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 on Open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6 no.1 = no.67, 2014년, pp.134 - 147  

박소영 (대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ages of the concern on open inquir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instruments of CBAM, including stages of concern questionnari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most teachers were in 0 st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의 관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관심도는 새 교육과정에 관한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교사의 경험 여부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의 관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관심도는 새 교육과정에 관한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교사의 경험 여부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자유탐구가 초등학교 고학년에 적용되는 초기 단계에 교사의 관심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의 관심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교사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 본 연구는 자유탐구가 초등학교 고학년에 적용되는 초기 단계에 교사의 관심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의 관심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교사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교직경력, 연수경험, 수업적용 경험이 관심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D지역의 초등학교를 행정구역에 따라 유층무선표집을 하고, 해당 학교의 5학년 교사들 중 설문조사에 지원 의사가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의 관심도를 높이고 충실한 실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유탐구에 관한 관심과 의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자유탐구 활동에 관한 교사의 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George, Hall과 Stiegelbauer(2008)의 것으로, 총 35개의 객관식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George, Hall과 Stiegelbauer (2008) 의 관심도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의 관심도를 분석하였다. 이 설문지는 오랫동안 활용되고 검증되어 온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사람들의 관심 수준에 기반하여 새로운 혁신의 충실한 실행을 이해하고 지원하고자 한다.
  •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에 책임있는 인사들은 교사들이 관심을 가지는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과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의 자유탐구 실행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고 D지역의 초등학교 5학년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개정 교육 과정 때 도입된 자유탐구의 의도는 무엇인가? 학생들의 탐구 능력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도입된 자유탐구는 탐구활동에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해 학생의 선택과 결정을 허용하는 활동으로, 학교의 실정과 학생들 능력에 맞추어 수행할 수 있도록 학년 초에 계획을 세워 지도할 수 있도록 하며, 주제 선정에서부터 계획 수립, 탐구 수행, 결과 발표에 이르기까지 학생이 주도 하여 창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이 교육과정에 명시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b). 이러한 자유탐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되었으며,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학생 스스로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자기주도적으로 심화된 탐구를 할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를 지닌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a).
탐구활동이란 무엇인가? 학교의 과학 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탐구활동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탐구활동은 과학적인 질문을 하고, 다양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과학적 조사를 설계하고,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해석․분석하고, 증거를 사용하여 과학적 설명을 명확하게 하며, 증거와 과학적 설명 간의 관계를 의사소통하고 지지할 수 있는 이해와 능력이 결합된 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탐구활동에 대해 어떤 연구자는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이고 개방적인 과학 탐구활동에 참여할 때 학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반면, 어떤 연구자는 탐구활동의 효과 및 가치에 대해 회의적이다(Salter & Atkins, 2011; Tan & Wong, 2012).
탐구활동의 효과 및 가치에 대하여 회의적인 연구자들의 입장은 무엇인가? 탐구활동에 대해 어떤 연구자는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이고 개방적인 과학 탐구활동에 참여할 때 학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반면, 어떤 연구자는 탐구활동의 효과 및 가치에 대해 회의적이다(Salter & Atkins, 2011; Tan & Wong, 2012). 후자의 경우 자유탐구는 비실용적이고, 비 효과적이며, 심지어는 규범적인 과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유탐구를 지지하는 연구자들은 학생들이 과학자가 과학을 탐구하는 것처럼 과학을 탐구할 수 있어야 하고, 자유탐구를 통해 학생들이 종합적인 탐구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음을 보고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bd-El-Khalick, F..Boujaoude, S..Duschl, R..Lederman, N. G..Mamlok-Naaman, R..Hofstein, A..Niaz, M.Treagust, D. & Tuan, H. L.(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pectives, Science Education, 88, 397-419. 

  2. Bencze, J. L.(2010). Promoting student-led science and technology projects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entry into core pedagogical practices through technological design, Int J Technol Des Educ, 20, 43-62. 

  3. Blanchard, M. R..Southerland, S. A. & Granger, E. M.(2008). No siver bullet for inquiry: Making sense of teacher change following an inquiry-based research experience for teachers, Science Teacher Education, 93, 322-360. 

  4. Brown, L. S..Melear, T. C.(2006). Investig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fter authentic inquiry-based experien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9), 938-962. 

  5. Byun, Sun-Mi & Kim, Hyun-Joo(2011). Recognition of free inquiry activity and its effects on the science inquir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Science Education, 31(2), 210-224. 

  6. Cho, Soo-Hyun & Park, Chang-Un(2013). The analysis on degree of concerns for STEAM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3), 743-755. 

  7. Choi, Sang-O(2011),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3re and 4th yea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ee inquiry activiti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Domjan, N. H.(2003). A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science as inquiry, Texas: University of Houston. 

  9. Duncan, G. R..Pilitsis, V. & Piegaro, M.(2010).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critique and adapt inquiry-based instructional material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 81-102. 

