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olland 6각형 모형의 탐구형·진취형(IE) 축과 직업가치와의 관계분석
The Analysis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Axis of Investigative·Enterprising(IE) in Holland Hexagonal Model and Job Valu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372 - 383  

최선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  조인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  서설화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Holland 6각형 모형에서 내 외재적 직업가치를 가늠하는 축이 탐구형 진취형(IE)임을 검증하기 위해 직업카드분류150 검사에 참여한 19명 연구대상자의 Holland 6각형 모형과 내 외재적 직업가치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탐구형 진취형(IE) 축을 중심으로 Holland 6각형 모형이 예술형(A), 사회형(S) 쪽으로 치우쳐 있는 연구 집단은 내재적 직업가치를 나타내어 가설을 지지하였다. 둘째, 탐구형 진취형(IE) 축을 중심으로 6각형 모형이 현실형(R), 관습형(C) 쪽으로 치우쳐 있는 집단은 외재적 직업가치를 추구할 것이라고 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유교문화권에서 정신문화적 가치를 추구하는 한국 특유의 문화적 맥락이 작용한 결과이며, Holland 6각형 모형이 정확하게 탐구형 진취형(IE) 축의 왼쪽에 분포되지 않은 면도 있다. 셋째, 양가적 직업가치의 집단은 탐구형 진취형(IE)축을 기준으로 Holland 6각형이 예술형(A), 사회형(S), 현실형(R), 관습형(C) 등에 걸쳐 나타낸다는 일부 가설을 지지하였다. 본 논문은 일부 가설이 기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Holland 6각형 모형 중 탐구형 진취형(IE) 축이 가치를 구별하는 잣대라는 것을 처음 제시한 연구로서 Holland 6각형 모형이 직업선택 뿐만 아니라 직업가치를 예언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Holland 이론의 저변 확대를 꾀하였고, 직업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ttempted to verify that Investigative Enterprising(IE) axis in the Holland hexagonal model can measure the internal and external job value. This study analyzed internal and external job values of 19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150 Job cards classification test. The results of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본 연구는 Holland 6각형 프로파일 중 탐구형· 진취형(IE) 축이 가치를 구별하는 잣대라는 것을 처음 제시한 시도이며, Holland 6각형 모형이 직업선택 뿐만 아니라 가치를 예언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Holland 이론의 저변 확대를 꾀하고, 직업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Holland 6각형 모형에서 탐구형·진취형(IE) 축이 직업가치를 예언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업카드분류150의 검사결과에 따라 내재적 가치 집단, 외재적 가치집단, 양가적 가치집단 등 3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의 직업가치를 측정하여 Holland 6 각형 모형과 비교 검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직업상담 장면에서 직업카드분류150을 통해 도출된 Holland 6각형 모형이 직업가치를 예언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여 내담자의 직업선택을 돕고 직업상담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탐구형·진취형(IE) 축을 기준으로 관습형(C)과현실형(R) 점수가 높아 Holland 6각형 면적이 왼쪽으로 평균 83.8% 분포하는 외재적 집단의 경우 외재적 가치를 지지할 것이라고 가설을 기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olland는 6각형 모형에서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Holland 6각형 모형은 RIASEC으로 왼쪽 상단부터 현실적(Realistic; R)・탐구적(Investigative; I)・예술적(Artistic; A)・사회적(Social; S)・진취적(Enterprising; E)・관습적(Conventional; C) 등이 시계방향으로 배열 된다. Holland는 6각형 모형에서 각 성격유형별 직업적 및 비직업적 선호, 인생목표와 가치, 자기신념, 문제해결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Holland 6각형 모형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Holland는 6각형 모형에서 현실형(R)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실형(R)은 전통적인 가치를 고집하는 경향이 있고, 야망과 자기 통제력을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탐구형(I)은 지적이고 논리적이며 호기심이 많은 성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에 가치를 둔다.
Holland의 성격유형 중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가 만나는 접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를 바탕으로 Holland의 성격유형을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로 구분한다면, 탐구형(I), 예술형(A), 사회형(S)은 내재적 가치, 현실형(R), 관습형(C), 진취형(E)은 외재적 가치로 구분된다. Holland 6각형 모형에서 두 개의 가치와 만나는 접점은 탐구형(I)과 진취형(E)의 두 축이다. 이 축으로 보면 6각형 모형에서 예술형(A), 사회형(S) 쪽으로 치우친 6각형 모형은 내재적 가치, 현실형(R), 관습형(C) 쪽으로 치우친 6각형 모형은 외재적 가치, 탐구형(I)과 진취형(E)의 두 축에서 예술형(A), 사회형(S), 현실형(R), 관습형(C) 등에 걸쳐 있는 6각형 모형은 양가적 가치를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 G. Park,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values and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ies of Highschool students", Pusan University, MA. Thesis, 2000. 

