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유부단형 내담자의 홀랜드 6각형 모형 일관성 및 계측성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f consistency and calculus using Holland's Hexagonal model on the career indecisive cl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2, 2014년, pp.828 - 837  

김병숙 (한국직업상담협회) ,  이준일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우유부단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7가지로 제시되며, 그 중 하나는 다재다능함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유부단형 내담자의 홀랜드 3코드와 내담자가 진술한 주제의 홀랜드 코드와의 일치성, 그리고 우유부단 형 내담자가 갖는 각 코드 값의 계측성을 분석하여 우유부단의 원인중 하나가 다재다능임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우유부단함을 호소하는 내담자 6명을 대상으로 홀랜드 6각형 일관성과 계측성에서 나타난 모형에서 다재다능함이 나타내는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례분석대상 6명 모두가 3코드의 일관성이 낮고, 주제진술에서도 첫째코드와의 일관성이 낮았다. 또한 판정된 3코드와 주제진술에서도 어긋난 코드를 나타냈다. 6각형 모형에서 나타난 계측성을 보면, 6개의 코드가 모두 발달되었고, 서로 마주보는 코드의 계측성이 유사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다양한 흥미구조를 갖고 있으면 다재다능하여 어느 한편으로 결정하기 어려워 우유부단함을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ersatility of indecisive clients which is one of the seven key factors to identify indecisiveness by analyzing Holland's 3-letter code with consistency and calculus. By implementing the method of Occupational Card Sort, all six clients showed low c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유부단을 호소한 내담자들의 홀랜드 3코드의 일관성 및 계측성을 분석하여 우유부단의 원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6명의 사례분석 대상자 모두 홀랜드 3코드는 일관성이 낮으며, 주제진술에서도 내담자가 갖고 있는 3코드와 다른 진술을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직업상담 장면에서 직업카드분류150을 실시하고, 직업상담 주요 호소에서 의사결정시 우유부단한 내담자 사례를 중심으로 이들이 갖는 홀랜드 코드의 일관성, 내담자의 홀랜드 코드와 주제진술에서의 홀랜드 코드와의 일치성, 내담자의 홀랜드 코드의 계측성 등에서 나타난 특이점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도를 우유부단의 원인 중 다양한 흥미구조를 갖고 있는 다재다능한 내담자의 우유부단함을 검증하고, 돕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직업상담 장면에서 직업카드분류150을 실시하고, 직업상담 주요 호소에서 의사결정시 우유부단한 내담자 사례를 중심으로 이들이 갖는 홀랜드 코드의 일관성, 내담자의 홀랜드 코드와 주제진술에서의 홀랜드 코드와의 일치성, 내담자의 홀랜드 코드의 계측성 등에서 나타난 특이점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도를 우유부단의 원인 중 다양한 흥미구조를 갖고 있는 다재다능한 내담자의 우유부단함을 검증하고, 돕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개인-환경 일치이론은 개인과 환경 간에 상호관계가 존재한다는 즉, 개인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환경이 개인에게 영항을 미친다는 기본적인 가정에 근원을 두고 있다. 즉, 진로선택은 한 사람의 성격의 표현이고, 한 직업군에 있는 사람들은 유사한 성격과 비슷한 개인사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홀랜드 유형론[1]은 다음의 4가지 가정에 기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우유부단의 원인들 중 하나는? 우유부단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7가지로 제시되며, 그 중 하나는 다재다능함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유부단형 내담자의 홀랜드 3코드와 내담자가 진술한 주제의 홀랜드 코드와의 일치성, 그리고 우유부단 형 내담자가 갖는 각 코드 값의 계측성을 분석하여 우유부단의 원인중 하나가 다재다능임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직업카드 분류는 어떻게 발전해 온 것인가? 직업카드 분류는 홀랜드[32]의 성격이론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는 직업적응이론과 같이 개인과 환경의 일치를 지향하는 20세기 사회개혁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는 특질-요인 이론이 발전된 것이다. 개인-환경 일치이론은 개인과 환경 간에 상호관계가 존재한다는 즉, 개인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환경이 개인에게 영항을 미친다는 기본적인 가정에 근원을 두고 있다.
RIASEC의 5가지의 주요 개념의 특징은? 홀랜드[1]는 RIASEC의 6개 코드를 개발하고 5가지의 주요 개념을 제시하였다. 5가지 개념은 RIASEC의 코드가 갖는 서로의 인접성과 거리와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코드를 갖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일관성이 높고, 코드가 서로 인접할수록 차별성이 높으며, 환경이나 조직이 분명하고도 통합된 목표, 직무, 보상이 일관되게 주어질 때 정체성이 생긴다. 또한 서로 다른 성격유형의 사람들은 각기 다른 환경을 필요로 하는 일치성이 있으며, 환경모형간의 거리는 그들의 이론적 관계와 반비례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모형으로서 개인과 환경의 일관성 및 일치성을 분명하게 규정해주는 계측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s (2nd ed.). Odessa, FL :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2. Goldman L. Qualitative Assessment: The Counseling Psychologists, 18, pp. 205-213, 1990 DOI: http://dx.doi.org/10.1177/0011000090182003 

  3. Goldman L. Qualitative Assessment: An Approach for Counselor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0, pp. 616-621, 1992. DOI: http://dx.doi.org/10.1002/j.1556-6676.1992.tb01671.x 

  4. Goldman L. (1995). Comment on Croteau and Slaney(1994), The Career Development Quaterly, 43, 385-386. DOI: http://dx.doi.org/10.1002/j.2161-0045.1995.tb00443.x 

  5. Slaney R. B., "Expressed and Inventoried Vocational Interests: A Comparison of Instrum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5(6), pp. 520-529, 1995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25.6.520 

  6. Croteau J. M., & Slaney R. B. Two methods of exploring interests: A comparison of outcomes, The Career Development Quaterly, 42, pp. 252-261, 1994. DOI: http://dx.doi.org/10.1002/j.2161-0045.1994.tb00942.x 

  7. Dolliver, R. H. (1969). Strong Vocational Interest Blank versus expressed vocational interests: A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72, pp. 95-107. DOI: http://dx.doi.org/10.1037/h0027850 

  8. J. W. Joo, "The effect of career guidance program using vocational card sort activity on primary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maturity", Hannam University, MA. Thesis, 2011. 

