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행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 Prepared with Ginkgo Nut Powder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9 no.1, 2014년, pp.84 - 90  

주신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해연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외식상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inkgo nut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 Mung bean starch gel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inkgo nut powder (0, 1, 3, 5, and 7%).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inkgo nut powder and mung be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배 등(1991)의 연구에서 은행 종실에는 transcinnamic acid, vanilin, p-hydroxybenzoic, syringic acid, gallic acid, caffeic acid, protocatechuic acid, coumaric acid 등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은행 분말에 함유된 이들 성분이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은행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은 26.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소재를 통해 건강을 얻고자하는 소비자의 기호도를 반영하여 생리활성을 지닌 은행을 첨가한 청포묵를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맛과 품질이 우수한 기능성 청포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은행나무란? 은행나무(Ginkgo biloba L.)는 은행과(Ginkgoaceae)에 속하는 유일한 식물로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다년생식물이다. 은행 열매(Ginkgo nut)는 핵과(核果)의 모양으로 미끈미끈하며 악취가 나는 노란색의 외종피와 딱딱하고 흰색이며 2개의 자엽을 가진 내종피로 되어있다(정&신 1990).
은행 열매의 특징은? )는 은행과(Ginkgoaceae)에 속하는 유일한 식물로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다년생식물이다. 은행 열매(Ginkgo nut)는 핵과(核果)의 모양으로 미끈미끈하며 악취가 나는 노란색의 외종피와 딱딱하고 흰색이며 2개의 자엽을 가진 내종피로 되어있다(정&신 1990). 은행은 예로부터 그 잎과 열매뿐만 아니라 뿌리까지 민간요법과 한방에서 여러 질환에 대한 약물로 쓰여 왔다(김 등 2004).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묵의 독특한 물성은?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묵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우리 고유의 정서가 담긴 민속식품으로 겔(gel) 형성능력이 뛰어나며 표면이 매끈하고 탄성이 크고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어느 정도 힘이 가해지면 크게 몇 조각으로 부서지는 절단성을 가지는 독특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오래전부터 애용되어 왔다(주&전 1992). 묵의 독특한 물성으로 인해 서양의 젤리와 유사한 식품으로 보이지만 묵은 탄수화물 식품으로 낮은 열량을 가지고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젤리의 경우 불완전 단백질인 젤라틴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조 과정 중 다량의 설탕 첨가로 인해 칼로리가 높은 식품으로 묵과는 차이를 보인다(김등 2012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JH, Lee GD, Kim JS, Yoon HS. 1991.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extract of nut and leaf of Ginkgo biloba L.. Agric. Res. Bull. Kyungpook Natl. Univ., 9:61-69 

  2. Bang BH, Kim KP, Kim MJ, Jeong E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Chungkukjang powder. Korean J. Food & Nutr., 24(2):210-216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Cha YJ, Jung YS, Kim JW, Youn K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carrot, spinach and mulberry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1):46-52 

  5. Choi EJ. 2002. Studies on gelling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by addition of ingredients. Masters degree thesis, Catholic University, pp 45 

  6. Chung BS, Shin MG. 1990. Atlas of herbal medicine. Young Lim Sa, Seoul, Korea. pp 122-124 

  7. Han JS, Kim JA, Han GP, Kim DS. 2004. Quality characteristic of functional cookies with added potato pee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6):63-69 

  8. Han JY, Lee YC, Kim KO. 2003.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eeled ginkgo nuts prepared under the different dehydr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84-91 

  9. Jeong H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add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powder. Masters degree thesis, MyongJi University, pp 25 

  10. Joo NM, Chun HJ. 1992. Effect of oil addition on texture of mungbean starch gel. Korean J. Soc. Food Sci., 8(1):21-25 

  11. Kang IH. 1997. The rice cake and sweets of Korea. Daehane Corp., Seoul, Korea. pp 1-4 

  12. Kim AJ, Han MR, Rho JO. 2011a.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pomook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mungbean powder. Korean J. Human Ecology, 20(6):1229-1237 

  13. Kim AJ, Jung JJ, Lee MS, Joo NM, Jung EK. 2012a.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mook added with Gugija (Lycii fructus) infusion. J. Korean Diet Assoc., 18(3):213-221 

  14. Kim AJ, Shin SM, Joung KH. 2011b.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pomook using black ginseng extract. Korean J. Academia-Industrial Co. Soc., 12(9):3994-4000 

  15. Kim HS, Kim MJ, Lee MS, Lee GS, Kim AJ. 2012b.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kdumook using Yangha (Zingiber mioga R.) powder. Korean J. Food & Nutr., 25(3):521-528 

  16. Kim JM, Lee YC, Kim KO. 2003. Effects of convection oven dehydration condition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393-398 

  17. Kim JM, Shu DS, Kim YS, Kim KO. 2004.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ice gruels and cak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ginkgo nut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 410-415 

  18.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Food Sci. Technol., 40(5):823-833 

  19. Nah HS. 2000. Effects of soaking on properties of acorn sediment and mook. Doctorate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62 

  20. Nam JH. 1994. Effects of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tocopherol contents and lipid peroxidation of plasma and tissues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Food Nutr., 7(4):373-382 

  21. Park JH, Kim EM.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y with white lotus (Nelumbonucifera) root powder added. Korean J. Culinary Res., 16(1):180-190 

  22. Park SB, Cho GS. 2011.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of Ginkgo biloba leaves, seed and outer seedcoat. Korean J. Soc. Food Sci. Nutr., 40(1):7-13 

  23. Ryu HM, Jeon DK, Kim SA, Chung HJ. 2013. Antioxida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 added with peach seed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3):372-378 

  24. Seo JH, Jeong YJ, Shin SR, Kim KS. 2000. Effects of tannins from astringent persimmons in alcohol fermentation for persimmon vineg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3):407-411 

  25. Shin MK. 1994. The science of green tea. Korean J. Dietary Culture, 9:433-445 

  26. Son KO.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 with Salicorniaherbacea L..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pp 20-43 

  27.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o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1):63-6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