수는 총 555,323명으로 2007년도에 비해 11.2%, 전년 대비 2.6% 증가하였다[2].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뇌졸중 위험인자를 바로 알고 적극적인 건강행위를 통하여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조절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위험인자의 교정을 통하여 뇌졸중 발생위험을 상당한 수준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3,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뇌졸중이 발생되면 가능한 한 빨리, 늦어도 치료적 황금시간으로 알려져 있는 3시간 내에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에 도착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2].
한국 성인 중 뇌졸중 지식이 취약한 집단을 확인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한국 성인의 뇌졸중 위험인자, 경고증상 및 대처행동에 대한 지식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한국 성인 중 뇌졸중 위험인자, 경고증상 및 대처행동에 대한 지식 취약군 을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1 Cause of death [Internet]. Daejeon: Author; 2012 [cited 2013 April 2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bmode read&aSeq260046.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Disclosur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evaluation results [Internet]. Seoul: Author; 2012 [cited 2013 April 26].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 msurl/cms/notice/02/1214308_13390.html. 

  3.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2nd ed. Seoul: Author; 2013. 

  4. Yu KH, Bae HJ, Kwon SU, Kang DW, Hong KS, Lee YS, et al. Analysis of 10,811 cases with acute ischemic stroke from Korean stroke registry: Hospital-based multicenter prospective registration study.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6;24(6):535-543. 

  5. Kim YS, Park SS, Bae HJ, Cho AH, Cho YJ, Han MK, et al. Stroke awareness decreases prehospital delay after acute ischemic stroke in Korea. BMC Neurology. 2011;11:2. http://dx.doi.org/10.1186/1471-2377-11-2 

  6. Han NY, Ko EA, Hwang SY.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risk factors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9;21(3):314-323. 

  7. Kim JS, Yoon SS. Perspectives of stroke in persons living in Seoul, South Korea. A survey of 1000 subjects. Stroke. 1997;28(6):1165-1169. 

  8. Kim EM, Hwang SY, Kim AL. Knowledge of stroke and heart attack symptoms and risk factors among rural elderly people: A questionnaire survey.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11;41(5):259-264. http://dx.doi.org/10.4070/kcj.2011.41.5.259 

  9. Bae SS. A research of worker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n stroke [master's thesis]. Incheon: Gacheon Medical and Science School; 2007. 

  10. Ennen KA, Zerwic J. Stroke knowledge: How is it impacted by rural location, age, and gender? Online Journal of Rural Nursing and Health Care. 2010;10(1):9-21. 

  11. Hwang SY, Zerwic JJ.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risk factors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6;29(4):337-344. http://dx.doi.org/10.1002/nur.20144. 

  12. Kim YS, Park SS, Bae HJ, Heo JH, Kwon SU, Lee BC, et al. Public awareness of stroke in Korea: A population-based national survey. Stroke. 2012;43(4):1146-1149.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1.638460 

  13. Sloma A, Backlund LG, Strender LE, Skaer, Y. Kn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among primary care patients with previous stroke or TIA: A questionnaire study. BMC Family Practice. 2010;11:47. http://dx.doi.org/10.1186/1471-2296-11-47 

  14. Hickey A, Holly D, McGee H, Conroy R, Shelley E. Kn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and warning signs in Irel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roke Awareness Questionnaire (SAQ).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2012;7(4):298-306. http://dx.doi.org/10.1111/j.1747-4949.2011.00698.x 

  15. Moreira E, Correia M, Magalhaes R, Silva MC. Stroke awareness in urban and rural populations from northern Portugal: Knowledge and action are independent. Neuroepidemiology. 2011;36(4):265-273. http://dx.doi.org/10.1159/000328867 

  16. Lutfiyya MN, Ng L, Asner N, Lipsky MS. Disparities in stroke symptomology knowledge among US midlife women: An analysis of population survey data.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009;18(2):150-157. http://dx.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08.09.009 

  17. Lundelin K, Graciani A, Garcia-Puig J, Guallar-Castillon P, Taboada JM, Rodriguez-Artalejo F, et al. Knowledge of stroke warning symptoms and intended action in response to stroke in Spai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Cerebrovascular Diseases. 2012;34(2):161-168. http://dx.doi.org/10.1159/000341408 

  18. Yang J, Zheng M, Cheng S, Ou S, Zhang J, Wang N, et al.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treatment among community residents in western urban China.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013. http://dx.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3.10.019 

  19. Choi JH, Han ST, Kang H, Kim ES, Kim MK, Lee SK. Data mining prediction and utilization by using Answer Tree 3.0. Seoul: SPSS Academy; 2006. 

  20. Han ST, Kang H, Choi H, Do JD, Shin SH. A study on development of customer attrition model in financial institu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9;11(1):279-288. 

  21. World Stroke Organization. World stroke campaign [Internet]. Geneva: Author; 2011 [cited 2011 March 17]. Available from: http://www.worldstrokecampaign.org/2011/learn/Documents/wsd_brochureUpdate1.pdf 

  22. Korean Stroke Society. You can win if you know the symptoms [Internet]. Seoul: Author; 2011 [cited 2011 March 20]. Available from: http://www.stroke.or.kr/bbs/index.html?codeday&category&gubu n&page2&number22&modeview&order&sort&keyfield& key&page_type. 

  23.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Seoul: Author; 2009. 

  24. Goldstein LB, Bushnell CD, Adams RJ, Appel LJ, Braun LT, Chaturvedi S, et al. Guidelines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stroke: 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11;42(2):517-584. http://dx.doi.org/10.1161/STR.0b013e3181fcb238. 

  25. Waltz CF, Strickland OL, Lenz ER. Measurement in nursing research. 2nd ed. Philadelphia, PA: F. A. Davis; 1991. 

  26.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1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Seoul: Author; 2011 [cited 2012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mospa.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 bbsIdBBSMSTR_000000000013&nttId35503. 

  27. Huh MH. SPSS statistics classification analysis. Seoul: Data Solution; 2012. 

  28. Cameron V. Best practices for stroke patient and family education in the acute care setting: A literature review. Medsurg Nursing. 2013;22(1): 51-55, 64. 

  29. Wolf PA, D'Agostino RB, O'Neal MA, Sytkowski P, Kase CS, Belanger AJ, et al. Secular trends in stroke incidence and mortality. The Framingham Study. Stroke. 1992;23(11):1551-1555. 

  3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cute stroke adequacy assessment [Internet]. Seoul: Author; 2009 [cited 2012 April 3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 msurl/cms/notice/02/1195341_13390.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