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와 가정에서 부적응 문제를 보이는 저소득 모자가정 초등학생 남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n Elementary School Boy Living in a Small Income Fatherless Family Who Exhibits Maladjustments in Both School and Home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1, 2014년, pp.17 - 41  

심희옥 (군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sandplay therapy case of a 5th grade boy who was living in a small income fatherless family from the viewpoints of both sandplay theory and related literatures. The goal of the therapy was to lessen his difficulties under the free and protected space of sandplay therapy. Th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자일체성이 흐트러져 어머니의 자기로부터 유아의 자기가 적절히 분리되지 못하면 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가? 그런데 1~4세 사이에 모자일체성(mother-child unity)이 흐트러지면 어머니의 자기로부터 유아의 자기가 정상적으로 적절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험으로 유아의 자아는 상처받고 의존적이며 궁핍해질 수 있다. Neumann은 생애 초기의 자기 출현과 활동이 태어나서 세 살 사이에 있는데 이는 자아가 건강하게 발달하는데 필수적이라고 한다.
모래놀이치료란? 모래놀이치료는 모래상자에 소품들을 가지고 마음의 세계를 만드는 것으로 거의 언어에 의존하지 않고 내담자 무의식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심리치료법이다. 모래놀이에서는 내담자의 외상, 관계문제, 개인의 성장, 자기(Self)의 통합과 변형 같은 다양한 삶의 사건들이 다루어진다(Boik & Goodwin, 2000; Sim, 2012).
한부모가정 아동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한부모가 여성인 모자가정의 경우가 한부모가 남성인 부자가정의 경우보다 양육 스트레스를 전반적으로 더 많이 느낀다는 보고(Ho, 2009)와 함께 한부모가정에서 생활하는 아동의 심리 사회적인 어려움에 대한 연구들이 있다. 한부모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요소는 자기유능감과 대인관계 기술이고, 가족 변인은 부모와의 의사소통이며, 사회 환경적 요소는 교사의 지지와 민주적인 학교분위기이다 (Choi, 2007). 저소득 한부모 가족 아동이 저소득 양부모 가족 아동보다 자기효능감이 낮다(Kim,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ckroyd, E. (1997). A dictionary of dream symbols (B. J. Kim, Trans.). Seoul: Korea Psychotherapy Institute.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2. Boik, B. L., & Goodwin, E. A. (2000). Sandplay therapy: A step-by-step manual for psychotherapists of diverse orientations. New York, NY : W. W. Norton & Company. 

  3. Bradway, K. (2001). Symbol dictionary: Symbolic meanings of sandplay images. Journal of Sandplay Therapy, 10(1), 9-105. 

  4. Choi, E. M. (2007). Influence of the supporting and protection system for the broken family on children's adaption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5. Cooper, J. C. (1978). An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s. New York, NY: Thames & Hudson. 

  6. Dundas, E. T. (1990). Symbols come alive in the sand. Boston, Mass: Coventure. 

  7. Flahive, M. W. (2012). Shining stars in the dark night: Sandplay therapy with an adolescent male.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1(2), 85-102. 

  8. Fontana, D. (1998).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A visual key to symbols and their meanings. (S. J. Choi, Trans.). Seoul: Munhakdongne.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9. Ho, Y. Y. (2009).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fatherless fami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Korea. 

  10. Ji, S. R., & Lee, S. (2012).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of divorced single parent families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4), 35-50. 

  11. Kalff, D. M. (2003). Sandplay: A psychotherapeutic approach to the psyche. Cloverdale, CA: Temenos press. 

  12. Kalff, D. M. (2007). The relativization of the ego. Journal of Sandplay Therapy, 14(2), 43-47. 

  13. Kang, B. K. (1999). The theory and practice of psychological assessment. Seoul: Dongmoonsa. 

  14. Kim, D. Y., Kong, M., & Choi, O. S. (2002). The psychological diagnosis of HTP and KHTP. Seoul: Dongah Moonwhasa. 

  15. Kim, S. M. (2009). A study on the alchemy from a perspective of Jung's philosophy of religion. The Study of Philosophy & Phenomenology, 43, 135-160. 

  16. Kim, S. Y. (2005). Study on a sexual identity and a self-efficacy in children of low-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Focused on a comparison with children of two-parents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Y. S. (1996).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sandplay through psychotherapy of kindergartne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ocial Science, 2, 291-305. 

  18. Lee, J. A. (2007). The effect of parenting,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f single-parentfamily children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Y. J. (2008). Children's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parentless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20. No, E. Y. (2009). Impa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social adjustment in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21. Oh, K. J., Lee, H. L., Hong, K. O., & Ha, E. H. (1997). Behavior checklist for child and adolescent. Seoul: The institute of Jungang aptitude. 

  22. Park, C. I. (2010).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mal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of single-mother famil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23. Porat, R., & Meltzer, B. (1998). Images of war and images of peace. Journal of Sandplay Therapy, 7(2), 25-71. 

  24. Rhi, B. Y. (1998). Analytical Psychology: C. G. Jung's thoughts on mind. Seoul: Ilchokak. 

  25. Ronnberg, A. (2010).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Koln: Tasehen. 

  26. Shin, M. S., Kim, S. K., Kim, Y. H., Kim, J. Y., Park, H. K., & Lee, H. L. (2002). Assessment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through drawings. Seoul: Hakjisa. 

  27. Sim, H. O. (2008). The birth and differentia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sandplay therapy of a five years old boy who had to separate from his own mother.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2(3), 61-83. 

  28. Sim, H. O. (2011). A case study of a 5th grade girl from a divorced family recovering femininity through the sandplay 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1), 55-65. 

  29. Sim, H. O. (2012).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boy from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showing internal and external behavior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7(2), 75-96. 

  30. Turner, B. A. (2005). The handbook of sandplay therapy. Cloverdale, CA: Temenos press. 

  31. von Gontard, A. (2011). The numinous in sandplay 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0(2), 103-124. 

  32. Weinrib, E. L. (2004). Images of the Self: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Cloverdale, CA: Temenos press. 

  33. Wilkinson, K. (2008). Signs and symbols: An illustrated guide to their origins and meanings. New York: Dorling Kindersley. 

  34. Zoja, E. P. (2011). Sandplay therapy in vulnerable communities: A Joungian approach. New York: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