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상 간호사의 약리학 지식과 임상실무 연계성 및 교육내용 필요도
A Study on Perceived Connectivity between Pharmacological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and the Need for Pharmacology Education Contents in Undergraduate Courses among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1, 2014년, pp.41 - 51  

김철규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조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nurses' knowledge of pharmacology, their need on pharmacology education contents, and perceived connectivity between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Methods: Subjects consisted of 114 clinical nurses. They responded to self-administered q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간호사를 배출하기 위한 간호학과 학부과정의 약리학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약리 지식과 임상실무와의 연계성 정도와 학부 약리 교육 항목의 필요도를 조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약리 지식과 임상실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학부 약리학의 교육내용에 대한 필요도를 확인하여 간호학과 학부 약리학 교육 내용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가 인지하는 약리학 지식, 학부에서의 약리학 수업에 대한 필요도와 임상실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성별, 최종학력, 현재 직위, 현재 근무부서, 간호사 근무경력, 근무하는 병원의 병상 규모 및 의료기관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학부 약리학 수업과 관련된 특성으로는 약리학 교과목의 학점 및 이수학년에 대해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일부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된 조사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따르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약리 지식 정도와 이와 관련된 임상 실무에서의 약리 지식의 필요도, 활용정도, 임상수행 자신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임상간호사들이 인식하는 학부 약리교육 내용 중 필요도가 높은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학부 약리교육이 임상에서 요구되는 약리 관련 역량을 높이고 임상간호와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부 약리 교육 내용의 개선에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약리 지식이 임상실무에서의 필요성, 업무 만족도, 임상실무에서의 적용 정도, 임상업무 수행 시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약리 지식과 임상실무 연계성 정도를 알아보고, 학부 약리 교육 항목의 필요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약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투약 오류는 약물작용기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Oh & Yoon, 2007), 약물용량 계산 오류 등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Kim et al., 2012).
간호사들이 투약간호를 가장 중요하다고 한 이유는? 투약은 임상실무에서 전문적이고 책임감이 따르는 중요한 업무로모든간호사는안전하고효과적인투약을제공할수있어야한다 (Kim, Park, & Kim, 2012). 간호사들또한투약이간호업무중가장중요하며, 약물의 투약간호 및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 환자 교육, 정확한 의사 처방 이행 등을 위해 투약간호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Park, 2011). 특히 경구, 피내, 피하, 근육, 정맥 및 국소 투약 등의 투약 업무는간호사근무조별로 12.
간호학과 학부과정에서 임상실무에 대비한 임상실무에대비한약리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7점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어 임상 실무 경력이 1년 이상인 간호사들에 비하여 이들이 인지하는 약리학 지식 점수는 낮고 임상실무에서 약리지식의 필요성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King (2004)의 연구에서도 간호사들은 약물 교육에 대해 불만족해 하며, 이는 간호사 자격에 대한 불안감을 야기하게 되므로 약물 투약, 환자 사정 및 환자투약교육에대한자신감을향상시키기위해약리지식을향상시킬수있는교육이필요하다고하였다. 따라서간호학과학부과정에서임상실무에대비한약리교육을강화할필요가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nning, M. (2003). Pharmacology educ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of applied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Nurse Education Today, 23(6), 459-66. http://dx.doi.org/10.1016/S0260-6917(03)00064-9 

  2.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2010). New drug development status and analysis of drug development costs for invigorating new drug development R&D in Korean. Daejeon: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3. Byeon, Y. S., Choe, M. A., Kim, H. S., Park, M. J., Seo, W. S., Lee, K. S., et al. (2002). A study of content analysis on ICU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of basic nursing scienc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4(1), 41-49. 

  4. Cho, M. K., Shin, G. S., & Choe, M. A. (2013). A study of clinical nurses' knowledge, need and clinical performance about pathophysiolog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3), 139-146.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3.139 

  5. Choe, M. A., Byeon, Y. S., Seo, Y. S., Hwang, A. R., Kim, H. S., Hong, H. S., et al. (2000). A study on the degree of need of the knowledge of pathophysiology, clinical microbiology and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1), 1-19. 

