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 Hormone Therap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1, 2014년, pp.108 - 117  

황은경 (서울대학교병원)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egrees of pain, menopaus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were on hormone therapy.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tilized. Data were collected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항호르몬제를 복용하는 유방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항호르몬요법 치료를 받는 유방암환자의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갱년기 증상이 삶의 질 저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절제술 후 항호르몬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환자들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유방암 치료율은? 국내에서는 매년 13,000명 정도의 유방암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나, 과거와 달리 유방암의 치료율이 80-90%에 이르면서[1]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유방암 치료에는 수술요법이나 방사선요법 등과 같은 국소적 치료와 항암화학요법과 항호르몬요법 등과 같은 전신적 치료가 있다.
유방암 치료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는가? 국내에서는 매년 13,000명 정도의 유방암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나, 과거와 달리 유방암의 치료율이 80-90%에 이르면서[1]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유방암 치료에는 수술요법이나 방사선요법 등과 같은 국소적 치료와 항암화학요법과 항호르몬요법 등과 같은 전신적 치료가 있다. 그 중에서 항호르몬요법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인 환자의 유방암 재발 방지 및 재발 시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 유방암환자 중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인 환자는 60-80%에 달하여[2] 앞으로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환자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하지만 위에서 제시한 대부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유방암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갱년기 증상을 심도 있게 고려하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eo HJ. A comparison of the cancer incidence rates between KCCR's registered cancer statistics and NHIC's data of insurance claim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2. 

  2.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The breast. 2nd ed. Seoul: Ilchokak Publishing Co.; 2005. 

  3. Fenlon DR, Corner JL, Haviland J. Menopausal hot flushes after breast cancer.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09;18(2):140-148. http://dx.doi.org/10.1111/j.1365-2354.2007.00902.x 

  4. Dorjgochoo T, Gu K, Kallianpur A, Zheng Y, Zheng W, Chen Z, et al. Menopausal symptoms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6 months after diagnosis: A report from the Shanghai breast cancer survival study. Menopause (New York, NY). 2009;16(6):1205-1212. http://dx.doi.org/10.1097/gme.0b013e3181aac32b 

  5. Patterson RE, Saquib N, Natarajan L, Rock CL, Parker BA, Thomson CA, et al. Improvement in self-reported physical health predicts longer survival among women with a history of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1;127(2):541-547. http://dx.doi.org/10.1007/s10549-010-1236-x 

  6. Oberguggenberger A, Hubalek M, Sztankay M, Meraner V, Beer B, Oberacher H, et al. Is the toxicity of adjuvant aromatase inhibitor therapy underestimated? Complementary information from patient-reported outcomes (PROs).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1;128(2):553-561. http://dx.doi.org/10.1007/s10549-011-1378-5 

  7. Fontaine C, Meulemans A, Huizing M, Collen C, Kaufman L, De Mey J, et al. Tolerance of adjuvant letrozole outside of clinical trials. Breast (Edinburgh, Scotland). 2008;17(4):376-381. http://dx.doi.org/10.1016/j.breast.2008.02.006 

  8. Davies C, Godwin J, Gray R, Clarke M, Cutter D, Darby S, et al. Relevance of breast cancer hormone receptors and other factors to the efficacy of adjuvant tamoxifen: Patient-level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Lancet. 2011;378(9793):771-784. http://dx.doi.org/10.1016/s0140-6736(11)60993-8 

  9. Hwang SY.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9;33:257-287. 

  10. Mao JJ, Stricker C, Bruner D, Xie S, Bowman MA, Farrar JT, et al. Pattern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romatase inhibitor-related arthralgia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2009;115(16):3631-3639. http://dx.doi.org/10.1002/cncr.24419 

  11. Yun YH, Mendoza TR, Heo DS, Yoo T, Heo BY, Park HA, et al. Development of a cancer pain assessment tool in Korea: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Oncology. 2004;66(6):439-444. http://dx.doi.org/10.1159/000079497 

  12.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3. Cella DF, Tulsky DS, Gray G, Sarafian B, Linn E, Bonomi A, et al.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93;11(3): 570-579. 

  14. Yoo HJ, Ahn SH, Eremenco S, Kim H, Kim WK, Kim SB, et al. Korean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breast (FACT-B) scale version 4. Quality of Life Research. 2005;14 (6):1627-1632. 

  15. Cleeland CS, Ryan KM. Pain assessment: Global use of the brief pain inventory. Annals of the Academy of Medicine Singapore. 1994;23(2): 129-138. 

  16. Serlin RC, Mendoza TR, Nakamura Y, Edwards KR, Cleeland CS. When is cancer pain mild, moderate or severe? Grading pain severity by its interference with function. Pain. 1995;61(2):277-284. 

  17. Heinemann K, Ruebig A, Potthoff P, Schneider HP, Strelow F, Heinemann LA, et al. The menopause rating scale (MRS) scale: A methodological review.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4;2:45. http://dx.doi.org/10.1186/1477-7525-2-45 

  18. Reimer T, Gerber B. Quality-of-life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early-stage breast cancer in the elderly. Drugs and Aging. 2010;27(10): 791-800. http://dx.doi.org/10.2165/11584700-000000000-00000 

  19. Safarinejad MR, Shafiei N, Safarinejad S. Quality of life and sexual functioning in young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1 year after lumpectomy. Psycho-Oncology. 2013;22(6):1242-1248. http://dx.doi.org/10.1002/pon.3130 

  20. Lee JH. The association of obesity indices and cardiovascular risk in Korean type 2 diabete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3;22(4):212-214. http://dx.doi.org/10.7570/kjo.2013.22.4.212 

  21. Park JH, Jun EY, Kang MY, Joung YS, Kim GS.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613-621.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613 

  22. Otte JL, Carpenter JS, Zhong X, Johnstone PA. Feasibility study of acupuncture for reducing sleep disturbances and hot flashes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survivors. Clinical Nurse Specialist CNS. 2011; 25(5):228-236. http://dx.doi.org/10.1097/NUR.0b013e318229950b 

  23. Carson JW, Carson KM, Porter LS, Keefe FJ, Seewaldt VL. Yoga of awareness program for menopausal symptoms in breast cancer survivors: Results from a randomized trial. Supportive Care in Cancer. 2009;17(10):1301-1309. http://dx.doi.org/10.1007/s00520-009-0587-5 

  24. Toulis KA, Tzellos T, Kouvelas D, Goulis DG. Gabapentin for the treatment of hot flashes in women with natural or tamoxifen-induced menopau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Therapeutics. 2009;31(2):221-235. http://dx.doi.org/10.1016/j.clinthera.2009.02.006 

  25. Park J. Symptom cluster and status of physical funct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chemotheraopy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26. Park H, Yoon HG. Menopausal symptoms, sexual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3;21(9):2499-2507. http://dx.doi.org/10.1007/s00520-013-1815-6 

  27. Kwon EJ, Yi M.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in Korea.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4):289-296. http://dx.doi.org/10.5388/aon.2012.12.4.2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