  9. E. H. Kim, "Intervention effects of career education utilizing job cards on career understanding ability and career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 Thesis, 2009. 

  10. J. S. Kang, "The Effect of Career Guidance Program Using Vocational Cards on Prim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efficacy", Ulsan University, MA. Thesis, 2009. 

  11. J. Y. Park, "Effec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Occupation Card on the Sense of Identity Related to the Career Path of the High School Seniors", Sungkyunkwan University, MA. Thesis, 2007. 

  12. H. J. Bae, "The Effect of Career Guidance Program Using Vocational Cards", Ajou University, MA. Thesis, 2006. 

  13. B. H. Kim, Y. M. Cho,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Vocational Cards and It's Applica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18(1), pp. 228-245, 2005. 

  14. M. W. Choi, "Exploration of vocational interests for highschool students with vocational car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 Thesis, 2002. 

  15. Y. J. Choi, "The Study on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ds for Career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 Thesis, 2012. 

  16. M. H. Song, "Development of occupational cards for former prestitutes to explore career", Sookmyung University, MA. Thesis, 2011. 

  17. Y. W. Le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d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ctivity". Konkuk University, MA. Thesis, 2010. 

  18. J. R. Kang, H. J. Lee, "The Development of the Vocational Ca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s Validation",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6(1), pp. 1-17, 2005. 

  19. S. Y. Park,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d Sort for Women"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MA. Thesis, 2003. 

  20. Y. J. Kim, "Development of a Manual about Occupational Card Sort for High School Students",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MA. Thesis, 2003. 

  21. B. S. Kim, S. J. Bak, B. I. Kim, "Analysis on Accord Level of Youth's Interest, Aptitude, Value through Occupational Card Sor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4), pp. 1-21, 2007. 

  22. K. R. Noh, Y. J. Chon, H. J. Seo. "Basic Research for improving vocational card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7 

  23. B. S. Kim, S. J. Kim, B. I. Ki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pational Card Sort result and Holland Cod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2(2), pp. 63-78, 2009. 

  24. B. S. Kim, S. J. Kim, M. J. Kim, "The Analysis of the job preference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t the Occupational Card Sor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1), pp. 25-49, 2011. 

  25. S. J. Kim, "Clusters by Perfectionism, Indecisiveness and Their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 Thesis, 2013. 

  26. H. J. Kim, "The Influence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Life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indecisiveness", Myungji University, MA. Thesis, 2010. 

  27. H. S. Kim, S. J. Lee, H. J. Lee, "An Personal Characteristics, Career Indecision, and Job Search Behaviors in Senior students",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Research, 2008. 

  28. H. J. Lee, K .S. Kim,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Career Indecision and Job Search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Senior Students.", Korean Academic and Industrial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21(1), pp. 51-71, 2008. 

  29. A. R. Lee, "Aspect on decision-making of obsessive college students, Catholic University, MA. Thesis, 2007. 

  30. Y. J. Jang, S. H. Ch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fectionist indecisiveness and dependent indecisiveness", The Journal of Student Life Research, 11(1), pp. 155-175, 2006. 

  31. J. C. Lee, M. J. Park, S. R. Kim, "Effects of Optimism and Indecisiveness to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Level of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3), pp. 633-650. 2005. 

  32.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s : A Theory of careers (2nd ed.).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1985. 

  33. Wiley, M. O., & Magoon, T. M. Holland high-point social types: Is consistency related to persistence and achieve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 pp. 14-21, 1982.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82)90059-8 

  34. O'Neil, J. M., Magoon, T.M., The predictive power of Holland's investigative personality type and consistency levels using the Self-Directed Sear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 pp. 39-46, 1977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77)90040-9 

  35. O'Neil, J. M., Magoon, T. M., & Tracey, T. J. Status of Holland's investigative personality types and their consistency levels seven years late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5, pp530-535, 1978.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25.6.530 

  36. Touchton, J. G., & Magoon, T. M. Occupational daydreams as predictors of vocational plans of college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 pp.156-166, 1977.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77)90052-5 

  37. Crites, J. O.,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1969. 

  38. Salomone, P. R., Different cases in career counseling: II-the indecisive client,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0, pp. 496-500, 1982 DOI: http://dx.doi.org/10.1002/j.2164-4918.1982.tb00703.x 

  39. Gianakos, I., & Subick, L.M., The relationship of gender and sex-role orientation to vocational undecidedn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9, pp. 42-51. 1986.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86)90028-X 

  40. Sorotzkin, B. The Quest for perfection: Avoiding guilt or avoiding shame?, Psychotherapy, 22(3), pp.564-571. 1985. DOI: http://dx.doi.org/10.1037/h0085541 

  41. B. S. Kim, Job cards for the youth and the general public category guidelines (2nd. Ed), Korea Vocational Counseling Association,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