  2. S. J. Kim, "The Analysis of Career Adaptability by Cultural Self-Construal, Preference Types, Work Value Subtype, Kyonggi University, Ph.D. Thesis, 2011. 

  3. B. S. Kim, J. I. Lee, "The Case Study of consistency and calculus using Holland's Hexagonal model on the career indecisive cl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20, pp. 828-837, 201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2.828 

  4. J. H.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 Values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y Type", Jeju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pp. 26-29, 2017. 

  5. T. S. Eum, "Effect of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and Vocational Valu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Food Service Industries : Aimed at Potential Founders and Prospective Founders", Yeungnam University, Ph. D. Thesis, 2008. 

  6. H. L. Bae, "Occupational values and vocational aspirations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individual personalit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MA. Thesis, 2003. 

  7. I. S. Yoo,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Occupational Type, Middle School Student's Occupational A spiration, and Occupational Valu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 Thesis, 2008. 

  8. K. M. Lee,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on Career Aspiration of College Students", Kwangwoon University, MA. Thesis, 2009. 

  9. A. L. Kalleberg, "Work values and job rewards: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 124-143, 1977. DOI: https://doi.org/10.2307/2117735 

  10. B. S. Kim, Job cards for the youth and the general public category guidelines (2nd. Ed.), Korea Vocational Counseling Association, 2011. 

  11.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 :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y and work environments(3rd ed.), Odess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7. 

  12. B. S. Kim, Korean Vocational Development History, sigmapress, p. 696, 2007. 

  13. S. N. Cho, H. J. Lee, Y. J. Joo, N. Y. Kim, Qualitative Research Design & Practice, Hakjisa, 2011. 

  14. S. H. Park, D. R. Lee, Korean Culture and Counselling, Hakjisa, pp. 23-24, 2008. 

  15. S. Wollack, J. G. Goodale, J. P. Wijting, P. C. Smith, "Development of the survey of work valu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55, no. 4, pp. 331-338, 1971. DOI: https://doi.org/10.1037/h0031531 

  16. J. E. Jo, "The Effect of Work Values of Airline Service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31, no. 6, pp. 47-62, 2016. 

  17. B. S. Kim, D. H. Kim, M J. Kim, "Valu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olland Personality Type cerebral hemisphere dominant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analysi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4, no. 3, pp. 77-98, 2011. 

  18. E. Ginzberg, "Toward an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Occupations: The Vocational Guidance Journal, vol. 30, no. 7 pp. 491-494, 1952. DOI: https://doi.org/10.1002/j.2164-5892.1952.tb02708.x 

  19. D. S. Kim, S. I. Jeong, "A Annu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Work Value, Extrinsic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Using Latent Growth Model", The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vol. 32, no. 2, pp. 201-226, 2016. 

  20. H. A. Murray, Explorationsin personality : A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fiftymen of collegea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21. J. L. Holland,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Careers, Englewood Cliffs, 1973. 

  22. J. L. Holland, "Exploring careers with a typology", American Psychologist, vol. 51, pp. 397-406, 1996.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51.4.397 

  23. N. Y. Ki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Cerebral Hemisphere Characteristic with Their Vocational Interest and Vocational Value", Kyonggi University, MA. Thesis, 2010. 

  24. J. O. Lee, "The Structure of Vocational Interest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usan National University, MA. Thesis, 2002. 

  25. B. H. Jung, C. G. Ahn, "Career Development of Adults with Artistic and Conventional Occup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14, no. 1 pp. 1-30, 2004. 

  26. S. H. Kang, H. Y. Lee, "A Study on the Effect of Company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Value and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The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 7, no. 2, pp. 125-149, 2017. 

  27. K. E. Bae,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bout work value, career expectation, and career guidance", Konkuk University, Ph.D. Thesis, 2013. 

  28. J. S.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values of parents and adolescent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Sogang University, MA. Thesis,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