  6. Choe, M. A., & Shin, G. S. (1999). Objectives and contents of basic medical science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6), 1455-1468. 

  7. Dilles, T., Vander Stichele, R. R., Van Bortel, L., & Elseviers, M. M. (2011). Nursing students' pharmacological knowledge and calculation skills: Ready for practice? Nurse Education Today, 31(5), 499-505. http://dx.doi.org/10.1016/j.nedt.2010.08.009 

  8. Erdfelder, F. F., Buchner, A., & Lang A. G.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9. Gibson, T. (2001). Nurses and medication error: A discursive reading of the literature. Nursing Inquiry, 8(2), 108-17. http://dx.doi.org/10.1046/j.1440-1800.2001.00098.x 

  10. Kim, D. Y., & Park, M. H. (2010). Intermediate evalua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3), 133-144. 

  11. Kim, M. H., Park, J. H., & Kim, M. S. (2012). Predictors of drug calcul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3), 174-182.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3.174 

  12. Kim, S. K., & Kwon, J. Y. (2012). Clinical pharmacology made easy. Seoul: Jungdam Media. 

  13. King, R. L. (2004). Nurses' perceptions of their pharmacology educational need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5(4), 392-400. http://dx.doi.org/110.1046/j.1365-2648.2003.02922.x 

  14.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3). Status of nursing educational institutions. Retrieved November 11, 2013, from https://www.koreanurse.or.kr:444/resources/nurse_edu.php 

  15. Kwon, H. M. (2011). Unification of nursing education is no cause for nursing shortages. Medipharmstoday. Retrieved November 20, 2013, from http://www.pharms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85643 

  16. Lee, K. S., Jeong, J. S., Choe, M. A., Kim, J. H., Ahn, K. J., Kim, J. H., et al. (2013). Development of standard syllabuses for 4 subject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pathogenic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 of Bionursing.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1), 33-42.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1.33 

  17. Lee, S, H., Han, S. J., Yang, Y. S., Choi, J. R., Park, Y. Y., Kim, M. R., et al. (1998). A study of medication time series in a university hospital. Hanyang Nursing Science Research, 3(2), 71-81. 

  18. Lee, Y. J., & Cho, K. S. (2011). Survey on the students' evaluation and the administrational status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in advanced practice nursing program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3), 193-203. 

  19. Lilley, L. L., Collins, S. R., Harrington, S., & Snyder, J. S. (2010). Pharmacology and the nursing process (6th ed.). St. Louis, MO: Mosby. 

  20. Lim, Y. C. (2004). Status of clinical pharmacology education in korean undergraduate courses and its improve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2(2), 109-115. 

  21. McMullan, M., Jones, R., & Lea, S. (2010). Patient safety: Numerical skills and drug calculation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and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4), 891-89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258.x 

  22. Milch, C. E., Salem, D. N., Pauker, S. G., Lundquist, T. G., Kumar, S., & Chen, J. (2006). Voluntary electronic reporting of medical errors and adverse events. An analysis of 92,547 reports from 26 acute care hospital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2), 165-170.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6.00322.x 

  23. Ministry of Food & Drug Safety. (2012). Status of clinical trials approved by MFDS. Retrieved January 2, 2014, from http://ezdrug.mfds.go.kr/kfda2?cmdCCBAA09L3 

  24. Oh, C., & Yoon, H. (2007).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in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job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1), 6-17. 

  25. Park, I. S. (2011). Policy of national nurse's license examination. In Workshop of test items development for national nurse's license examination,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Seoul, Korea. 

  26. Shin, J. G. & Lee, S. S. (2011). Research on tailored medicine and market tendency: Base for pharmacogenomics. Bioin webzine, 23, 1-18. 

  27. Yoo, J. S., Ahn, J. A., Yeo, K. S., & Chu, S. H. (2008). The study to reorganize the course of basic nursing science in a college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0(2), 162-16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