  10. George, A. A..Hall, G. E. & Stiegelbauer, S. M. (2008). The stages of concern quetionnaire, Austin: SEDL. 

  11. Hancock, E..Gallard, A.(2004).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he influence of K-12 field experienc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5(4), 281-291. 

  12. Jeon, Min-Ji & Jhun, Young-Seok(2009). Contriving instruction strategy of open inquir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l Gifted in Science, 391), 67-74. 

  13. Jhun, Young-Seok & Jeon, Min-Ji(2009). The difficulty that is caused open inquiry instruc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0(1), 105-115. 

  14. Jung, Hyun-Ju..Lim, Sung-Man & Chun, Jae-Sun (2013). The effect and cognition of open-inquiry lesson using lubric on the elementary student's open-inquiry,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3), 285-297. 

  15. Keller, T. J.(2001). From theory to practice creating an inquiry-based science classroom. Washington: University of Pacific Lutheran. 

  16. Keys, C. W..Bryan, L. A.(2001). Co-constructing inquiry-based science with teachers: Essential research for lasting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6), 631-645. 

  17. Kim, Dae-Hyun.Park, Chang-Un(2013). The analysi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18. Kim, Dae-Hyun(2011). How to understand and shape curriculum, Seoul: Hakjisa. 

  19. Kim, Eun-Ju.Yang, Mu-Yhol & Kim, Dae-Hyun (2010). An analysis on elementary teachers' stage of concern to integrated units of revised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in 2007,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2(2), 287-302. 

  20. Kim, Hee-Kyong.Yoon, Hee-Sook.Lee, Ki-Young & Cho, Hee-Hyung(2010).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free inquiry'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quiry of Secondary Education, 58(3), 213-235. 

  21. Kim, Jae-Yoon & Lim, Hee-Jun(2011).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ance of open inquiry, Inquiry of Subject Education, 15(2), 535-554. 

  22. Kim, Sook-Kyoung(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 free inquiry activity repor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3. Kim, Young-Sun(2011). The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lization about management and teaching of free-inquiring,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Lee, Kyoung-Hak.Jee, Kyoung-Jun & Park, Jong-Won (2010).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open scientific inquiry, Teacher Education Research, 49(1), 71-87. 

  25. Lee, Jung-Hwa(2010). The effect of open inquiry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ers' cogni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6. Leonard, J..Barnes-Johnson, J..Dantley, S. J. & Kimber, C.(2011). Teaching science inquiry in urban contexts: The rol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efs Urban Review, 43, 124-150. 

  27. Lotter, C..Harwood, W. S. & Bonner, J. J.(2007). The influence of core teaching conceptions on teachers' use of inquiry teaching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1318-1347. 

  2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a). Science curriculum. 

  2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b). Science curriculum commentary. 

  3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3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a).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3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b). Science curriculum. 

  3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c). Science 5-2 teachers' guidebook, Seoul: Geomsung Publisher. 

  34. Moon, Seung-Jun(2012). The influence of free inquiry activit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 science anziety of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5. Park, So-Young(2011). An analysis of concerns of primary school teachers on transitional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phase to primary education,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3(3), 533-548. 

  36. Park, Jae-Yong & Lee, Ki-Young(2011). Actual conditions of free inquiry implementation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Inquiry of Subject Education, 15(3), 603-632. 

  37. Park, Jong-Sun.Song, Young-Wook & Kim, Beom-Ki (2011). An anlysis of open inquiry activ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nt to conduct, J. Korea Assoc., Sci., Edu., 31(2), 143-152. 

  38. Park, Han-Sook(2013). An analysis on high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on 'creative-experience activity'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4), 958-972. 

  39. Plevyak, L. H.(2007). What do preservice teachers learn in an inquiry-based science methods cours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1), 1-13. 

  40. Rakes, G. C. & Casey, B. B.(2002). An analysis of teacher concerns towar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r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1), Tetrieved from http://www.ao.uiuc.edu/ijet/v3n1/rakes/ 

  41. Salter, I..Atkins, L.(2013). Student-generated scientific inquiry for elementary education undergraduates: Course development, outcomes and implications, J Sci Teacher Educ, 24, 157-177. 

  42. Tan, A. L. & Wong, H. M.(2012). 'Didn't get expected answer, rectify it.': Teaching science content in a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using hands-on activities, Internation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2), 197-222. 

  43. Tatar, N.(2012). Inquiry-based science laboratories: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learning science through inquiry and their performances,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1(3), 248-267. 

  44. Trautmann, N..Makinster, J. &Avery, L.(2004). What makes inquiry so hard? (And shy is it worth it?). In: Proceedings of the JARSTAnnual Meeting. Canada: Vancouver, BC, 2004. 

  45. Varma, T..Volkmann, M. & Hanuscin, D.(2009).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understanding of inquiry and inquiry-based science pedagogy: Influence of 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methods course and a science field experien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4), 1-22. 

  46. Yang, Mu-Yhol.Kim, Hye-Na.Kim, Eun-Ju & Kim, Dae-Hyun(2013). An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mathematics,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2), 321-3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